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미 연어 분말 식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asoned Salm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0, 2008년, pp.1323 - 1329  

허민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김진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연어를 이용한 조미 분말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시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은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 함량이 42.1%, 단백질 함량이 30.3%, 지질 함량이 18.9%, 회분 함량이 6.2%이었고, 헌터 색조의 경우 백색도가 68.14, 적색도가 7.86, 황색도가 19.13, 그리고 색차가 35.12이었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이 360 mg/100 g으로 시판 조미 연어 분말의 234 mg/100 g에 비하여 54%가 높았다. 또한, total taste value는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이 시제 조미 연어 분말에 비하여 2.2배가 높았고, 이들의 주성분은 glutamic acid(각각 90.640 및 39.840)이었다. 주요 구성 지방산은 조미 연어 분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두 제품이 모두 16:0, 18:1n-9, 18:2n-6 및 22:6n-3 등이었다. 아미노산 총 함량은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이 29.05 g/100 g으로 시판 조미 연어 분말의 20.79 g/100 g에 비하여 높았고, 두 제품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lysine 등이었다.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을 섭취하는 경우 철의 보강 효과는 약간 기대되었으나 칼슘의 보강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리라 판단되었고, 시제품이 시판품에 비하여 맛, 색조 및 냄새와 같은 모든 항목에서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using salmon, development of seasoned salmon powder was attempt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lso examined. In the seasoned salmon powder prepared in this experiment (product P), the proximate composition was 42.1% moisture, 30.3% protein, 18.9% lipid, and 6.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연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밥에 뿌려 먹을 수 있는 조미 연어 분말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조미 연어 분말 시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 연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연어를 이용한 조미 분말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시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시제 조미 연어 분말은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 함량이 42.

가설 설정

  • 1)Values are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f three determin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어의 형태적 특성은 무엇인가? 이러한 수산가공업계의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과 더불어 연어와 같이 계절에 관계없이 꾸준히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어종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1). 연어(Oncorhynchus kuta)는 연어과이면서 바다에서 성장하여 산란기에 민물로 돌아오는 대표적인 회귀성 어종으로,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면서 입이 크며, 회귀 시 어획된 경우 전장이 일반적으로 60~80 cm에 이른다(2). 이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어는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및 docosahexaenoic acid(DHA, 22:6)와 같은 건강 기능성 고도불포화지방산을 가지고 있어 건강 기능적으로 의미가 있고(3), 비린내가 적으면서 육색이 축육과 유사한 선홍색을 가지고 있어 축육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동물성 단백자원 중의 하나이다.
연어의 식품학적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현재 연어의 식품학적 연구로는 국내에서는 함질소 엑스성분에 관한 연구와 같은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4), mince의 저장 특성에 관한 연구(5), 조미 가공품의 제조와 같은 가공에 관한 연구(6), 정자로부터 프로타민의 분리(7), 효소 가수분해에 의한 어류단백농축물의 특성 개선(8), 난으로부터 단백분해효소 저해제의 분리 및 특성(9)과 같은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등이 다수 있고, 국외에서는 통조림의 냉장처리 원료의 영향(10)과 필렛(fillet)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한 염 및 열처리의 영향(11)과 같은 가공공정 중 품질변화와 같은 연구, 필렛의 키토산 코팅 처리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억제(12) 및 슈퍼칠링(super-chilling) 중 성분 변화(13)와 같은 저장 중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및 부산물로부터 지질 추출(14)과 같은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와 같이 다양하게 시도된 바 있다. 하지만, 연어를 이용한 신제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적고, 또한 신세대의 기호에 맞추어 주식인 밥에 즉시 뿌려먹을 수 있게 할 목적의 조미 연어 분말 제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연어 양식을 시도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어는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및 docosahexaenoic acid(DHA, 22:6)와 같은 건강 기능성 고도불포화지방산을 가지고 있어 건강 기능적으로 의미가 있고(3), 비린내가 적으면서 육색이 축육과 유사한 선홍색을 가지고 있어 축육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동물성 단백자원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영양 및 건강 지향적 어종이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어종인 연어는 노르웨이 및 칠레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양식하여 다량으로 공급이 가능하고, 우리나라에서도 강원도를 중심으로 양식을 시도하여 일부 성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산가공학적 면에서 원료 확보에 어려움이 없으면서, 가공적성이 우수한 연어는 비린내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면서 축육에 익숙한 미국 및 유럽의 소비자들은 물론이고, 서구식에 익숙한 우리나라 신세대들과 건강을 우려하는 기성세대의 경우도 선호하고 있어 소비자 선호도 면에서도 우수한 고급 어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YH, Chang DS,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ungsul Publishing Co., Seoul. p 49-55 

