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중독 발생지수 개발
Developing the Index of Foodborne Disease Occurrenc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1 no.4, 2008년, pp.649 - 658  

최국렬 (인제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  김병수 (인제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  배화수 (인제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  정우석 (인제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  조영준 (인제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학교와 기업 등의 단체 급식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관련분야에서는 식중독 예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온도에 따른 세균의 증식속도를 이용하여 식중독지수를 개발하여 식중독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정보가 식중독 발생상황과는 차이가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2004{\sim}2006$년)의 일별 식중독 발생과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최고기온, 습도, 월효과를 설명변수로 하고, 식중독 발생건수를 반응변수로 하는 로그선형모형(Log Linear Model)을 이용하여 식중독 발생의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사고발생지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수와 기존지수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지수가 식중독 발생 상황을 반영함에 있어서 더 나은 설명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Eating Out Businesses are making rapid progress and most of the schools and the firms serve the meals, the foodborne disease has occurred increasingly and lots of researches and the policies are studied to prevent it. In Korea, the foodborne disease index for prevention is developed by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지수를 보완하고 식중독 발생상황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식중독 발생건수를 반응변수로 하고 설명변수로는 일 최고기온과 상대습도 그리고 월효과를 사용하여 통계적 모형을 적합시키고 이로부터 식중독 사고발생지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권기성 (2006). 식중독의 발생동향 및 관리체계, , 118, 17-25 

  2. 김진수 (2006). 단체급식과 식품안전정책방향, , 11, 35-37 

  3. 신광순, 곽동경, 문혜경, 이지현, 안정화, 김윤주 (2004). 선진국의 식중독 관리 시스템 조사, , 8, 2091-2092 

  4. 최순곤 (2007). 식중독 예방관리 대책 추진 방향, 

  5. Agresti, A. (2007).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6. Ingraham, J. L. (1958). Growth of psychrophilic bacteria, Journal of Bacteriology, 76, 75-80 

  7. Krupnick, A., Batz, M. and Hoffmann, S. (2005). Prioritizing opportunities to reduc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A conceptual framework, Discussion Paper Series of Food Safety Research Consortium 

  8. Lindsey, J. K. (1995). Modelling Frequency and Count Data, Clarendon Press, Oxford 

  9. Xu, J., Zhang, X. and Li, Y. (2001). Kernel MSE algorithm : A unified framework for KFD, LS-SVM and KRR,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IJCNN-2001), 2, 1486-14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