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minaria japonica의 polysaccharides(LP)가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현저한 면역 증강 활성을 보였다. Balb/c 마우스 비장 세포를 mitogen인 Con A, T cell growth factor인 IL-2 및 alloantigen인 anti-C57로 자극한 뒤, LP를 농도별(0.25, 0.5, 1 mg/mL)로 첨가하여 마우스 비장 세포의 증식 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장 세포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항원 특이적인 세포 독성 T 림프구(CTLs)의 활성과 IL-2에 의해 야기되는 비특이적인 림포카인 활성 살해 세포(LAKs)의 세포독성능을 측정하였다. 작동 세포와 표적 세포의 비율을 10:1로 혼합한 뒤, LP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세포 용해 시 발생되는 LDH를 측정한 결과, 동종 항원 반응 비장 세포의 살해 세포 작용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AKs의 활성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T 림프구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LP를 첨가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IL-2의 생산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참다시마에서 획득한 LP가 마우스 비장 세포의 T 림프구 및 NK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LP) were prepared from L. japonica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ultrafiltration and gel chromatograph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P (0.25-1 mg/mL) on the mitogen/alloantigen reactive proliferation and killing activity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갈조류는 참다시마(Laminaria japonica)로서 칼슘, 칼륨, 요오드, 아연 등 생체 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지질 대사 개선 효과, 항당뇨 활성(13), 해독 작용(14), 고혈압 예방, 항암(15), 항돌연변이(16), 항바이러스(17)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다시마에서 다당체를 얻어 마우스 비장 세포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역 요법은 언제 처음 시작되었는가? 면역 요법은 19세기 초 William B. Coley가 Streptococcus속 세균과 Serratia속 세균의 혼합배양액인 Cloney’s toxin을 말기 암환자에게 주사하여 암을 치료한데서부터 시작되었다(1,2). 그 후 BCG(bacille de Calmette-Guérin), Corynebacterium parvum 등의 미생물이나 그 대사 산물 및 그 합성 물질을 이용한 면역 요법이 연구되었고(3), 1980년대부터는 여러 가지의 cytokine, lymphokine, growth factor 등을 이용하여 생체 면역 반응의 상태를 호전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4).
PSK는 무엇인가? Schizofilan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ies)의 균사체가 생산하는 다당체로서 대식세포와 세포독성 T 림프구(CTLs)를 활성화시키며, 림포카인 활성 살해세포(LAKs)를 유도하고 NK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었다. PSK는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에서 추출한 당단백질로 T 세포, NK 세포 그리고 대식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으며, ginsan은 인삼으로부터 분획된 다당체로서 NK 세포와 CTLs, T 보조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면역 증강 활성이 기대되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다당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가지의 cytokine, lymphokine, growth factor 등을 이용하여 생체 면역반응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 후 BCG(bacille de Calmette-Guérin), Corynebacterium parvum 등의 미생물이나 그 대사 산물 및 그 합성 물질을 이용한 면역 요법이 연구되었고(3), 1980년대부터는 여러 가지의 cytokine, lymphokine, growth factor 등을 이용하여 생체 면역 반응의 상태를 호전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4). 그러나 이들의 임상적 이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예로 생체 내에 다량의 cytokine을 투입하여도 혈중 내 적정 농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독성이 매우 심하며, 또한 이들 cytokine은 단독이 아닌 여러 종류가 같이 어우러져 상호간의 작용을 상승 또는 억제하기 때문에 하나 또는 두 종류의 cytokine을 대량 투여하더라도 그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독성이 약하고 생체 내에서 여러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cytokine을 유도하는 생리활성물질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ahey TJ, Myers WP. Documented hyperparathyroidism of thirtysix years' duration. Cancer 35: 803-807 (1975) 

  2. Oettgen HF. Biological agents in cancer therapy; cytokines, monoclonal antibodies, and vaccines. J. Cancer Res. Clin. 116: 116-119 (1990) 

  3. Nikonenko BV, Apt AS, Mezhlumova MB, Avdienko VG, Yeremeev W, Moroz AM. Influence of the mouse Bcq, Tbc-1, and Xid genes on resistance and immune responses to tuberculosis infection and efficacy of Bacille Colmette-Guerin (BCG) vaccination. Clin. Exp. Immunol. 104: 37-43 (1996) 

  4. Oldham RK.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J. Natl. Cancer Inst. 70: 789-796 (1983) 

  5. Bergelson LD. Serum gangliosides as endogenous immunomodulators. Immunol. Today 16: 483-486 (1995) 

  6. Han SB, Kim YH, Lee CW, Park SM, Lee HY, Ahn KS, Kim IH, Kim HM.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ion by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Immunopharmacology 40: 39-48 (1998) 

