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air Fed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항증체,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on Weight Gain, Plasma and Liver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in Pair Fed Rat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7, 2008년, pp.602 - 611  

강정애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채인숙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송영보 (제주대학교 해양과학환경연구소) ,  강정숙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나 추출물에서 증체 억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녹차성분이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대사율을 올려 열량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이해를 같이 하는데, 예비실험에서 사료섭취량 자체가 억제됨을 감안 할 때 녹차 추출물이나 분말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의 높은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력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체 콜레스테롤 pool size에 강한 homeostasis 기질이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흡수억제에 있어서 녹차분말과 녹차 추출물의 장내 유용성과 체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 생성에 있어서 EGCG를 포함한 차 카테킨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녹차 분말과 추출물은 항산화 지표에도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녹차 카테킨은 수용성으로 bioavailability가 비교적 높은 polyphenol계 항산화 물질로서 녹차 잎의 건조중량 50% 이상이 카테킨이고 이중 80% 이상이 catechin gallate 형태로 강한 항산화 효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다. 노화를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과정이라 볼 때 식품으로서 녹차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 차로 마시는 녹차의 섭취방법에서 분말이나 추출물로 섭취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분말과 추출물의 영양적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유리 (free)된 카테킨 형태로 추출물이 유리할 수 있지만 녹차분말이 식품으로서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분말차의 섭취도 좋은 방법이다. 음료로서 따져 볼 때 일회 분량 2 g의 녹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은 EGCG기준으로 $109{\sim}147\;mg$정도이고 이를 비타민 C 로 환산하는 경우 $142{\sim}168\;mg$이다.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비만이나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mpared antiobese, hypocholesterolemic, antiplatelet and antioxidant effect of 10% green tea powder and 3% green tea extract in rats pair fed 5% cholesterol diets. The final body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Plasma and liver total cholesterol were l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4C-cholesterol (NEN, Boston MA, USA) 0.2 μci을 각각의 쥐에게 섭취시킨 후, 만 1일에서부터 6일까지의 변을 수집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하였다.
  • 4)에 넣고, 12 tubes 에 할당하여 duplicate tube를 0, 10, 20, 30, 40, 50분간 배양 후 얼음으로 옮겨 efflux를 중단시켰다. 각 tube들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을 다른 tube에 옮긴 후 상층액속의 Na 농도를 원자분광계로 측정하였다. Ouabain과 furosemide의 존재 하에서 농도차에 의해 흘러나오는 Na-passive leak은 라디칼 생성물질, AAPH [2, 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에 노출되었을 때 적혈구막의 손상과 함께 증가된다.
  • 각 군당 4마리의 간과 대동맥을 같은 부위에서 채취하여각 4견본을 만들어 관찰하였는데 대표성이 있는 조직사진을 Fig. 1에 제시하였다. 간의 크기에서는 그룹간 별 차이가 없었으나 육안으로 봤을 때 대조군의 간이 녹차 분말군과 녹차 추출물군에 비해 저색소 (hypochromic)임을 알 수 있었다.
  • 간 시료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추출은 Folch 등21) 의 방법을 다소 수정한 것으로, 간 조직 1 g을 6 ml chloroform/methanol mixture (2:1, v/v)와 2 ml 증류수를 넣어 균질화한 후 3,000 ×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 식이군의 섭취량에 준해 대조군의 식이섭취량을 조절하여 pair feeding 함으로서 녹차의 항증체나 지질개선 및 혈소판 응집성에 대한 효과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였고, 콜레스테롤 흡수를 비롯한 녹차의 생리활성 효과에 있어서 녹차분말이 녹차추출물에 상응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조군 식이와 함께 녹차분말군, 녹차추출물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녹차의 항산화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적혈구막의 안정성 및 TBARS생성 등 산화관련 몇가지 지표를 함께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 동물실험에 있어서 사료의 섭취량은 증체와 연결되고 체중의 증가는 지질대사나 혈소판 응집성 등의 심순환 관련 지표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녹차의 항 증체 효과나 지질개선 효과가 녹차의 어떤 성분에 의한 대사적 기전에서 오는 것인지 녹차의 부정적인 맛으로 인한 식이섭취량 감소 때문인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 식이군의 섭취량에 준해 대조군의 식이섭취량을 조절하여 pair feeding 함으로서 녹차의 항증체나 지질개선 및 혈소판 응집성에 대한 효과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였고, 콜레스테롤 흡수를 비롯한 녹차의 생리활성 효과에 있어서 녹차분말이 녹차추출물에 상응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조군 식이와 함께 녹차분말군, 녹차추출물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녹차의 항산화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적혈구막의 안정성 및 TBARS생성 등 산화관련 몇가지 지표를 함께 조사하였다.
