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클리닉 방문부부의 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Proneness in Clinical Coupl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4, 2008년, pp.550 - 560  

공성숙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marital satisfaction or divorce likelihood in clinical couples. Methods: Clinical couples (n=57) who visited "M" couple clinic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005 to June 2006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부치료를 받는 부부들을 대상으로결혼만족도 변인과 이혼가능성 변인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결혼만족도와 이혼가능성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조사함으로써 부부의 이혼에 관련된 요인들을 보다 폭넓게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부들의 결혼만족도를높이기 위한 전략뿐 아니라 이혼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및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는 부부클리닉을 방문한 부부를 대상으로 각 배우자의 우울, 강박성, 성격요인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결혼만족도, 이혼가능성을 조사하고, 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와 이혼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향후 부부들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이혼을 예방하기 위한중재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부부클리닉을 방문한 부부를 대상으로 각 배우자의우울, 강박성, 성격요인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결혼만족도, 이혼가능성을 조사하고, 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와 이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부부클리 닉을 방문한 부부를 대상으로 각 배우자의 우울, 강박성, 성격요인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결혼만족도, 이혼가능성을 조사하고, 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강박성, 그리고 경조증.
  • 본 연구에서는 부부클리닉을 방문한 부부를 대상으로 각 배우자의 우울, 강박성, 성격요인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결혼만족도, 이혼가능성을 조사하고, 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와 이혼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첫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지금까지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강박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은 변인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 및 이혼가능성에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 향후 부부치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이혼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및후속연구에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ato, P. R., & Hohmann-Marriott, B. (2007). A comparison of high- and low- distress marriages that end in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 621-638 

  2. Arntz, A., Voncken, M., & Goosen, A. C. (2007). Responsibility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 experimental test.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5, 425-435 

  3.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4. Black, D. W., Gaffney, G., Schlosser, S., & Gabel, J. (1998). The impac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n the family: Preliminary finding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6, 440-442 

  5. Borenstein, M., Rothstein, H., & Cohen, J. (1997). Power and precis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6. Botwin, M. D., Buss, D. M., & Shackelford, T. K. (1997). Personality and mate preferences: Five factors in mate sele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65, 107-136 

  7. Bray, J. H., & Hetherington, E. M. (1993). Families in transition: Introduction and overview.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 3-9 

  8. Cho, D. K. (1985). The study of objective measurement for obsessional- compulsive behavi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list of obsessional-compulsive behavior in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Seoul University Student Review, 20, 78-90 

  9. Fals-Stewart, W., Birchler, G.R., Schafer, J., & Lucente, S. (1994). The personality of marital distress: An empirical typ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2, 223-241 

  10. Hathaway, S. R., & McKinley, J. C. (1943).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Rev. e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1. Heavey, C. L., Layne, C., & Christensen, A. (1993). Gender and conflict structure in marital interaction: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 16-27 

  12. Hjemboe, S., & Butcher, J. N. (1991). Couples in marital distress: A study of personality factors as measured by the MMPI-2.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7, 216-237 

  13. Hodgson, R. J., & Rachman, S. (1977). Obsessional-compulsive complai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5, 389-395 

  14. Kim, Y. H., Kim, J. H., Kim, J. S., Noh, M. L., Shin, D. K., Yeum, T. H., et al. (1994). The Guide for MMPI. Seoul: Korean Guidance 

  15. Korea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Institute. (2004). Clinical application of Gottman's marital therapy model. Seoul: Korea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Institute 

  16. Kwon, J. H., & Chae, G. M. (1999).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 123-139 

  17. Lee, I. S., & Yoo, Y. J. (1986). An assessment of the validity of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Home Management Association, 4, 1-13 

  18. Lee, K. S. (2001). Predictors of divorce intention, attempt, and pla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6, 97-119 

  19.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98-113 

  20. McCranie, E. W., & Kahan, J. (1986). Personality and multiple divorce. A prospective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4, 161-164 

  21. Ollendick, D. G., Otto, B. J., & Heider, S. M. (1983). Marital MMPI characteristics: A test of Arnold's sign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 240-245 

  22. Park, Y. H., & Ko, J. H. (2005). The effects of self and spouse's selfesteem, communication, conflict coping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 65-83 

  23. Previti, D., & Amato, P. R. (2003). Why stay married? rewards, barriers, and marital 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561-573 

  24. Rehman, U. S., Gollan, J., & Mortimer, A. R. (2008). The marital context of depression: Research, limitations, and new direc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8, 179-198 

  25. Roach, A., Frazier, L., & Bowden, S.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 537-545 

  26. Rogge, R. D., Bradbury, T. N., Hahlweg, K., Engl, J., & Thurmaier, F. (2006). Predicting marital distress and dissolution: Refining the two-factor hypothesi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 156-159 

  27. Rotermann, M. (2007). Marital breakdown and subsequent depression. Health Reports, 18(2), 33-44 

  28. Stokes, S. B., & Wampler, R. S. (2002). Remarried clients seeking marital therapy: Differences in levels of psychological and marital distress. Journal of Divorce &Remarriage, 38, 91-106 

  29. Weiss, R. L., & Cerreto, M. C. (1980). Development of a measure of dissolution potential.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8, 80-85 

  30. Whisman, M. A., Uebelacker, L. A., & Weinstock, L. M. (2004). Psychopatholog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both partn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 830-8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