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비만도 및 식습관의 차이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3 no.5, 2008년, pp.646 - 654  

김정화 (숭의여자대학 유아교육과) ,  하애화 (숭의여자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경숙 (숭의여자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hers' nutrition knowledge on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456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ged 3 to 5 years, who were enroll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유아비만이 성인비만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유아기는 어머니의 영양관리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따른 자녀의 식습관 및 비만도를 조사하여 유아비만과 어머니의 영양지식과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더 나아가 증가 추세에 있는 유아비만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및 비만관련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 유아 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456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 형성 과정에 밀접히 관련된 세 요소는? 일반적으로 식습관 형성 과정에는 학교, 가정, 사회의 세 요소가 밀접히 관련된다.유아들은 영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스스로 섭취할 음식을 선택하기보다는 어머니가 선택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머니를 포함한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유아기가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시기인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기는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짧지만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신체의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는 한편 각 신체기관의 크기와 기능에 있어 지속적인 발육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지능은 전체 발달의 50%가 임신기에서부터 4세 사이에 이루어지며, 나머지 30-40%도 4세에서 8세 사이에 이루어진다(Kwak & Kim 2001).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는? 유아기는 또한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이때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기의 식습관 형성에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 시기 유아들은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의 구별이 뚜렷해져서 편식의 습관이 생기기 쉽고, 식욕부진에 의한 영양부족, 치아에 좋지 않은 당이 많은 식품의 섭취, 유행에 따른 식사섭취, 편중된 식사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Yo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ich I. 1987. The role of experience in children's food acceptance patterns. J Am Diet Assoc, 98(supp. 9): 536 

  2. Cheong HS.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others and food preference and other factors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 Home Econo Ass. 33(3):207-223 

  3. Choi WJ. 1982.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Kindergartners. Korean J Nut, 15:181-185 

  4. Chung SJ & Kim WY. 1985. Nutrition knoweldge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J Kor Home Econo Ass. 23(4):101-108 

  5. Durant R & Linder CW. 1981. An evaluation of five indexes of relative body weight for use with children. J Am Diets Assoc 71:35-41 

  6. Ha TY, Kim HY, Kim YJ. 1995.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J Korean Soc. Food Nutr. 24:10-18 

  7. Hyun WJ, Hong YJ. 2005. Personal maternal body image perceptions thei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930-942 

  8.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Report 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Sydney, pp12-25 

  9. Jang HS, Kwon CS. 1995.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food prefernces and nutrition intakes of hhousewives living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J Kor Sco Food Sci Nutr, 24(5):676-683 

  10. Jang YK, Lee SR, Lee SH. 2002.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Obese Children. The Korean J Home Economic Education, 40:155-164 

  11. Jung MS. 2005. The comparison of obesity-related stress, diet habit,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and level of quality of life on environment of life for middle aged women. Master's Thesis. DongDuck University, pp 62-66 

  12. Kang KJ. 2005. A study on food habits, nutrient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471-483 

  13. Kim EM, Park YO, Lee MW. 2002.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mothers on children's obesity. The Korean J Obesity, 11:301-307 

  14. Kim HA. 2004. Comparison of normal weight vs obese children in terms of family factors, eating habits and sociocognitive factors. J Kor Acad Child Health Nurse, 10:300-310 

  15. Kim KW, Lee MJ, Kim JH, Shim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 Nutr, 3(1): 21-33 

  16. Kwak NE, Kim YM. 2001.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Yangseowon. seoul. pp 37-49 

  17. Lee GS, Yoo YS. 1992.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rural housewives-based in Chonbuk province-. J Kor Home Econo Ass, 30(4):63-76 

  18. Lee KA. 2004. Effect of mothers nutrition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obesity inducing factor. Korean J Nutr, 37:464-478 

  19. Lee KA. 2002. The concern for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 s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 in Busan. Korean J Dietary Culture, 17:411-423 

  20. Lee JS. 1993. Nutritional survey of children of a day care center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J Korean Soc Food Nutr, 22:34-39 

  21. Lee SS, Kim YH. 2003.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management and parenting behavior related to childrens obesity. 생활과학연구논총, 7(1):203-221 

  22. Lee HS, Chang YK. 1985. A Study on the Homemaker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Nutrition.. Korean J Nutr 18:90-97 

  23. Nam S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ah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ing behaviro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ulture, 18:515-526 

  24. Park HO. 2002. The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Gyoonggi area. Master's Thesis. Yoen Sei Univeristy. pp 51-57 

  25. Park HS, Kang YJ, Shin ES. 1994. Serum liquid profiles and diet patterns in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Soc Obes., 3(1):47-54 

  26. Park JK. 1994.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Korean J Nutrition, 27(1):90-99 

  27. Park KA, Kim SH. 2005. Related factors on overweight among young children in the Kyungbuk Area. The Korean J Home Economic Education, 43:199-216 

  28. Park KE, Kim SH. 2007. Effects of stress on food habits, preference and frequency in Young children at Ky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164-182 

  29. Park SJ. 2000. A study of nutrition knoweldge, food behavior and weight control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26-32 

  30. Shin JW. 2005.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the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to prevent obesity. master's Thesis.Ewha Womens University. pp 35-37 

  31. Variyam, JL. 2001. Overweight children: is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factor? Food Review, 24(2):18-22 

  32. Whitaker RC, Phillips SM, Orzol SM, Burdette HL.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malnutrition and obesity among preschool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31:1187-1189 

  33. Yoon JY. 2003. Risk factors of obesity by body mass index i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p 22-26 

  34. You YY. 2005.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p 100-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