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 마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0, 2008년, pp.1369 - 1374  

정창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심기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배영일 (바이오 21센터) ,  최진상 (진주산업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의 일반성분과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0.5, 1.0, 2.0 및 4.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마늘의 일반성분은 일반성분 중 수분 $4.72{\pm}0.14%$, 조단백질 $19.46{\pm}0.28%$, 조지방 $1.21{\pm}0.10%$, 가용성 무질소물 $68.45{\pm}2.06%$, 조섬유 $2.38{\pm}0.05%$회분 $3.78{\pm}0.06%$이었다.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및 함수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 전 반죽의 색도는 동결 건조 마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L, a 및 b값 모두 증가하였으며, 조리한 생면의 색도 중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밀가루만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부착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응집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동결건조 마늘 분말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proximate compos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with the addition of freeze dried garlic powders prepared at 0.5, 1.0, 2.0, and 4.0% based on flour source, respectivel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nitrogen free extract, crude fiber, and crud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의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생면의 관능 평가는 경상대학교 농생명학부 식품공학전공 학생 10명에게 실험의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시킨후 색, 향, 맛,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의 평가 항목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생면을 5분간 조리하여 흐르는 물에 냉각시킨 후 건져서 물기를 제거한 다음 즉시 관능검사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6월에 대량 출하되는 남해산 마늘을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그 이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확직후 생마늘의 경우 장기저장이 곤란한 이유는 무엇인가? 결국 alliin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함황화합물들은 혈압강하작용(14), 항균작용(15), 항암작용(16), 항산화 작용(17) 항돌연변이 작용(18),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 및 항당뇨 효과(19), 이뇨작용 및 정장작용(20) 등의 많은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수확직후 생마늘의 경우 수분 함량이 많아 저장 중 발아와 부패 및 심한 중량 감소로 인하여 장기저장이 곤란하며,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건조시킨 분말 제품은 저장성을 증대하지만 마늘이 갖는 본래의 맛과 향기를 잃기 쉬울 뿐 아니라 장기간 저장 중 갈변 및 부패가 일어나기 쉽고, 약제 및 가열살균이 곤란하여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늘이 가지는 본래의 맛과 향미, 색깔 등의 손실이 수반되는 큰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효과적인 일시 대량 가공 기술이 미흡하여 보다 효과적인 이용법이 요구된다(21).
밀가루에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만든 생면반죽과 조리 후 생면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밀가루에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만든 생면반죽과 조리 후 생면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Table4, 5와 같다. 조리 전 생면 반죽의 L값은 82.5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0.5∼4.0% 첨가한 생면의 L값은 86.36∼85.26으로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 첨가에 따라 L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면 반죽의 a값은 -2.81로 나타난 반면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생면 반죽은 -2.69∼-2.44로 적녹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생면 반죽의 b값은 대조구 22.45에 비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0.5∼4.0% 첨가한 시료에서 22.79∼27.25범위로 동결건조 분말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b값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Table 4). 조리한 후 생면의 L값은 59.69로 나타났으며,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생면은 L값이 58.95∼55.87로 마늘 분말 첨가량 0.5~2.0%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0% 첨가구에서는 55.87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값은 마늘 분말 첨가구에서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b값은 대조구가 7.27±0.03에 비해 마늘 분말을 첨가한 시료에서 8.51±0.03~10.15±0.08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Table5). 그리고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면과 조리면의 총색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4, 5). 이는 동결건조 한 마늘분말 특유의 색이 연노랑색을 띄고 있어 생면의 황청도가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Kim 등(38)은 색깔은 국수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로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이 큰 국수가 더 선호된다는 면을 감안하면 미강과 같은 부재료의 첨가가 오히려 품질의 저해 요인이 된다고 보고하여 생면을 제조할 때 색깔과 같은 영양과 건강뿐만 아니라 관능적인 측면도 많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마늘을 이용한 가공품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건조시킨 분말 제품은 저장성을 증대하지만 마늘이 갖는 본래의 맛과 향기를 잃기 쉬울 뿐 아니라 장기간 저장 중 갈변 및 부패가 일어나기 쉽고, 약제 및 가열살균이 곤란하여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늘이 가지는 본래의 맛과 향미, 색깔 등의 손실이 수반되는 큰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효과적인 일시 대량 가공 기술이 미흡하여 보다 효과적인 이용법이 요구된다(21). 현재까지 마늘을 이용한 가공품에 관한 연구로는 향신료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별 품질특성 변화(22), 부재료(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 및 쌈장의 품질평가(23), 마늘첨가가 김치의 숙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24), 다양한 수준의 마늘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연구(25), 마늘의 첨가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26), 마늘약과의 개발에 관한 연구(27), 마늘 첨가 두부제조 시 응고제가 물성에 미치는 영향(28), 마늘 분말의 첨가가 요구르트의 제조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29), 마늘 즙 첨가에 따른 쿠키의 품질특성(30), 증숙 마늘 분말 첨가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31) 등이 있으나 마늘의 효과적인 이용 및 대량 소비를 위하여 다양한 가공 기술개발이 요구되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ttp://www.thinkfood.co.kr/main/php/search_view.php?idx26212 

