$\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의 김치발효 촉진작용에 관한 연구
Reappraisal of Stimulatory Effect of Garlic on Kimchi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4 = no.200, 2008년, pp.479 - 484  

이주영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미경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경규항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를 제조할 때 마늘이 김치의 발효를 촉진시킬 때도 있지만 영향을 미치지 못할 때도 있었다. 배추 자체만으로도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는 가을 배추김치에는 마늘을 첨가하여도 발효촉진 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체만으로는 발효력이 약한 봄 배추김치에는 마늘을 첨가했을 때 발효촉진 현상이 관찰되었다. 봄 배추를 사용하여 만든 김치에 포도당, yeast extract와 peptone, 김치 부재료를 각각 따로 첨가했을 때에도 마늘을 첨가했을 때와 같은 촉진현상이 관찰되었으나, 가을 배추김치에서는 촉진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마늘이 김치의 발효를 촉진하는 현상은 마늘 특유의 고유한 성분에 의한 촉진작용이 아니고 배추의 영양소 구성성분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즉, 마늘의 첨가를 통해 공급되는 당이나 영양성분이 봄 배추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줌으로써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contradictory reports concerning the role of garlic on kimchi fermen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imulatory effect of garlic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was reappraised. In this study, fermentation of kimchi prepared using spring Chinese cabbage was stimulated by the ad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마늘이 김치의 발효를 촉진한다는 보고와 억제한다는서로 상반되는 보고가 있어 마늘이 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의견이 엇갈렸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촉진 여부를 평가할 때는 김치에 생산되는 적정산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him ST, Kim KJ, Kyung KH. Effect of soluble-solids contents of Chinese cabbag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78-283 (1990) 

  2. No HK, Lee SH, Kim SD.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642-650 (1995) 

  3. Lee SK, Shin MS, Jhong DY, Hong YH, Lim HS. Changes of kimchis contained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Food Sci. Technol. 21: 68-74 (1989) 

  4. Kim MH, Shin MS, Jhon DY, Hong YH, Lim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s with different ingredients. J. Korean Soc. Food Nutr. 16: 268-277 (1987) 

  5. Ryu JY, Lee HS, Rhee HS.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174 (1984) 

  6. Ahn SY. The study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part 1)-The effect of the ratio of ingredients on kimchi fermentation. The report of NIRI Korea 20: 61-68 (1970) 

  7. Lee SH, Kim SD.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7: 249-254 (1988) 

  8. Cho NC, Jhon DY, Shin MS, Hong YH, Lim HS, Effect of garlic concentrations on growth of microorganism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31-235 (1988) 

  9. Park WP, Kim ZU. The effect of spices on the kimchi fermentation. J.Korean Agric. Chem. Soc. 34: 235-241 (1991) 

  10. Cho HK, Park SH, Jo JS, Jung CS. Effect of the garlic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Korean J. Diet. Culture 16: 470-477 (2001) 

  11. Yu EJ, Shin MS, Jhon DY, Hong YH, Lim HS.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of kimchis with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Korean J. Soc. Food Sci. 4: 59-63 (1988) 

  12. Lee SW, Woo SJ. Effect of some materials on the content of nitrate, nitrite, and Vitamin C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61-166 (1989)) 

  13. Yi JH, Cho Y, Hwang IK. Originals :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Soc. Food Sci. 11: 511-520 (1995) 

  14. Cho Y, Yi JH. Effect of kimchi submaterial 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Soc. Food Sci. 10: 35-38 (1994) 

  15. Park WP, Kim ZU. The effect of seasoning and salted - 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 Chem. Soc. 34: 242-248 (1991) 

  16. Hahn YS, Woo KJ, Park YH, Lee TY. The nature of viscous polysaccharide formed kimchi added sucrose. J. Korean Soc. Food Sci. Nurt. 26: 198-202 (1997) 

  17. Jung HS, Ko Y, Lim SJ. Effects of sugars on kimchi fe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Nutr. 18: 36-45 (1985) 

  18. Lee HS, Ko YT, Lim SJ. Effects of protein 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Nutr. 17: 101-107 (1984) 

  19. Park SH, Lee JH.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22: 370-378 (2006) 

  20. Lee SH, Kim SD. Effect of star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7: 342-347 (1988) 

  21. Park WP, Kim ZU. The effect of spices on the kimchi fermentation. J.Korean Agr. Chem. Soc. 34: 235-241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