  • 사료제조에서 녹차분말군의 녹차 분말10%에 준해서 대조군과 녹차 추출군에 섬유소 5% 첨가하였는데 대조군, 녹차 분말군 그리고 녹차 추출물군의 6일간 수집된 변의 무게는 큰 차이 없었다 (Table 6). 섭취한 0.
  • 실험기간동안 물은 무제한으로 공급하였으며 실험식이는 녹차 추출물군에 준한 제한식이를 하였다. 사양기간 동안 3일 간격으로 식이섭취량, 체중변화를 기록하였고, 4주 때 쥐들을 12시간 절식한 후 cardiac puncture에 의해 heparin 처리된 전혈 (whole blood)을 채취하였다. 간은 바로 적출하여 거름종이로 표면의 혈액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간 조직 일부와 동맥을 분리하여 조직 검사를 위해 Bouin’s solution용액에 고정시키고, 남은 간 조직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분석을 위해 -2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 생후 7주된 체중 200~230 g 전후의 Sprague Dawley 숫쥐 30마리를 각 10마리씩 3 실험군으로 나누어 AIN-76을 근거로 0.5% cholesterol과 0.2% cholate를 함유한 대조군 (control)과 대조군 식이에 10% 녹차분말을 첨가한 녹차 분말군 (green tea powder) 또는 녹차의 에탄올 추출에 있어서 최대 회수율을 약 30%으로 추정하여 3%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녹차 추출물군 (green tea extract)의 2개 처리군으로 식이로 조제하였으며, 녹차 분말에 상응하는 5%의 섬유소를 대조군과 녹차 분말군에 첨가하였다 (Table 1). 쥐들은 각기 stainless steel cage에서 4주간 분리·사육하였으며, 동물 사육실의 명암주기는 12시간, 온도 20~25℃와 습도 40~60%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였다.
  • Suzuki 등26)의 mouse 실험에서 1일 400 mg 녹차추출물을 물에 타서 섭취시키는 경우 사료섭취량의 감소와 함께 낮은 증체율과 더불어 혈중지질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렇게 녹차나 녹차 카테킨은그 특유의 수렴성 쓴맛으로 인해 식욕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에서 식이섭취량이 가장 낮은 녹차 추출물군에 맞추어 pair feeding 함으로서 섭취열량에 의한 요인을 배제한 녹차 자체의 항비만 효과나 지질 개선효과를 비교할 수 있었다. 각 군당 평균 사료섭취량을 15.
  • 하층액 500 ㎕을 취하여 clean bench에서 자연 건조한 후, 여기에 50 ㎕ Triton X-100/chloroform mixture (1:1, v/v)와 450 ㎕ chloroform을 넣어서 500 ㎕로 만들어 가볍게 흔들어 내용물을 용해시켰다. 이중 20~50 ㎕을 취하여 chloroform을 휘발시킨 후 Asan kit을 사용하여 간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간 중성지방은 하층액 20~50 ㎕를 취하여 chloroform을 휘발시킨 후 50 ㎕ 메탄올을 넣고 용해 시켜 Asan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적출 즉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Bouin’s solution에 고정하였고, 자동조직파라핀 유도장치를 이용해 paraffin 유도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을 만들어 microtome을 이용하여감 및 동맥 조직의 종단면을 5~7 μm 두께로 절편하였다.