  2. Park KD. 1995. A study f dried noodles prepared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job's tears and wheat flour. Korean J Food Nutrition 8: 325-329 

  3.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73-1380 

  4. Lee JW, Kee HJ,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5. Lee JW, Kee HJ,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6. Kim YA. 2002. Effect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7. Kim YA. 2002. Effect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6632- 

  8.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 120-127 

  9. Kwon SK. 2003. Organosulfur compounds from Allium sativum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J Appl Pharmacol 11: 8-32 

  10.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준. 1997.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 출판 정담, 서울. p 947-956 

  11. Park MH, Kim JP, Kwon DJ. 199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garlic bul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05-212 

  12. Small LD, Bailey JH, Cavallito CJ. 1949. Comparison of some properties of thiosulfonates and thiosulfinates. J Am Chem Soc 71: 3565-3566 

  13. Lawson LD, Wood SG, Hunges BD. 1991. HPLC analysis of allicin and other thiosulfinates in garlic clove homogenates. Planta Med 57: 263-270 

  14. Chi MS, Koh ET, Stewart TT. 1982. Effects of garlic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cholesterol or lard. J Nutr 122: 241-248 

  15. Shashikanth KN, Basapepa SC, Murthy VS. 1981.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nd stimulatory factors of garlic (Allium sativum L.). J Food Sci Technol 18: 44-47 

  16. Lim SW, Kim TH. 1997. Physiological activity of and ethanol extract from korean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48-354 

  17. Kim SM, Kubota K, Kobayashi A. 1997.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fur-containing flavor compounds in garlic. Biosci Biotech Biochem 61: 1482-1485 

  18. Yamasaki T, Tool RW, Law BHS. 1991. Effect of allicin, a phytoalxin produced by garlic, on mutagenesis, DNAbinding and metabolism of aflatoxin B1. Cancer Lett 59: 89-94 

  19. Kumari K, Augusti KT. 1995. Antidiabetic effect of Smethylcystein sulfoxide on alloxan diabetes. Planta Medica 61: 72-74 

  20. Eric B. 1985. The chemistry of garlic and onions. Chemical News 22: 245-249 

  21. Kim YP, Lee GW, Oh HI. 2006. Po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garlic oleoresin an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leoresi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19: 219-226 

  22. Kim ML, Park GS, An Sh, Choi KH, Park CS. 2001. Quality change of breads with spices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195-203 

  23. Lee KI, Moon RJ, Lee SJ, Park KY. 2001.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472-477 

  24. Cho HK, Park SH, Jo JS, Jung CS. 2001. Effect of the garlic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70-477 

  25. Lee HY, Jeong SJ, Heo MY, Kim K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varied level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37-641 

  26. Park YJ, Nam YL, Jeon BR, Oh NS, In MJ. 2003. Effects of garlic addition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29-332 

  27. Mun SI. 2003. A study of garlic-Yackwa development.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Yackwa substitu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arlic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85-1291 

  28. Park YJ, Oh NS, Han MS, Park MK, In MJ. 2004. Effects of coagulants on the yield and textur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Tofu) containing garlic.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7: 370-372 

  29. Cho JR, Kim JH, In MJ. 2007. Effect of garlic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48-52 

  30. Shin JH, Lee SJ,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09-614 

  31. Shin JH, Choi DJ, Kwen OC.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96-702 

  3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3. Hwang JH, Jang MS. 2001.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juice on the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wet noodle (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73-379 

  34. Jeong CH, Kim JH, Cho JR, Ahn CG, Shim K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Korean paprik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79-784 

  35. SAS. 1997.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e Inc., Cary, NC, USA 

  36. Lee MK, Park JS, Na HS. 2005. Proximate compositions of green garlic powder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bread with green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2: 95- 100 

  37.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38.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