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 안정화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 폐활량,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Program on Body Balance, Lung Capacity, Muscular Activity of Healthy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4, 2015년, pp.43 - 51  

남형천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조윤진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강병주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슬비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안욱주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화주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  정수진 (경북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program on the body balance, lung capacity, and muscular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and external oblique of healthy adults. Method :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the city of Y in Gyeongsangbu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균형, 폐활량, 근활성도를 통합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2주간 체간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균형, 폐활량 및 복직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 정상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체간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뒤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 및 복직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2주간 정상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체간안정화운동을 시행하여 균형, 폐활량 그리고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간 안정화란 무엇인가? 체간 안정화란 체간 주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근육의 조절을 말하며(Akuthota와 Nadler, 2004) 사람의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관절에서의 큰 움직임이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Magee, 1999). 체간의 적절한 안정화 없이는 상하지 근육의 수축이 체간에 영향을 미쳐 척추구조와 연부조직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어 균형과 자세조절에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체간 안정화를 구성하는 근육들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체간 안정화는 복부와 요부-골반 주위의 근육으로 구성되는데 앞면에 복근(abdominal), 뒤쪽에 부척추근(paraspinal)과 둔근(gluteal), 위쪽에는 횡격막(diaphragm), 아래쪽에는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과 하지대(hip girdle) 근육으로 이루어진 상자 형태의 근육들의 조화에 달려 있다(McGill, 2001; Marshall & Murphy, 2005). 이러한 체간근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성이 발생하는 곳으로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고(Brill과 Couzen, 2002), 중력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여 자세를 조절하며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사지의 움직임을 준비하므로 균형과 기능 향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Verheyden 등, 2006).
체간 안정화는 어떤 근육들의 조화에 달려 있는가? 최근에는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체간 안정화 훈련이 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Nadler 등, 2002), Venu 등(2004)은 신체의 기능적 안정성(function al stability) 유지를 위해 체간근육을 강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체간 안정화는 복부와 요부-골반 주위의 근육으로 구성되는데 앞면에 복근(abdominal), 뒤쪽에 부척추근(paraspinal)과 둔근(gluteal), 위쪽에는 횡격막(diaphragm), 아래쪽에는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과 하지대(hip girdle) 근육으로 이루어진 상자 형태의 근육들의 조화에 달려 있다(McGill, 2001; Marshall & Murphy, 2005). 이러한 체간근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성이 발생하는 곳으로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고(Brill과 Couzen, 2002), 중력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여 자세를 조절하며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사지의 움직임을 준비하므로 균형과 기능 향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Verheyden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미선(2005).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관절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상회(2006). 요부안정화운동과 체간스트레칭을 겸한 운동이 좌식근무자의 업무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중요통의 감소 및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은주, 김태숙, 배성수 등(1998). 노인의 낙상과 균형.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0(2), 161-171 

  4. 김제호, 박승규, 강정일 등(2010). 요부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축구선수의 체간 및 하지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2(5), 25-31. 

  5. 남궁석(2011). 스위스볼 사용유무에 따른 상하 복직근의 근피로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수(2012). 승마 운동, 체간 안정화 운동, 균형 운동이 정상 성인의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심현보(2012). 뇌졸중환자의 체간 하부 안정화 운동이 근활성도와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임종수(2009). 뇌졸중 환자의 체간안정화운동이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장진욱(2012). 요부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 골프선수에 균형, 근활성도, 통증 및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춘배(2013). 편마비 환자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이 복부 심부근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학과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정소라(2013). 체간하부 안정화 운동방법에 따른 정상인의 근 활성도 비교 연구.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최영철(2013). 체간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복부 심부근 두께 및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허병훈(2008).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운동이 시각장애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Akuthota V, Nadler SF(2004).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85(1), 86-92. 

  15. Allison G, Kendle K, Roll S, et al(1998). The role of the diaphragm during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ust J Physiother, 44(2), 95-102. 

  16. Barr KP, Griggs M, Cadby T(2005). Lumbar stabilization : core concepts and current literature, Part1. Am J Phys Med Rehabil, 84(6), 473-480. 

  17. Brill PW, Couzen GS(2002). The Core program. 1st ed, New York, Bantam Book. 

  18. Cameron MH, Monroe LG(2007).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hiladelphia, Saunders. 

  19. Enright SJ, Unnithan VB(2011).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tensities on pulmonary function and work capacity in people who are heal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ys Ther, 91(6), 894-905. 

  20. Horak FB, Henry SM, Shumway-Cook A(1997). Postural perturbations: new insights for treatment of balance disorders. Phys Ther, 77(5), 517-533. 

  21. Kisner C, Colby LA(2002).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2. Liebenson C(1998).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the transverse abdominis. J Body Move Ther, 2(4), 218-223. 

  23. Magee DJ(1999).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2nd ed, Seminar Work book. 

  24. Marshall PW, Murphy BA(2005). Core stability exercise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86(2), 242-249. 

  25. McGill SM(2001). Low-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 Sports Sci Rev, 29(1), 26-31. 

  26. Moseley GL, Hodges PW, Gandevia SC(2003). External perturbation of the trunk in standing humans differentially activates components of the medial back muscles. J Physiol, 547(Pt2), 581-587. 

  27. Nadler SF, Malanga GA, Bartoli LA, et al(2002). Hip muscle imbalance and low back pain in athletes: influence of core strengthening. Med Sci Sports Exer, 34(1), 9-16. 

  28. Olney SJ, Colborne GR(1991). Assessment and treatment of gait dysfunction in the geriatric stroke patient. Topics in Geriat Rehabil, 7(1), 70-78. 

  29. Sapsford RR, Hodges PW(2001). Contraction of the pelvic floor muscles during abdominal maneuvers. Arch Phys Med Rehabil, 82(8), 1081-1088. 

  30. Slijper H, Latash M(2000). The effects of instability and additional hand support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in leg, trunk and arm muscles during standing. Exp Brain Res, 135(1), 81-93. 

  31.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2006).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20(5), 451-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