  • 적혈구를 다시 CWS로 희석하여 hematocrit 40~50%의 적혈구 용액이 되게 조정한 후 hematocrit을 측정하였다. 적혈구 용액 50 ㎕를 5 ml 의 0.02% acationox (metal free detergent, Scientific Product, USA) 넣은 것으로 intracellular Na을 측정하였다.
  • 4]를 넣고 천천히 섞어 원심 분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씻어주었다. 적혈구를 다시 CWS로 희석하여 hematocrit 40~50%의 적혈구 용액이 되게 조정한 후 hematocrit을 측정하였다. 적혈구 용액 50 ㎕를 5 ml 의 0.
  • 적출 즉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Bouin’s solution에 고정하였고, 자동조직파라핀 유도장치를 이용해 paraffin 유도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을 만들어 microtome을 이용하여감 및 동맥 조직의 종단면을 5~7 μm 두께로 절편하였다. 조직표본은 Harris hematoxylin과 0.5%-eosin으로 비교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 400배율에서 관찰하였다
  • 준비한 적혈구 용액 각 2 ml를 1 mM의 AAPH가 들어 있거나 들어있지 않는 각 40 ml medium (150 mM choline chloride, 10 mM glucose, 1 mM furosemide, 1 mM ouabain, 10 mM Tris-MOPS, pH 7.4)에 넣고, 12 tubes 에 할당하여 duplicate tube를 0, 10, 20, 30, 40, 50분간 배양 후 얼음으로 옮겨 efflux를 중단시켰다. 각 tube들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을 다른 tube에 옮긴 후 상층액속의 Na 농도를 원자분광계로 측정하였다.
  • 쥐들은 각기 stainless steel cage에서 4주간 분리·사육하였으며, 동물 사육실의 명암주기는 12시간, 온도 20~25℃와 습도 40~60%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였다.
  • 5 ml씩 넣은 후 37℃ water bath에서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은 5분간, 중성지방은 10분간 배양 하여 발색시켰다.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은 500 nm에서, 그리고 중성지방은 550 nm에서 spectrophotomet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 Ltd, Korea)을 사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분석에는 혈청 10 ㎕을 사용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의 분석에는 200 ㎕을 사용하여 두 반복으로 진행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분리시액 200 ㎕를 넣고 vortex 하여, 10분 방치한 것을 1,000 ×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 50 ㎕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 콜레스테롤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생후 8주된 Sprague Dawley 숫쥐 12마리를 각각 4마리씩 3개 군으로 나누어, 동일한 사육실 환경에서 3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고 20시간을 절식시킨 후 0.2 μCi 분량의 C14-cholesterol 용액 200 ㎕를 암흑주기 시작 10분 전에 실험 식이에 넣어 섭취시켰다.
  • 혈액 0.25 ml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1:4) 혈소판이 대략 200,000/ ㎕로 조정한 후 ADP (2μM)을 첨가하여 응집을 유도했고, 3회 반복한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의 결과는 평균 (mean)과 표준편차 (SD, standard deviation)로 표시하였고, 각 실험군간의 비교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p < 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식이에 따른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2 μci을 각각의 쥐에게 섭취시킨 후, 만 1일에서부터 6일까지의 변을 수집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하였다. 분쇄한각 시료 0.2 g를 20 ml scintillation cocktail (S¢INT-A XF, Packard)에 넣어 상온에서 3일간 보관한 후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Packard 2700PR)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고 소량의 색도광은 외표준선원법 (ESCR)으로 보정하였다.
