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염습 지대에서 자생하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초 식물로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불리우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건조된 함초로부터 열수 추출을 하여 조추출물(CSP)을 얻었으며, 조추출물을 한외 여과 및 gel 여과를 통해 다당체I(SP I)과 다당체 II(SP II)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함초 추출물들은 마우스 면역 조절 활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고, 실험은 시험관 내 실험과 생체 내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 마우스로부터 비장 세포와 T 세포를 분리하여 시료를 농도별(0.5, 1, 2, 4 mg/mL)로 처리한 후 일정 시간 배양하여 MTS assay를 통해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비장 세포와 T 세포에서 각각 4 mg/mL 농도로 24시간 배양한 경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SP I이 3.2, 3.5배로 유의적인 세포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마우스를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어 7일 동안 경구 투여를 실시하였는데, 실험 종료 후 비장 세포를 적출하여 mitogen을 이용한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SP I을 경구 투석한 비장 세포가 가장 높은 세포 증식능을 보였다. 즉, 함초로부터 조추출물과 다당체를 획득하여 이들에 대한 면역 활성능을 확인한 결과, 조추출물과 다당체에서 면역 세포 활성 증강 효과를 보였는데, 조추출물보다 다당체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함초 다당체는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진 바이오 헬스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munomodulating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on the mouse splenocytes was investigated. Crude S. herbacea polysaccharide extract (CSP) and other kinds of fine S. herbacea polysaccharides (SPI and SPII) were prepared from S. herbacea by hot water extraction and further ultrafiltration and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다양한 약리 작용이 기대되는 함초의개발은 많은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나 생리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하므로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초로부터 조추출물, 다당체I, 다당체 II를 얻어 마우스의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실험동물의 사육조건은 실내 온도 25℃, 습도는 50% 전후로 하였고, 명암은 12시간(day light 06:00~18:00)을 주기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동물의 사육에 대한인제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건강증진을 위한 생리 활성 물질 탐색과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해양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24, 8], 해양자원 식물은 항암(2), 면역증강[21], 혈당강하[22], 체중 조절[13], 지질대사 개선[23]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생체생리 활성 물질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이러한 생리활성 기능이 기대되는 해양자원식물 중 하나인 함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함초의 여러 가지 생리 활성효과 중 면역증강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ng, M. A., H. A. Kim, and Y. J. Cho. 2002.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Food Sci. Nutr. 31: 840-846 

  2. Cho, K. J., Y. S. Lee, and B. H. Ryu.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seaweeds toward sarcoma-180. J. Korean Fish. 23: 345-352 

  3. Cho, S. H., K. M. Yang, B. S. Bae, S. A. Im, and R. N. Yu. 1998. Effect of sea tangel intake on cytokine production in macrophage from normal and diabetic mice. J Korean Food Sci. Nutr. 27: 952-959 

  4. Collins, F. M., C. C. Congdon, and N. E. Monrison. 1975. Growth of mycobacterium bovis (BCG) in T lymphocytedepleted mice. Infect. Immun. 11: 57-64 

  5. Cyster, J. G. 1999. Chemokines and cell migration in secondary lymphoid organs. Science 286: 2098-2102 

  6. Dutton. R. W., L. M. Bradley, and S. L. Swain. 1998. T cell memory. Annu. Rev. Immunol. 16: 201-223 

  7. Han, S. H., M. S. Kim, and B. S. Pyo.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Salicornia herbacea L.) on the lipid oxida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46- 49 

  8. Han, S. K.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Salicornia herbacea L. liquid with EM (effective microorganism) on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298-302 

  9. Hasegawa, T., K. Ito, S. Ueno, S. Kumamoto, Y. Ando, A. Yamada, K. Nomoto, and Y. Yasunobu. 1999. Oral administration of hot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reduce IgE production against mile casein in mice. Int. J. Immunopharmacol. 21: 311-323 

  10. Hiroichi, N., N. Takeshi, O. Takeshi, I. Yoshiki, T. Hiroyuki and I. Naoki. 1999. Th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Corydalis tuber on cytokine production and allergic reactions in experimental animal. J. Trad. Med. 16: 51-58 

  11. Ihm, B. S. and J. S. Lee. 1986. The strategies of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for coping with environmental fluctuation of salt marsh. Korean J. Environ. Biol. 4: 15-25 

  12. James, G. L. 1995. Method. Immunotoxicol. (John Wiley- Liss, Inc, San Diego) 2: 15 

  13. Jo, Y. C., J. H. Ahn, S. M. Chon, K. S. Lee, T. J. Bea, and D. S. Kang.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0: 93-99 

  14. Kang, H. I., J. Y. Kim, K. D. Moon, K. I. Seo, Y. S. Cho, S. D. Lee, and S. T. Yee. 2004. Effect of the crude polysaccharide of Pleurotus eryngii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Food Sci. Nutr. 33: 1092-1097 

  15. Kim, C. Y., E. J. Lee, H. M. Kim, and H. Huh. 1998. Isolation of lymphocyte proliferating polysaccharide from Mori cortex Radicis. Yakhak Hoeji. 42: 467-471 

  16. Kim, J., H. S. Ryu, J. H. Shin, and H. S. Kim. 2005. In vitro and Ex vivo Supplementation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and immunomodulating effect in mice. J. Korean Food Sci. Nutr. 34: 167-175 

  17. Kim, S. H., D. S. Ryu, M. Y. Lee, K. H. Kim, Y. H. Kim, and D. S. Lee. 2008.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Salicornia herbace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43-48 

  18. Kuby, J. 1997. Immunology 3rd ed. WH Freeman & Co., New York 

  19. Kupper, T. S. 2000. T cells, immunosurveillance, and cutaneous immunity. J. Dermatol. Sci. 1: 41-45 

  20. Kwon, S. H., H. J. Woo, D. S. Han, and M. K. Kim. 2001. Effect of dried powders and water extracts of Paecilomyces tenuipes and Cordyceps militari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immune status in rats. Korean J. Nutr. 34: 271-284 

  21. Lee, E. J. and M. K. Sung. 2001. Effect of fiber-rich sea mustard feeding on AOM-induced colon aberrant crypt formation and colonic cell proliferation in Sprague Dawley rats. J. Korean Food Sci. Nutr. 30: 535-539 

  22. Lee, H. S., M. S. Choi, Y. K. Lee, S. H. Park, and Y. J. Kim.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fiber supplements for the diabetic patients(2)-effect of seaweed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9: 296-306 

  23. Lee, K. S., J. S. Seo, and Y. S. Choi. 1998. Effect of sea tangle and hypoglycemic agent on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J. Korean Food Sci. Nutr. 27: 960-967 

  24. Park, S. H., H. S. Hwang, and J. H. Han.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25. Yee, S. T., T. Kato, T. Tamura, and H. Nariuchi. 1994. Different requirements of CD3 cross-linkage for the activation of memory and naive $CD8^+$ T cells. Cell Immunol. 157: 48-58 

  26. Zalys, R., I. S. Zagon, R. H. Bonneau, C. M. Lang, and P. J. McLaughlin. 2000. In vivo effect of chronic treatment with (MET5)-enkephalin on hematological values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athymic mice. Life Sci. 66: 829-8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