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미셀룰라아제를 첨가한 백련차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lumbo nucifera G. Tea White Bread with Hemicellulas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0, 2008년, pp.1294 - 1300  

김영숙 (성화대학 식품계열) ,  김문용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헤미셀룰라아제를 0.01, 0.02, 0.03, 0.04%로 첨가하여 제조한 백련차 식빵 반죽의 pH, 총산도 및 발효 팽창력, 백련차 식빵의 품질 특성인 pH, 총산도, 비용적, 굽기손실률,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 외부와 내부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반죽의 pH와 총산도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발효 시간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모두 발효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련차 식빵의 pH는 헤밀셀룰라아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용적은 헤미셀룰라아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굽기 손실률은 헤미셀룰라아제 0.04% 첨가군이 14.31%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1% 첨가군이 13.33%으로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은 대조군이 40.60%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3% 첨가군은 40.32%로 가장 낮았다. 명도는 대조군이 41.11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1% 첨가군이 40.35로 가장 낮았으며, 녹색도는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황색도는 헤미셀룰라아제 0.01% 첨가군이 19.28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4% 첨가군이 18.08로 가장 낮았다.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헤미셀룰라아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복원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껍질색과 내부색은 시료들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식빵의 크기와 부피, 기공의 크기는 대조군이 가장 작았고, 헤미셀룰라아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빵속살의 색상, 기공의 밀도와 균일성, 빵속살의 경도 및 탄력성은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향미는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부드러움, 씹힘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잎향, 구수한맛, 떫은맛, 쓴맛 및 이취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헤미셀룰라아제 0.02$\sim$0.03% 첨가는 반죽의 발효 팽창력, 식빵의 비용적, 조직감, 내부적 특성, 소비자 기호도 및 특성강도 등의 품질 특성을 고려할 때 식빵의 품질 특성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lumbo nucifera G. tea white bread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01, 0.02, 0.03, and 0.04% hemicellulase to flour of the basic formulation. The experiments and control were then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total titratable acidity,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빵의 부피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백련차 분말을 첨가한 우리밀 밀가루에 헤미셀룰라아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백련차 식빵의 반죽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NS: not significant. 2)TTA: total titratable acid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micellulose이 제빵성을 낮춘다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은? Hemicellulose는 일반적으로 제빵성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물 흡수성과 반죽시간에 대한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Hemicellulose는 알칼리 용액이나 hemicellulase로 가용화시키면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1). 헤미셀룰라아제는 pentosan을 가수분해 시켜 물 결합 능력을 파괴하여 물을 방출시킴으로써 반죽의 수분 흡수력을 감소시키고 반죽을 부드럽게 하여 빵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내부구조를 좋게 하며 제빵성을 향상시킨다(2,3).
hemicellulase는 어떤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가? 헤미셀룰라아제는 빵 반죽의 끈적거림을 감소시키고, 빵의 부피와 내부 구조를 향상 시키며, 저장수명의 증가, 노화의 감소에 관한 연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6-12).
제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전분다당류의 성질은 무엇인가? 0%의 수용성 pentosan과 불용성인 hemicellulose로 나눈다. NSP는 물과 강하게 결합하는 성질 때문에 제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SP는 g당 10 g의 물과 결합하는데, 이 수치는 전분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Popper L. 2007. Flour treatment. In Future of flour. Popper L, Schafer W, Freund W, eds. Agrimedia, Bergen/Dumme, Germany. p 232-235 

  2. McCleary BV, Gibson TS, Allen H, Gams TC. 1986. Enzymic hydrolysis and industrial importance of barley $\beta$ -glucans and wheat flour pentosans. Starch/Starke 38: 422-437 

  3. Haseborg E, Himmelstein A. 1988. Quality problems with high-fibre breads solved by use of hemicellulase enzymes. Cereal Foods World 33: 419-422 

