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시대에 녹색 광물 안료로 사용되었던 "뇌록(磊綠)"은 경북 포항시 장기면 뇌성산에서 제 4기 현무암질 화산쇄설암 내에 맥상 또는 공극충진상으로 산출되며, 주 구성광물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로 소량의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과 모데나이트 및 단백석을 함유한다. 뇌록의 원석인 뇌록석은 주로 수백 ${\mu}m\sim$수십 ${\mu}m$ 크기의 미세한 셀라도나이트라는 일종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 ${\mu}m$ 이하의 작은 입자들은 응집현상을 보여준다. 입자크기가 $71{\mu}m$ 이하로 감소하면서 그 착색율은 월등히 증가하였다. 은폐력은 입자 크기가 $0.2\sim0.3{\mu}m$일 경우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초미분인 200 nm 이하에서 투명도가 최대값을 보였다. 내광성과 항균성은 일반안료와 비교했을 때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다. 현존 단청 기술을 접목한 전색제 채색 실험 결과 $32{\mu}m$ 이하의 입도에서 가장 양호한 도색효과를 보여주고, 이상의 입도에서는 도색이 불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occurs as veins or cavity-filings in the basaltic pyroclastic rocks of Quaternary Epoch in Mt. Noeseong in Janggi-myeon, Pohang. The "Noerog stone" mainly consists of celadonite with minor chlorite/smectite, mordenite and opal. Celadonite grains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북 포항시 장기면 뇌성산 일대에서 산출되는 뇌록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야외조사와 실내연구를 실시하였다. 제4기현무암 지대에서 화산쇄설암 내에 맥상 또는간극충진상으로 산출되는 뇌록의 시료를 채취하여 박편을 제작하였으며, 구성광물의 광학적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편광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 것이 시급한 단계에 와 있다. 그래서 본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색상 중에서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되었던뇌록의 광물학적, 화학적 및 발색 특성과 함께전통 뇌록안료를 제작하여 이에 대한 재료과학적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또한 뇌록안료가 바탕칠로서 이용된 이유를 찾기 위하여 뇌록의 항균성에 대한 연구도 시행하였다.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색채가공법을 적용하여 뇌록석상 가운데에서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되었던 녹색 안료인 뇌록의 특성과 활용성을 연구하였다. 고문헌에 수록되어있는 뇌록의 생산지에서 뇌록을 채취하여 뇌록의 광물학적 특성과 뇌록의 발색특성을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3. Microphotographs of the Noerog stone, (a) Celadonite showing dark green color (×60) (b) Celadonite showing pale green color (×l20), (c) The large celadonite grains are green (lower half), but nano-sized celadonite grains are yellowish green (upper half). Irregular mordenite thread and thin silica veinlet are seen (×1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송응성, 최주 주역 (1997) 천공개물. 전통문화사. 서울, 600p 

  2.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서울, 514p 

  3. 배광현, 손정수, 박제신, 안기오 (2002) 카리장석을 이 용한 기능성 안료제조 기술 연구, 연구보고서, 산업 자원부 

  4. 안병찬 (2003) 高句麗 古墳壁畵의 製作技法 硏究-바 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高句麗 壁畵의 世界 제 9회 국제학술대회발표집 

  5. 안병찬, 도진영, 김수진, 이강근, 이상진 (2007) 전통석 채원료의 특성연구를 통한 고기능성 뇌록안료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국립중앙과학관 

  6. 유혜선 (2005) 고구려 쌍녕총 벽화의 안료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6, 국립중앙박물관 

  7. 이상진, 이강근, 도진영, 김수진, 안병찬 (2007a) 포항 장기 산출 조선시대 뇌록안료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2007 동아시아 문화유산 보존 국제심포지엄 발 표요지집, 231-232 

  8. 이상진, 이강근, 김수진, 도진영, 안병찬 (2007b) 조선 시대 뇌록색 단청안료에 관한 연구-포항 보경사 대 적광전 뇌록색 단청안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 2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7-7 

  9. Bailey, S.W. (1980) Summary of recommendation of AIPEA Nomenclature Committee. Clay Minerals 15, 85-93 

  10. Buckley, H.A., Beva, J.C., Brown, K.M., Johnson, L.R., and Farmer, V.C. (1978) Glauconite and celadonite: two separate mineral species. Miner. Mag. 42, 373-382 

  11. Chang J.C. and Lange, F.F. (1994) Viscosity and yield stress of alumina slurries containing large concentrations of electrolyte, J. Am. Ceram. Soc., 77(1), 19-26 

  12. Foster, M.D. (1969) Studies of celadonite and glauconite. Prof. Pap. U.S. Geol. Survey 614-F 

  13. Mora, P., Mora, L., and Philippot, P. (1984)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Butterworths. 250p 

  14. Mazzeo R. (2004) Scientific Investigations of the Tokhung-Ri Mural Paintings (408 A.D) of the Koguryo Er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북한 고구려 덕흥리 고분벽화의 과학적 조사, Conservation of Koguryo Tombs 고구려 고분의 보존, 문화재청.UNESCO 공동주최보고서 

  15. Newman, A.C.D. (1987) Chemistry of Clay and Clay Minerals. Mineralogical Society, Monograph No.6, pp.480 

  16. Reed, J.S. (1989)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Ceramic Processing, Wiley, 486p 

  17. Weaver, C.E. and Pollard, L.D. (1975) The Chemistry of Clay Minerals. Elsevier Pub. Co., pp.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