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기엽(Lycium chinesis Miller Lycii folium)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최적추출 용매를 설정하고자 100% MeOH, 80% MeOH, 80% EtOH 및 water로 혼합 용매를 제조하여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은 80% MeOH 1.420 mg/mL> 80% EtOH 1.382 mg/mL> 100% MeOH 1.085 mg/mL> water 1.084 mg/mL 순으로 나타났고,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에서도 80% MeOH 추출물에서 83.85%, 88.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 54.65%, 67.47%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80% MeOH 추출물에서 73.58%로 가장 높았고, 100% MeOH 추출물에서 66.65%로 가장 낮은 활성이었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 또한 80% MeOH에서 35.4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100% MeOH 추출물에서 11.70%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지만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 검토에서 80% Me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구기엽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Lycii folium were extracted with water, 80% ethanol (80% EtOH), 80% methanol (80% MeOH) and 100% methanol (100% MeOH) in water bath at $40^{\circ}C$. The antioxida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실제 식품으로서의 응용가치와 추출방법에 따른 기능성 효과 등에 관련된 연구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높은 구기엽의 최적 추출용매를 설정하고자 용매로서 에탄올과 메탄올 그리고 물과 혼합하거나 물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구기엽(Lycium chinesis Miller Lycii folium)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최적추출 용매를 설정하고자 100% MeOH, 80% MeOH, 80% EtOH 및 water로 혼합 용매를 제조하여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은 80% MeOH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나무는 무엇인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sis Miller)는 충청남도 청양군과 전라남도 진도군이 주생산지이며, 가지과(Slonanceae)에 속하는 낙엽송 소목으로, 그 뿌리를 지골피, 잎은 구기엽, 어린순은 천정초, 열매를 구기자(Lycii fructus)라 한다(1,2). 구기엽에는 glutamic acid, proline, rutin, betaine, vitamin C 등이 들어있다.
구기엽에는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sis Miller)는 충청남도 청양군과 전라남도 진도군이 주생산지이며, 가지과(Slonanceae)에 속하는 낙엽송 소목으로, 그 뿌리를 지골피, 잎은 구기엽, 어린순은 천정초, 열매를 구기자(Lycii fructus)라 한다(1,2). 구기엽에는 glutamic acid, proline, rutin, betaine, vitamin C 등이 들어있다. Betaine은 구기엽에 10~20 mg/g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숙취를 해소해주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3).
구기엽에 함유되어 있는 rutin의 주요 효능은 무엇인가? 구기엽에 함유되어 있는 rutin은 최초로 메밀에서 분리되었으며 구기엽에 함유되어 있다. Rutin의 주요 효능은 혈압억제,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로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고 그 외 성분으로 rutin과 유사한 flavonoid계 화합물들이 지질대사 조절능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여 새로운 식품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4). 이와 같이 몸에 좋은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구기엽은 봄에 나오는 연한 순으로 이를 살짝 데쳐 나물로 무치거나 볶고 튀김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ou SY. 1988. Medicinal plant culture. Ohsung Press Co., Seoul. p 244-253 

  2. Lee SR. 1983. Studies on quality of Korean Lycium chinensis M. Korean J Crop Sci 28: 267-271 

  3. Barak AJ, Beckenhauer HC, Badkhsh S, Tuma DJ. 1997. The effect of betaine in reversing alcoholic steatosis. Alcohol Clin Exp Res 21: 1100-1102 

  4. Lee JC, Lee BC, Park OC, Kim SD, Cho LS, Back SW, Lee BH. 2003. Lycium chinesis Miller. Chungnam A.T.A. Chungyang Aoxthorn Experimental Station. p 12 

  5. Lee JC, Lee BC, Park OC, Kim SD, Cho LS, Back SW, Lee BH. 2003. Lycium chinesis Miller. Chungnam A.T.A. Chungyang Aoxthorn Experimental Station. p 135 

  6. Lee JC, Lee BC, Park OC, Kim SD, Cho LS, Back SW, Lee BH. 2003. Lycium chinesis Miller. Chungnam A.T.A. Chungyang Aoxthorn Experimental Station. p 113 

  7. Kim TS, Park WJ, Kang MH. 2007.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vitamin C during storage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78-1582 

  8. Kendler BS. 2006. Supplemental conditionally essential nutrients in cardiovascular disease therapy. J Cardiovasc Nurs 21: 9-16 

  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0. Kang MH, Park CG, Cha MS, Seong ES, Chung HK, Lee JB. 2001.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each extract prepared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from by-products of Glycrrhizia ural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8-142 

  11. Tsuda T, Oshinori YF, Katsumi O, Yamamoto A, Kawakishi S, Osawa T. 1995. Antioxidative activity of tamarined extract prepared from the seed coat. Nippon Shokuhin Kaishi 42: 430-435 

  12.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s on an ABTS peroxidase medium. Microbiol Hyg 259: 151-155 

  13. SAS. 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USA 

  14.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8: 219-224 

  15.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Korean J Food 11: 352-357 

  16. Kang MH, Choi CS, Kim JS, Chung HK, Min KS, Park CK,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17. Kang MJ, Shin SR, Kim KS. 2002. Antiox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 9: 253-259 

  18. Choi CS, Song ES, Kim JS,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19. Kim YC, Chung SK. 2002. Relative oxygen radical species scavenging effe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leaves. Food Sci Biotechnol 11: 407-411 

  20. Kim TY, Park JR, Kim JH.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21-625 

  21. Hong HD, Kang NK,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22. Kim SM, Cho YS, Sung G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3. Chung SK. 1997. Hydroxy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eci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24. Woo NRY, Kim TS, Park HW, Park CG, Seong HJ, Ko SB, Tung JW, Kang MH. 2005.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rotalaria sessiliflora L. extracts from leaves, seed, stem and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7-1301 

  25. 美濃眞. 1967. 老化. 化學人, 東京. p 27 

  26. Yoo MA, Chung HK, Kang MH. 2004.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cultivar grape seed waste. J Korean Soc Food Sci 13: 2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