  4. 노봉수, 장판식, 이승철. 2003. 식품효소공학. 신광출판사, 서울. p 314-334 

  5. Matt J, Roza M, Verbakel J, Stam H, Santos da Silva MJ, Bosse M, Egmond MR, Hangemans MLD, Gorcom RFMV, Hessing JGM, van der Hondel CAMJJ, Rotterdam CV. 1992. Xylanases and their application in bakery. In Xylans and Xylanases. Visser J, Beldman G, Kusters-van Someren MA, Vorangen AGJ, eds. Elsevier Science, Amsterdam, The Netherlands. p 349-360 

  6. Dagdelen AF, Gocmen D. 2007. Effects of glucose oxidase, hemicellulase and ascorbic acid on dough and bread quality. J Food Qual 30: 1009-1022 

  7. Martin CP, Wang M, Lichtendonk WJ, Plijter JJ, Hammer RJ. 2005. An explanation for the combined effect of xylanase-glucose oxidase in dough systems. J Sci Food Agric 85: 1186-1196 

  8. Prabhasankar D, Jyotsna R, Rao GV. 2004. Influence of enzymes on rheological, microstru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rotta-an unleavened indian flat bread. J Sci Food Agric 84: 2128-2134 

  9. Martin CP, Valera R, Martinez-Anaya MA. 2003. Effect of pentosanase and oxida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doughs and the glutenin macropolymer (GMP). J Agric Food Chem 51: 4673-4679 

  10. Hilhorst R, Dunnewind B, Orsel R, Stegeman P, Viliet TV, Gruppem H, Schols HA. 1999. Baking performance, rhe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eat dough and gluten affected by xylanase and oxidative enzymes. J Food Sci 64: 808-813 

  11. Laurikainen T, Harkonen H, Autio K, Poutanen K. 1998. Effects of enzymes in fibre-enriched baking. J Sci Food Agric 76: 239-249 

  12. Collar C, Andreu P, Martinez-Anaya MA. 1998. Interactive effects of flour, starter and enzyme on bread dough machinability. Z Lebensm Unters Forsch 207: 133-139 

  13. Lee SJ, Pai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 Nutr 21: 56-63 

  14. Shin GM, Park JY. 2008.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 231-235 

  15. Kim HS, Kang JS.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by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9-116 

  16. Choi SN,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64-670 

  17. Oh HK, Shin MS, Lim HS.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amul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43-650 

  18. Kim JS, Jeong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Crataegus pinnatifida Bung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125-129 

  19. Choi DM, Lee DS, Chung SK. 2007. Effects of fermentation pine needle extract on the quality of plain bread. Korean J Food Preserv 14: 154-159 

  20. Shin DH, Kim DW, Jeoung YN.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aloe (Aloe vera Linne). Korean J Food & Nutr 20: 399-405 

  21. Song MR, Lee KS, Lee BC, Oh MJ. 2007.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various ginseng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4: 369-377 

  22. Lee YS, Kim WM, Kim TH. 2007. A study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added waxy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37-345 

  23. Kim WM, Lee YS. 2007.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 178-185 

  24. Lee KS, Kim SH. 2007.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with mixed vegetable powder. Korean Acad Soc Hospital Admin 16: 169-184 

  25. Kim KT, Choi AR, Lee KS, Joung YM, Lee KY.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61-468 

  26. Kim KH, Song MY, Yook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Chungkukjang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53-859 

  27. Han IJ, Kim RY, Kim YM, Ahn CB, Kim DW, Park KT, Chun S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242-249 

  28.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9.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e.V. (Association of cereal research). 1994. Standard-Methoden fur Getreide, Mehl und Brot. 7th ed. Verlag Moritz Schafer, Detmold, Germany. p 283-287 

  30.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31. Freund W. 1995. Backerei-Konditorei Management V.: Verfahrenstechnik Brot und Kleingeback. Gildebuchverlag, Alfeld (Leine), Germany. p 97 

  32. Chabot JF. 1976.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can Electro Microsc 3: 279-283 

  33. Butt MS, Tahir-Naddem M, Ahmad Z, Sultan MT. 2008. Xylanases and their applications in baking industry. Food Technol Biotechnol 46: 2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