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랫폼 통합에 따른 디지털콘텐츠 제작기술 경향연구 : 크로스 플랫폼게임(Cross-Platform Game)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Production Technology of Digital Contents upon the Platform Integration : Focusing on Cross - Platform Game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14, 2008년, pp.151 - 164  

한창완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크로스 플랫폼게임은 게임시장의 수평적, 수직적 시장확장을 유도하여, 기존 게임시장의 게임소비를 개방화 시키는데 필요한 기술적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결국 이러한 기술적 진화모델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게임서비스를 통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최적의 게임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게임환경을 구축하여, 고착화된 소비연렁대와 한정적인 소비시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게이머의 시장진입을 유도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크로스플랫폼게임엔진이 보여주는 디지털콘텐츠 기술진화의 모델은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동시공급하게 될 때, 모든 플랫폼간의 쌍방향 서비스가 극대화될 수록 이에 따르는 각 플랫폼 간 데이터의 지정과 배당, 전환과 표준화, 그리고 이에 연계되는 플랫폼별 맞춤형 데이터 분할전송기술의 점진적 혁신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최대한 배급하는 것이 수용자시장의 효율성과 콘텐츠 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이 될 수 있지만, 현재와 같이 일방향 서비스의 경우가 아닌, 완전한 쌍방향 서비스의 네트워크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면, 이에 따르는 상호간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환 및 배급기술이 차별적인 엔진기술로 개발되어져야 최적의 디지털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차세대 디지털콘텐츠시장의 선도기업은 소비환경의 최적화를 쌍방향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조기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네트워크엔진기술의 선도적 지위를 우선적으로 선점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oss platform game has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game market, which results in technology innovation overcoming the limit of game consumption. The new model integrates both off and online game services. Gamers can now enjoy game service regardless of age, time, and space. If the technology ev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게임콘텐츠의 중요한 시장신호(market signal)기능이 앞으로 전개된 디지털콘텐츠의 차별적인 수요시장을 예측하도록 시장테스트베드 역할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 본 논문은 주목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게임콘텐츠의 제작기술이 전제하는 하드웨어 시장의 확장 및 콘텐츠 수요시장의 확대를 중심으로, 어떠한 지점에 수익의 재투자자본이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러한 자본의 재배치는 제작기술시장과 수요시장을 어떠한 형태로 변화시켜 갈 것이며, 그러한 시장예측을 전제로 기술개발의 방향은 어떠한 형태로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플랫폼 통합은 UMPC와 같이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디바이스 통합전략과 콘텐츠의 소비환경을 플랫폼의 다양화변수에 관계없이 호환될 수 있도록 플랫폼간 네트워크를 통합시키는 네트워크 통합전략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 시도하는 분석지대는 후자인 네트워크 통합전략시 구현되는 플랫폼 통합의 시장신호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통합의 조건을 구성하는 기술변인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 본 논문은 게임콘텐츠 환경의 새로운 상품경향이 어떠한 기술적 혁신모델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러한 게임경향의 방향성은 제작기술개발과 수요시장의 재편에 어떠한 변인을 잉태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해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 현재의 게임시장은 포화된 소비시장의 대안을 위해 지속적인 플랫폼의 개발과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며, 또한 다른 측면으로, 각 플랫폼의 소비기호를 소비환경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교차확대하기 위해 확대된 플랫폼간의 수평적 통합까지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현재 게임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간의 통합전략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상황을 전제하며,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상품으로 크로스플랫폼게임(Cross-Platform game:그림 1 참조)을 분석한다.
  • 이처럼, 게임콘텐츠의 중요한 시장신호(market signal)기능이 앞으로 전개된 디지털콘텐츠의 차별적인 수요시장을 예측하도록 시장테스트베드 역할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 본 논문은 주목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게임콘텐츠의 제작기술이 전제하는 하드웨어 시장의 확장 및 콘텐츠 수요시장의 확대를 중심으로, 어떠한 지점에 수익의 재투자자본이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러한 자본의 재배치는 제작기술시장과 수요시장을 어떠한 형태로 변화시켜 갈 것이며, 그러한 시장예측을 전제로 기술개발의 방향은 어떠한 형태로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게임개발사에 의한 자본의 재투자 영역이 콘텐츠 제작기술 및 수용자 인터페이스 응용효율의 극대화 부문으로 집중되면서, 국내 게임콘텐츠는 다른 여타의 디지털콘텐츠 보다도 실질적인 쌍방향 서비스의 다양한 형태를 시험하게 된다. 한정적인 시장의 경쟁구도 내에서 새로운 시나리오와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게임콘텐츠의 진화는 제작환경의 변수, 소비영역의 변수, 콘텐츠자체의 기술개발 변수 등의 다양한 변인을 도출해내며, 차세대 디지털콘텐츠의 시장모델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해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로스플랫폼게임은 무엇인가? 크로스플랫폼게임은 특정 플랫폼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플랫폼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콘텐츠를 의미한다. 하나의 게임콘텐츠가 다양한 플랫폼용으로 개발되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의 종류가 점점 더 증가하는 현실에서, 크로스플랫폼은 게임산업계에서 새로운 게임개발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다3)
온라인 게임의 모듈형 체제가 가진 경제적 효과 다섯 가지는 무엇인가? 모듈체계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경제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게임 및 게임의 엔진 개발 비용을 급속히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게임엔진의 개발 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기존 모듈들의 재사용 가능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개발 기간의 속도는 더욱 낮아질 수 있다. 셋째, 모듈식 구조는 게임 엔진의 질의 증가를 가속화시킨다. 기본적으로 기술의 진화는 누적적(cumulative)인데 모듈화된 엔진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수정을 통해서 이러한 누적적인 질의 증가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넷째, 일관성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엔진 개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개발할 엔진을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일관성 있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모듈식 구조는 미래의 기술적 변화에 대한 선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모듈들의 재사용성과 다양한 조합, 신축적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엔진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12).
크로스플랫폼게임엔진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진화는 무엇인가? 크로스플랫폼게임엔진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진화는 각 플랫폼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차별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높은 화질의 섬세한 화면서비스는 콘솔게임과 PC온라인게임에 가능하지만, 모바일게임에는 필요치 않기 때문에 그러한 고화질의 용량이 되려 전송시간과 구현시간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