  2. Kim JS, Heu MS, Kim HS, Ha JH. 2007.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seafood processing. Hyoil Publishing Co., Seoul. p 38-41 

  3. Mehta J. 1987. Eicosapentaenoic acid, its relevance in atherosclerosi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 J Cardiol 59: 155-159 

  4. Park CK, Souh SB, Lee EH. 1996. Studies on the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Korea. J Korean Fish Soc 29: 51-63 

  5. Han MK. 2001. Oxidative stability of salmon (Salno salar) mince as affected by an added stabilizing protein ingredient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 Nutr 14: 300-304 

  6. You BJ. 1997. Changes of salmon meat texture during semi-drying process. J Korean Fish Soc 30: 264-270 

  7. Joo DS, Cho SY, Kang HJ, Jin DH, Lee CH. 2000.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otamine prepared from salmon sp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02-907 

  8. Lee JH, Lee KT, Park SM, Park CK. 1998. Improvement of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mon FPC by enzymatic partial hydrolysis. 1. Production of salmon FPC hydrolysates and their general properties. J Korean Fish Soc 31: 132-138 

  9. Kim KY, Ustadi U, Kim SM. 2006. Characteristics of the protease inhibitor purified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eggs. Food Sci Biotechnol 15: 28-32 

  10. Rodriguez A, Carriles N, Gallardo JM, Aubourg SP. 2009. Chemical changes during farmed coho salmon (Oncorhynchus keisutch) canning: effect of a preliminary chilled storage. Food Chem 112: 362-368 

  11. Bahuaud D, Morkore T, Langsrud O, Sinnes K, Veiseth E, Ofstad R, Thomassen MS. 2008. Effects of - $1.5^{\circ}C$ super-chilling on quality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pre-rigor fillets: cathepsin activity, muscle histology, texture and liquid leakage. Food Chem 111: 329-339 

  12. Porsby CH, Vogel BF, Mohr M, Gram L. 2008. Influence of processing steps in cold-smoked salmon production on survival and growth of persistent and presumed non-persistent Listeria monocytogenes. Int J Food Microbiol 122: 287-295 

  13. Dunn AS, Rustad T. 2008. Quality of superchilled vacuum pack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fillets stores at -1.4 and - $3.6^{\circ}C$ . Food Chem 106: 122-131 

  14. Wu TH, Bechtel PJ. 2008. Salmon by-product storage and oil extraction. Food Chem 111: 868-871 

  1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69-74 

  16. Kato H, Rhue Mr, Nishimura T. 1989. Role of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In Flavor chemistry: Trends and development.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158-174 

  17. Han BW, Kim HS, Jee SJ, Lee JH, Kim HJ, Park SH, Ji SG, Heu MS, Kim JS. 2007. Characteristics of hot-water extracts from salmon frame as basic ingredients for Gomtang-like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26-1333 

  18. Heu MS, Park SH, Kim HS, Jee SJ, Lee JH, Kim HJ, Han BW, Kim JS. 2007.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omtang-like product from salmon frame using commercial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96-1603 

  19.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20. Tsutagawa Y, Hosogai Y,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21. Steel RGD, Torrie H. 198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1st ed. McGraw-Hill Kogakusha, Tokyo. p 187-221 

  22. Takeuchi MA, Fuji TO, Yamasawa MK. 2000. Dictionary of seafoods. Asacura Publsing Co., Tokyo. p 80-81 

  23. Kim JS, Kim HS, Heu MS. 2006. Modern introductory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p 27-31 

  24. Heu MS, Park CK, Jee SJ, Min KH, Kim MJ, Kim EJ, Kang KT, Kim JS. 2007.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oyster sl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7-92 

  25. Kim JS, Kim HS, Heu MS. 2006. Modern introductory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p 45-48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ed.). Chungang Publishing Co., Seoul. p 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