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 안정화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Isometric Muscle Power and Muscle Activa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8 no.4, 2008년, pp.115 - 124  

김형수 (신세계신경외과) ,  형인혁 (윤형기정형외과) ,  김은영 (마산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의 방법 중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요통장애지수, 근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중재 군들은 6주 동안 주 5회,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 중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요통장애지수는 중재 기간에 따라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중재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여 통증과 장애정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2. 근력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은 모든 각도에서 중재 6주 후에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3. 근활성도는 복횡근은, 내복사글 복직근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근력이 증진됨에 따라 근활성도는 증가하였고, 외복사근은 매트 볼 운동군에서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은 각 기간 별로 요통장애지수, 근력과 각 근육의 근활성도에서 효율적 영향을 미치며, 보다 많은 적용을 통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influenced on the change of Oswestry back pain disability index(OBPDI), isometric muscle power(IMP), muscular activation with chronic low back pain(CLBP) patients after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Intervention was provided 6 weeks(5 days a week). Muscular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든 운동은 복횡근과 다열근, 기립근의 동시 수축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운동들이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연구가 미흡하여 이에 본 연구는 요통환자에 대한 치료적 중재 방법으로 체간의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여 근육의 기능적 향상이 체간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이 요통장애지수, 근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통환자 53명을 대상으로 매트 .
  • Jari 등(2001)은 척추 안정화 운동을 통해서 부척추근과 복부의 근육들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에 자원한 21세에서 39 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24명(여자 14명, 남자 10명)을 대상으로 부하량 증가가 이들 근육 활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운동 시 손에 부하량을 증가시킨다든지 불균형적인 체간자세와 사지자세를 유발케 할 경우에는 부척추근과 복직근, 외복사근에서의 활성을 보다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하고, 근력, 유연성, 균형, 민첩성 부족의 평가가 이루어 져야한다(Standaert Weinstein, & Rumpeltes 2008).이에 본 연구는 체간 안정화 운동이 만성 요통 환자에게 중재 후 요통의 장애지수와 근육의 기능적인 등척성 근력, 미치는 영향을 일아보고, 등척성 수축 시 복횡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복직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요통장애지수는 중재 기간에 따라 매트 .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중재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근 길이의 변화. 둘째 협력근과 길항근 사이의 동원 순서에 대한 불균형. 셋째, 상대적인 근 경직과 대상작용에 의존한 수축 또 국소근육계의 기능 이상에 대한 증거는 두 가지 주요한 하위 그룹 하에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는데, 첫째, 비정상적인 분절의 조절.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선엽.(2001). 요통 환자와 정상인의 양하지 체중지지 차이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8(1), 1-8. 

  2. 김선엽, 백인협.(2003).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 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1), 63-76. 

  3. 배성수, 김병조.(2001). 근육 불균형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3): 821-828. 

  4. 이동규, 이상용(2001). 8주간의 Medx운동과 Sling운동이 요추 추간판 수술환자의 체간근육의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6, 12권, 2호. 

  5. 이명희(2001). 요부신전운동프로그램에 의한 근력증가의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6. 정연우, 배성수(2004).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기능회복과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6(1), 153-169. 

  7. Bolgla LA, Uhl TL.(2007).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normaliz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he hip musculature.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7 102 -111. 

  8. Comerford M.J. & Mottram S.L..(2001) Movement and stability dysfunction -contemporary developments. Manual Therapy, 6(1), 15-26. 

  9. Crem JR, Kasman GS, Holtz J.(1998).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graphy. Gaithersburg, An Aspen Publication, 59-78. 

  10. Critchley D.(2002). Instruction pelvic floor contracion facilitates transversus abdominis thickness increase during low abdominal hollowing. Physiother Res Int, 7(2), 65-75. 

  11. David A. MacDonald, Lorimer Moseley G., Paul W. Hodges.(2006). The lumbar multifidus: Does the evidence support clinical beliefs? Manual Therapy, 11, 254 - 263. 

  12. Hides JA, Jull GA, Richardson CA(2001). Long-term effects of specific stabilizating exercise for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26(11), 243-248. 

  13. Hodges PW, Richardson CA.(1997).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 Brain Res, 114, 362-370. 

  14. Jari P, Tarn V, Olavi A. et, al. (2001).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15. Kofotolis N, Kellis E.(2006). Effects of two 4-week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ograms 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Phys Ther, 86(7), 1001-12. 

  16. Marshall PW & Murphy BA.(2005).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86, 242-9. 

  17. Niemisto L, Lahtinen-Suopanki T, Rissanen P, et al.(2003) A randomized trial of combined manipulation, stabilizing exercises, and physician consultation compared to physician consultation alone for chronic low back pain. Spine, 28, 2185-91. 

  18. O'Sullivan P.B.(2000).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ual Therapy, 5(1), 2-12. 

  19. Panjabi MM.(2003)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of Electromy and Kinegiology, 13, 371-379. 

  20. Richardson, Carolyn A, Snijders, Chris J., Hides, Julie A et al. (2002).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sacroiliac joint mechanics, and low back pain. Spine. 27(4). 399-405. 

  21. Saunders, S. W., Rath, D., & Hodges, P. W.(2004). Postural and respiratory activatin of the trunk muscles change with mode and speed of locomotion. Gait & posture, 20, 280-290. 

  22. Standaert CJ, Weinstein SM, Rumpeltes J.(2008).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he Spine Journal, 8, 114-120. 

  23.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2007).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Manual Therapy, 12, 271-279. 

  24. Stuge B, Even L, Kirkesola G et al.(2004). The Efficacy of a Treatment Program Focusing on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s for Pelvic Girdle Pain After Pregnancy. Spine, 29(4), 351-359. 

  25. Thomas, JS. France CR. Sha, D, Wiele NV.(2008) The Influence of Pain-Related Fear on Peak Muscle Activity and Force Generation During Maximal Isometric Trunk Exertions. Spine, 33(11), E342-E348. 

  26. Urquhant DM, Hodges PW, Allen TJ et al.(2005).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 of voluntary exercises. Manual Therapy, 10, 144-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