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료 원료인 뇌성산 산출 뇌록의 소성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
Mineralogical Characteristic Changes of Noerok Occurred from Noeseong Mountain, a Raw Material for Pigment, Depending on its Firing Process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1 no.1, 2018년, pp.23 - 32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록은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된 녹색 안료이며, 불국사 대웅전 등 주요 건축물의 단청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 원료인 뇌록을 이용하여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포항 뇌성산 일대에 국부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뇌록은 주구성 광물이 셀라도나이트(celadonite)이며, 주요 구성 원소는 Fe, Si, K, Mg 등으로 주로 Fe가 풍부한 운모류임을 알 수 있다. $105^{\circ}C{\sim}1000^{\circ}C$까지 단계적 소성실험 결과, 색상이 녹색 ${\rightarrow}$ 담녹색 ${\rightarrow}$ 갈색 ${\rightarrow}$ 적색으로 변하였으며, 열분석에서는 $616^{\circ}C$ 부근에서 결정수의 탈수작용에 의한 흡열반응이 확인되었다. 광물의 변화는 $600^{\circ}C$ 이상에서 결정면[($11{\bar{1}}$), ($02{\bar{1}}$)]이 붕괴되고, $1000^{\circ}C$ 이상에서 철산화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뇌록의 정출 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며, 셀라도나이트만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Stage I 단계만의 변질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erok ia a green pigment used in Joseon dynasty, and its main usage was for forming foundation layers of Dancheong, the ornamental paintings on the surface of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such as the Daeung-jeon(main hall) of Bulguk-sa temple.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mineralog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무기질 녹색 안료로 사용된 뇌성산 뇌록에 대해 소성온도의 변화에 따른 광물 학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실험과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의 원료로 사용된 뇌록의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전통안료의 제조에 있어 천연 광석을 단순히 파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소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색상의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한 색채의 물질로 변화시켜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채색된 유물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료광물이 소성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어떠한 광물학적 변화를 겪게 되는지를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록은 무엇인가? 뇌록은 주로 중국이나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 한정되어 산출되는 해양성 점토로써 셀라도나이트 (celadonite)와 글루코나이트(glauconite)라는 광물이 주 구성 광물이며, 구성원소나 미세조직이 비슷 하지만 철(Fe)이나 마그네슘(Mg)의 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Eastaugh et al., 2004).
셀라도나이트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무엇인가? , 2008). 이러한 셀라도나이트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로는 컬럼비아 강현무암 그룹의 육상 범람원 현무암 내 셀라도나이트(Leslie et al., 2012), 글루코나이트와 셀라도나이트: 2개의 분리된 광물종(Buckley et al., 1978), 셀라도나이트: 합성, 열안정성과 산출(Wise and Eugster, 1964), 탈수소 반응-재탈수 반응 중 2 : 1 복층 구조 규산염의 구조 변화(Fabrice Muller et al., 2000) 등이 있다.
뇌록의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의 원료로 사용된 뇌록의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전통안료의 제조에 있어 천연 광석을 단순히 파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소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색상의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한 색채의 물질로 변화시켜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채색된 유물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료광물이 소성과 정에서 단계적으로 어떠한 광물학적 변화를 겪게 되는지를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B.C., Do, J.Y., Kim, S.J., Lee, K.K., and Lee, S.J. (2007)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Noerok pigments through characterization of traditional minerological raw material, Project Research Report, National Science Museum (in Korean). 

  2. Bailey, S.W. (1980) Summary of recommendation of AIPEA Nomenclature Commitee, Clay Mineral, 15, 85-93. 

  3. Buckley, H.A., Bevan, J.C., Brown, K.M., and Johnson, L.R. (1978) Glauconite and celadonite: two separate mineral species, Minralogical Magazine, 42, 373-382. 

