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까다로운 식습관과 성장상태 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picky eating behaviors and growth in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6 no.5, 2013년, pp.418 - 426  

심재은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까다로운 식습관을 다면적으로 정의하고 네가지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만 1~5세 유아에게서 나타나는 까다로운 식습관 실태를 조사하고 성장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까다로운 식습관 평가도구는 까다로운 식습관을 '적은 섭취량',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 '특정 식품군 거부', '특정 조리법 선호'의 네 가지 측면으로 정의하고, 까다로운 식습관으로 인지되는 유아의 식습관을 네 가지 측면에서 분류하여 전문가의 안면타당성 평가를 통해 작성되었다. 2) '적은 섭취량'을 측정하는 3문항과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을 측정하는 2문항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coefficient ${\alpha}$로 평가하였을 때 각각 0.88, 0.79였으며, 해당문항의 평균을 산출하여 중간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식습관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3) '특정 식품군 거부' 및 '특정 조리법 선호'는 다수의 식품에 대해 거부 및 선호 여부를 측정하여 한 가지 이상이라도 중간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식습관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4) 본 연구에서 개발된 까다로운 식습관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적은 섭취량'의 까다로운 식습관을 보이는 유아는 44%,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은 57%, '특정 식품군 거부'는 73%, '특정 조리법 선호'는 53%였다. 5) 네 가지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 중 '적은 섭취량' 측면의 특성을 가지는 유아는 연령대비신장 (p < 0.05)과 신장대비체중 (p < 0.0001)의 z-score가 모두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작았다. 그러나 나머지 세 가지 측면, 즉,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 '특정 식품군 거부', '특정 조리법 선호' 와 같은 까다로운 식습관은 성장상태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는 유아기에 흔히 나타나는 식생활 문제인 까다로운 식습관의 다면적 양상과 이것이 유아의 성장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활용하여 유아의 식생활과 성장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까다로운 식습관과 성장간의 관련성을 볼 때 특히 '적은 섭취량'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은 신장 성장정체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러한 식습관을 가지게 되는 원인과 중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식품에 대한 거부감', '특정 식품군 거부', '특정 조리법 선호'와 같은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은 신장대비체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것의 의미와 성장발달의 여러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icky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growth outcomes. In this study, picky eating behaviors were defined as containing four constructs of 'eating a small amount (ES),' 'neophoic behavior (NB),' 'refusal of specif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의 다면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까다로운 식습관과 성장상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기 어린이의 기본적인 건강성장 목표는 잠재된 최대성장(키)과 조화로운 체중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까다로운 식습관이 성장상태에 미치는 영향 및 서로 다른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까다로운 식습관을 다면적으로 정의하고 네가지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만 1~5세 유아에게서 나타나는 까다로운 식습관 실태를 조사하고 성장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까다로운 식습관은 유아기에 흔히 나타나는 식생활 문제의 하나로 그 정의나 측정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까다로운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을 네 가지 측면으로 정의하고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성장상태, 즉, 키 성장 잠재력의 발현과 키와 몸무게의 조화로운 성장이라는 성장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한 분석 결과 ‘적은 섭취량’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을 보이는 유아는 키 성장 잠재력의 발현과 키와 몸무게의 조화로운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모두 평균수준 이하의 성장상태를 나타내었으며, 까다로운 식습관을 가지지 않은 유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이 부진하여 성장정체 (growth faltering)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의 다면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까다로운 식습관과 성장상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기 어린이의 기본적인 건강성장 목표는 잠재된 최대성장(키)과 조화로운 체중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까다로운 식습관이 성장상태에 미치는 영향 및 서로 다른 측면의 까다로운 식습관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은 어떤 특성이 있는가? 까다로운 식습관에 대한 정의가 분명하지 않으나, 영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picky eating)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 특별한 조리방법의 선호, 특정 식품및 식품군 섭취 거부, 소량 섭취 등의 특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11-16)이러한 식습관은 양적인 섭취부족과 다양성이 낮은 식품섭취를 야기하고 이로 인한 유아기 성장정체와 성장불균형이 우려된다.
이유기를 거쳐 일반적인 성인식사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양육자들은 어떤 식사 문제를 경험하는가? 특히,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쉽게 변하지 않고 생애후반기의 건강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9)이유기를 거쳐 일반적인 성인식사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양육자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식사문제는 “밥 안 먹는 아이”, “음식을 가리는 아이”의 문제로, 2002년 미국에서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19~24개월인 유아의 50%가 까다로운 식습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0)
영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으로 어떤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가? 까다로운 식습관에 대한 정의가 분명하지 않으나, 영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picky eating)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 특별한 조리방법의 선호, 특정 식품및 식품군 섭취 거부, 소량 섭취 등의 특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11-16)이러한 식습관은 양적인 섭취부족과 다양성이 낮은 식품섭취를 야기하고 이로 인한 유아기 성장정체와 성장불균형이 우려된다.17,18)그러나 어린이의 까다로운 식습관에 관한 정의는 연구마다 다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HO Multicentre Growth Reference Study Group. Assessment of differences in linear growth among populations in the WHO Multicentre Growth Reference Study. Acta Paediatr Suppl 2006; 450: 56-65 

  2. Nicklas TA, Farris RP, Smoak CG, Frank GC, Srinivasan SR, Webber LS, Berenson GS. Dietary factors relate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early life. Bogalusa Heart Study. Arteriosclerosis 1988; 8(2): 193-199 

  3. Randall E, Marshall JR, Brasure J, Graham S. Dietary patterns and colon cancer in western New York. Nutr Cancer 1992; 18(3): 265-276 

