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기형태에 의한 국내 자생쑥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pp.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6 no.4, 2008년, pp.218 - 224  

성정숙 (인삼약초연구소) ,  이정훈 (인삼약초연구소) ,  이제완 (인삼약초연구소) ,  방경환 (인삼약초연구소) ,  여준환 (인삼약초연구소) ,  박춘근 (인삼약초연구소) ,  박호기 (인삼약초연구소) ,  성낙술 (인삼약초연구소) ,  문성기 (경성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자생 쑥속의 식물을 약용작물 및 산업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쑥속 식물들은 사철쑥 (A. capillaris)을 포함한 20종 1아종 2변종 24분류군으로 분류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5개의 화기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제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44.73%, 제2주성분은 16.86%, 제 3주성분은 8.88%, 제4주성분은 7.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상위 제4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77.56%였다. 군집분석 결과, 자방의 퇴화, 아관목, 두화의 크기 등의 주요형질에 의해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분되어졌으며, 화기구조의 식별형질로는 기발표된 Dracunculus, Abrotanum, Absinthium 3절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국내 자생쑥의 분류형질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using the Artemisia genetic resources as a medicinal crop. 24 taxa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Thunb.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25 characters and cluster analysis for classification. I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자생 쑥속의 식물을 약용작물 및 산업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쑥 속 식물들은 사철쑥 (A.
  • 본 연구에서는 쑥의 분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형질인 화기 형태를 중심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쑥속 24분류군을 명확하게 동정한 후,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각 분류군의 유연관계와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여 다양한 자생 쑥의 작물화 및 산업화의 기초자료로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SR, You DH, Ju IO, Jang I, Kim JY, Park CB, Ryu J (2008) Changes of pharmacological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1):57-61 

  2.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262 

  3. Dhingra V, Rao V, Narasu L (2000) Current state of artemisin and its derivatives as antimalarial drugs. Life Science 66:279-300 

  4. Fu LK, Hong T (1998) Higher Plants Of China (Vol. 11). Qingdao Publishing House. China. p. 826 

  5. Hind DJ, Jeffrey C, Pope GV (1995) Advances in compositae systematics. Royal Botanic Gardens, Kew, Richmond, Surrey TW9 3AE, UK., p. 469 

  6. Im RJ (1999) Flora Coreana (Vol. 7).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Korea., p. 403 

  7. Kadereit J (2003)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Berlin, Springer-Verlag., p. 635 

  8. Kim KN, Lee JA, Yoon WJ, Kim JY, Song GP, Park SY (2007) The cytotoxicity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against HL-60 Cells. Korean Soc. Food Sci. Nutr. 36(7):819-824 

  9. Kitamura S (1940) Compositae japonucae, Pars Secunda.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15:376-436 

  10. Kitamura S (1957) New names and new conceptions adopted in our coloured illustrations of herbaceous plants of Japan (Sympetalae). Acta Phytotax. Geobot. 17(1):5-13 

  11. Kitamura S (1991) Compositae asiaticae 6. Acta Phytotax. Geobot. 42:141-157 

  12.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io GP, Park UY, You SG, Lee HY (2007)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4):233-240 

  13. Lee H, Lin JY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229-234 

  14. Ling YR (1991a) A review of the classification,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Artemisia L. and Seriphidium (Bess.) Poljak. (Compositae) in China. Guihaia 11(1):19-35 

  15. Ling YR (1991b) The old world Artemisia (Compositae). Bull. Bot. Res. Harbin, 12(1):1-108 

  16. Mabberley DJ (1990) The plant-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20 

  17.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p. 1481 

  18. Singh N, Lai H (2001) Selective toxicity of dihydroartemisinin and holotransferin toward human breast cancer cells. Life Science, 70:49-56 

  19. Watson LE, Bates PL, Evans TM, Unwin MM, Estes JR (2002) Molecular phylogeny of Subtribe Artemisiinae (Asteraceae), including Artemisia and its allied and segregate genera. BMC Evolutionary Biology 2(17):1-12 

  20. Xu Q, Mori H, Sakamoto O, Usegi Y, Koda A (1989) Immunological mechanisms of antitumor activity of some kinds of crude drugs on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Inter. J. Immunopharmacol. 11(6):607-614 

  21. 김진수 (1996) 한국산 Artemisia속 식물의 정유성분과 생물활성 물질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31 

  22. 문관심 (1984)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서울., p. 755 

  23. 신국현 (1995) 전통 천연향료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천연물 과학연구소. 과학기술처., p. 135 

  24. 오보 (2003) 신농본초경. 의성당. 서울., p. 340 

  25. 육창수 (1981) 한국약품식물자원도감. 진명출판사. 서울., p. 436 

  26. 인천시 강화군 (2007) 강화약쑥. 아카데미서적. 서울., p. 237 

  27. 정보섭, 신민교 (1990)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서울., p. 1160 

  28. 조연희 (2001) 국내 자생 쑥속 식물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7 

  29. 허준 (1980) (한방)동의보감. 동아도서. 서울., p. 360 

  30. 南 基泰, 近藤 誠三, 柴田 敏郞 (2003) 琉球列島のArtemisia 屬植物の藥品材料としての評價と種生物學的關係解明. 生物機能開 發硏究所紀要. 3: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