  4. Do, J.Y., Lee, S.J., Kim, S.J., Yun, Y.K., and Ahn, B.C. (2008) Characterization of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1(3), 271-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o, J.Y., Kim, S.J., Lee, S.J., Ahn, B.C., and Yun, S.C. (2009) A study on functionality of the Ulreungdo Seokganju as korean traditional red pigment,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2), 153-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Eastaugh, N., Walsh, V., Chaplin, T., and Siddall, R. (2004) Pigment compendium-a dictionary of historical pigments.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Linacre House, Burlington, Great Britain, 8p-249. 

  7. Fabrice M., Victor, D., Alain, P., and Jean-Louis R. (2000),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2 : 1 Dioctahedral layer silicates during dehydroxylation-rehydrolation reactions, Clays and Clay Minerals, 48(5), 572-585. 

  8. Jang, Y.D. (2017) A report o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of Noerok and its causes occurred the southeastern part of Gwangjeong mountian in Jang-meon of Nam-gu, Poha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Lang & Housing Corporation, 5-18 (in Korean). 

  9. Kim, H.S. (2017) The study on green earth pigment using Noerok of the Mt. Guangjung, Pohang,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S., Son, M., Kim, J.S., and Kim, J.M. (2005) 40Ar/39Ar ages of the Tertiary dike swarm and volcanic rocks, S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93-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M.C., Kim, J.S., Jung, S.H., Son, M., and Sohn, Y.K. (2011), Bimodal volcanism and classification of the Miocene Basin fill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on, Pohang,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6), 585-6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S.J., Lee, K.K., Do, J.Y., Kim, S.J., and Ahn, B.C. (2007) A study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Noerok pigments produced in the Janggi of Poh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nnouncement Book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Preservation of East Asian Cultural Heritage, 231-232 (in Korean). 

  13. Leslie, L.B., William, C.R., Kenneth, F.S., and Daniel, G.S. (2012) Celadonite in continental flood basalts of the Columbia River Basalt Group, American Mineralogist, 97(8-9), 1284-1290. 

  14. Lee, S.J., Choi, I.S., Lee, K.K., Do, J.Y., and Ahn, B.C. (2007) An analysis of Noerok used in temple Dancheong in Gyeongju area, The Kyong ju Mun Hwa Youn Gu, 9,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J.H., Jeong, H.Y., Go, I.H., Jeong, S.L., and Jo, A.H. (2015)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okrok and Noerok used as green pig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4), 429-4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hilip, S.N., Thra, I.F., Stefa, N., Arno, R., and Dennis, K.B. (1999) Porosity evolution and mineral paragenesis during low-grade metamorphism of basaltic lavas at Teigarhorn, eastern Iceland,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99, 474. 

  17. Son, M. (1998)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miocene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structural and paleomagnetic approaches, Doctor's Thesis, Busan University, 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on, M., Kim, I.S., Lee, D.H., Kim, J.S., and Paik, I.S. (2000)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part of the Ulsan fault area, Korea : Structural geology and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in the Tertiary Miocene Waup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195-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on, M., Kim, S.H., Kim, J.S., Song, C.W., and Kim, I.S. (2009) Age and structural origin of the Tertiary Churyeong breccia in the Gyeongju city,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 pp.137-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Tateiwa, I. (1924) 1 : 50,000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uryuho and Choyo sheets, 6., 3map. Geological Survey, Government-General of Chosen (in Japanese). 

  21. Wise, W.S. and Eugster H.P. (1964) Celadonite: Synthesis, thermal stability and occurrence, American Mineralogist, 49, 1031-1083. 

  22. Yoder, H.S. and Eugster, H.P. (1955) Synthetic and natural muscovites, Geochim. Cosmochim. Acta, 8(5/6), 225-280. 

  23. Yoo, Y.M., Han, M.S., and Lee, J.J. (2014)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for traditional red and green pigments used in templ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4), 365-3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oon, S. (1986)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Pohang and Yangnam basins, Korea. in: Essays in Geology, Professor Nobu Kitamura Commemorative Volume, Tohoku University, 637-644 (in Japanese). 

  25. You, K.S. (2013) A study on paints producing centers supply and demand environment of Chosun Dynasty color pigment,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7(4), 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