  4. Kelder SH, Perry CL, Klepp KI, Lytle LL. Longitudinal tracking of adolescent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food choice behaviors. Am J Public Health 1994; 84(7): 1121-1126 

  5. Berenson GS, Srinivasan SR, Bao W, Newman WP 3rd, Tracy RE, Wattigney WA. Association between multipl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atherosclerosi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 Bogalusa Heart Study. N Engl J Med 1998; 338(23): 1650-1656 

  6. Lichtenstein AH, Kennedy E, Barrier P, Danford D, Ernst ND, Grundy SM, Leveille GA, Van Horn L, Williams CL, Booth SL. Dietary fat consumption and health. Nutr Rev 1998; 56(5 Pt 2): S3-S19 

  7. Lien N, Lytle LA, Klepp KI. Stability in consumption of fruit, vegetables, and sugary foods in a cohort from age 14 to age 21. Prev Med 2001; 33(3): 217-226 

  8. Skinner JD, Carruth BR, Bounds W, Ziegler PJ. Children's food preferences: a longitudinal analysis. J Am Diet Assoc 2002; 102(11): 1638-1647 

  9. Anzman SL, Rollins BY, Birch LL.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early eating environments and obesity risk: implications for prevention. Int J Obes (Lond) 2010; 34(7): 1116-1124 

  10. Carruth BR, Ziegler PJ, Gordon A, Barr SI. Prevalence of picky eate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caregivers' decisions about offering a new food. J Am Diet Assoc 2004; 104(1 Suppl 1): s57-s64 

  11. Jacobi C, Schmitz G, Agras WS. Is picky eating an eating disorder? Int J Eat Disord 2008; 41(7): 626-634 

  12. Carruth BR, Skinner J, Houck K, Moran J 3rd, Coletta F, Ott D. The phenomenon of "picky eater": a behavioral marker in eating patterns of toddlers. J Am Coll Nutr 1998; 17(2): 180-186 

  13. Carruth BR, Skinner JD. Revisiting the picky eater phenomenon: neophobic behaviors of young children. J Am Coll Nutr 2000; 19(6): 771-780 

  14. Lewinsohn PM, Holm-Denoma JM, Gau JM, Joiner TE Jr, Striegel- Moore R, Bear P, Lamoureux B. Problematic eating and feeding behaviors of 36-month-old children. Int J Eat Disord 2005; 38(3): 208-219 

  15. Wardle J, Guthrie CA, Sanderson S, Rapoport L.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1; 42(7): 963-970 

  16. Cooke L, Wardle J, Gibson E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port of food neophobia and everyday food consumption in 2-6-year-old children. Appetite 2003; 41(2): 205-206 

  17. Steyn NP, Nel JH, Nantel G, Kennedy G, Labadarios D. Food variety and dietary diversity scores in children: are they good indicators of dietary adequacy? Public Health Nutr 2006; 9(5): 644- 650 

  18. Wright CM, Parkinson KN, Shipton D, Drewett RF. How do toddler eating problems relate to their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growth? Pediatrics 2007; 120(4): e1069-e1075 

  19. Davies WH, Ackerman LK, Davies CM, Vannatta K, Noll RB. About your child's eating: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feeding relationship measure. Eat Behav 2007; 8(4): 457-463 

  20. Shim JE, Kim J, Mathai RA; STRONG Kids Research Team. Associations of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picky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J Am Diet Assoc 2011; 111(9): 1363-1368 

  21. Goulet O. Growth faltering: setting the scene. Eur J Clin Nutr 2010; 64 Suppl 1: S2-S4 

  22. Corvalan C, Kain J, Weisstaub G, Uauy R. Impact of growth patterns and early diet on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 children from developing countries. Proc Nutr Soc 2009; 68(3): 327-337 

  23. Dubois L, Farmer AP, Girard M, Peterson K. Preschool children's eating behaviours are related to dietary adequacy and body weight. Eur J Clin Nutr 2007; 61(7): 846-855 

  24. Galloway AT, Fiorito L, Lee Y, Birch LL. Parental pressure, dietary patterns, and weight status among girls who are "picky eaters". J Am Diet Assoc 2005; 105(4): 541-548 

  25. Oh YJ, Chang YK.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2006; 39(2): 184-191 

  26. Kim Y, Han YS, Chung SJ, Lee Y, Lee SI, Choi H. Characteristics of infants' temperaments and eating behaviors, mothers' eating behaviors and feeding practices in poor eating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4): 449-458 

  27. Galloway AT, Fiorito LM, Francis LA, Birch LL. 'Finish your soup': counterproductive effects of pressuring children to eat on intake and affect. Appetite 2006; 46(3): 318-323 

  28. Ogden J, Reynolds R, Smith A. Expanding the concept of parental control: a role for overt and covert control in children's snacking behaviour? Appetite 2006; 47(1): 100-106 

  29. Newman J, Taylor A. Effect of a means-end contingency on young children's food preferences. J Exp Child Psychol 1992; 53(2): 200-216 

  30. Birch LL, Marlin DW, Rotter J. Eating as the "means" activity in a contingency: effects on young children's food preference. Child Dev 1984; 55(2): 431-439 

  31. Birch LL, Marlin DW. I don't like it; I never tried it: effects of exposure on two-year-old children's food preferences. Appetite 1982; 3(4): 353-360 

  32. Bante H, Elliott M, Harrod A, Haire-Joshu D. The use of inappropriate feeding practices by rural parents and their effect on preschoolers' fruit and vegetable preferences and intake. J Nutr Educ Behav 2008; 40(1): 28-33 

  33. Dovey TM, Staples PA, Gibson EL, Halford JC. Food neophobia and 'picky/fussy' eating in children: a review. Appetite 2008; 50(2-3): 181-1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