  7. Amirghofran Z, Azadbakht M, Karimi MH. Evaluation of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five berbal plants. J. Ethnopharmacol. 72: 167-172 (2000) 

  8. Maeda YY, Watanabe ST, Chihara G, Rokutanda M. T-cell mediated vascular dilatation and hemorrhage induced by antitumour polysaccharides. Int. J. Immunopharmaco. 6: 493-501 (1984) 

  9. Sugawara I, Lee KC, Wong M. Schizophyllan(SPG)-treated macrophages and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syngeneic and allogeneic tumor cells. Cancer Immunol. Immun. 16: 137-144 (1984) 

  10. Akiyama J, Kawamura T, Gotohda E, Yamada Y, Hosokawa M, Kodama T, Kobayashi H. Immunochemotheraphy of transplanted KMT-17 tumor in WKA rats by combination of cyclophosphamide and immunostimulator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basidiomycetes. Cancer Res. 37: 3042-3045 (1977) 

  11. Yun YS, Lee YS, Jo SK, Jung IS. Inhibition of autochthonous tumor by ethanol insoluble fraction from Panax ginseng as an immunomodulator. Planta. Med. 59: 521-524 (1993) 

  12. Elyakova LA, Zvyagintseva TN. A study of the laminarins of some Far-Eastern, brown seaweeds. Carbohyd. Res. 34: 241-248 (1974) 

  13. Lahaye M. Marine algae as sources of fibers contents in some sea vegetable. J. Sci. Food Agr. 54: 587-594 (1991) 

  14. Kim YY, Lee KW, Kim GB, Cho YJ.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heating hydrolysis. J. Korean Fish. Soc. 33: 393-398 (2000) 

  15. Ryu BH, Kim DS, Cho KJ, Sin DB.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1989) 

  16. Oh CK, Oh MC, Kim SH, Rhim SB, Kim SH.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ea-mustard and sea tangle. J. Korean Fish. Soc. 31: 90-94 (1998) 

  17. Nakashima H, Kido N, Kobayashi N, Motoki M, Neushul M, Yamamoto 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vian myeloblastosi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sulfate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sea algae. Antimicrob. Agents Ch. 31: 1524-1528 (1987) 

  18. Kim KH, Kim YW, Kim HB, Lee BJ, Lee DS. Anti-apoptotic activity of laminarin polysaccharides and their enzymatically hydrolyzed oligosaccharides from Laminaria japonica. Biotechnol. Lett. 28: 439-446 (2006) 

  19. Cyster JG. Chemokines and cell migration in secondary lymphoid organs. Science 286: 2098-2102 (1999) 

  20. Ha JC, Kim YH, Woo WH, Nam SY. Promotion of non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 activity by bo-yang-hwan-oh-tang. Korean J. Pharmacogn. 32: 226-232 (2001) 

  21. Diefenbach A, Rauler DH. The innate immune response to tumors and its role in the induction of T-cell immunity. Immunol. Rev. 188: 9-21 (2002) 

  22. Cho SH, Yang KM, Bae BS, Im SA, Yu RN. Effect of sea tangel intake on cytokine production in macrophage from normal and diabetic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52-959 (1998) 

  23. Lee IA, Popov AM, Sanina NM, Kostetsky EY, Novikova OD, Reunov AV, Nagorskaya VP, Shnyrov VL. Morph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ory complexes based on glycoglycerolipids from Laminaria japonica. Biochim. Biophys. Acta 51: 263-272 (2004) 

  24. Shida K, Suzuki T, Kiyoshima SJ, Shimada S, Nanno M. Essential roles of monocytes in stimulating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ith Lactobacillus casei to produce cytokines and augment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Clin. Vaccine Immunol. 13: 997-1003 (2006) 

  25. Agarwal BB, Traquna PR, Eessalu TE. Modulation of receptor and cytotoxic response of tumor necrosis factor-L by various lectins. J. Biol. Chem. 261: 13652-13656 (1986) 

  26. Hwang YC, Shin KS.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0-227 (2008) 

  27. Vetvicka V, Yvin JC. Effects of marine $\beta$ -1,3 glucan on immune reactions. Int. J. Immunopharmaco. 4: 721-730 (2004) 

  28. Yagoob P, Carder PC. The effect of fatty acids on lymphocyte functions. Int. J. Biochem. 12: 1705-1709 (1993) 

  29. Calder PC, Bond JA, Bevan SJ, Newsholeme EA. Unsaturated fatty acids inhibit interleukin-2 production by concanavalin Astimulated lymphocytes. Proc. Nutr. Soc. 50: 171-175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