  • 25 ml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1:4) 혈소판이 대략 200,000/ ㎕로 조정한 후 ADP (2μM)을 첨가하여 응집을 유도했고, 3회 반복한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은 whole blood platelet aggregation을 측정하는 impedance 방법으로, 혈소판의 응집에 따라 형성되는 두 전극간의 저항 (ohm)의 증가로 나타나는데 Chronolog aggregometer (model 500, Havertown P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혈장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측정은 변형된 Yagi 방법24)에 의한 것으로, 1/12N 황산과 10% phosphotungstic acid로 침전된 혈장내의 지방을 TBA와 반응시킨 후 n-butanol층으로 옮긴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를 Spectrofluorometer (Kontron Instruments SFM-25)의 excitation 515 nm, emission 553 nm에서 정량하였고, 1, 1, 4, 4-tetramethoxy propane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 혈청내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의 성분정량분석에는 En-zyme assay kit (Asan pharmaceutical Co., Ltd, Korea)을 사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분석에는 혈청 10 ㎕을 사용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의 분석에는 200 ㎕을 사용하여 두 반복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나무란? 지금부터 5,000년 전에 몸에 독이 배었을 때 차를 먹고 풀었다는 염제 신농의 기록이 있고 전한의 명의 화타는 차의 효능에 대해 마음을 안정시키고 기를 돋우며 눕는 일을 적게 하고 노쇠를 늦추며 총명하게 한다고 하였는데 이렇게 차는 경험적인 약리 효능으로 민간요법에서 질병치료 목적으로 시작하였으나 차츰 그 특유한 맛과 향기와 함께 세계 인류의 50%가 즐겨 마시는 음료가 되었다. 동백나무 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상록관목인 차나무 (Camellia sineis)는 오랜기간 생태학적 변이를 통해 분포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이 약간 다른데 차의 화학적 성분인 카테킨류는 Flaan-3ol 구조로 주로 epicatechin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건조무게의 9~13%로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1) 녹차 카테킨은 특유의 수렴성 쓴 맛을 제공하고 자연적인 항산화제로서 항염, 항알레 르기 및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항증체을 포함하여 혈압강하 및 혈중 지질개선 등 심순환기 질환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 카테킨의 생리활성작용은? 동백나무 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상록관목인 차나무 (Camellia sineis)는 오랜기간 생태학적 변이를 통해 분포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이 약간 다른데 차의 화학적 성분인 카테킨류는 Flaan-3ol 구조로 주로 epicatechin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건조무게의 9~13%로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1) 녹차 카테킨은 특유의 수렴성 쓴 맛을 제공하고 자연적인 항산화제로서 항염, 항알레 르기 및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항증체을 포함하여 혈압강하 및 혈중 지질개선 등 심순환기 질환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을 통한 녹차나 추출물의 항 증체효과에 대한 기전은 대사율과 열량 소비량을 증가시키고2,3)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며,4,9) 지방합성은 억제하고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등 다양하다.
녹차카테킨을 이용한 동물실험의 결과는? 3,6) 역학조사에서 녹차의 음용은 뇌졸중과 심근경색 등 심순환기 질환의 에 의한 사망을 감소시키고 혈중 지질 및 지단백 구성에 보다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8) 동물실험에서 녹차나 녹차 카테킨은 micelle 형성을 억제함으로서 소장에서 지방과 함께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거나9) LDL 수용체를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10) 소장에서 담즙배설을 촉진한다.11,26)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는 높은 혈소판 응집성과 함께 혈전성 뇌졸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 콜레스테롤제제 스타틴류는콜레스테롤 강하효과와 함께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킨다.12)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는 강력한 염증유발 물질로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 콜레스테롤 환자의 혈소판은 정상인에 비해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에 민감하고13) 녹차 폴리페놀은 PAF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혈소판 응집성을 감소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revisanato SI, Kim YI. Tea and health. Nutrition Review 2000; 58: 1-10 

  2. Diepvens K, Westerterp KR, Westerterp-Plantenga MS. Obesity and thermogenesi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caffeine, ephedrine, capsaicin, and green tea.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7; 292(1): R77-85 

  3. Westerterp-Plantenga MS, Lejeune MP, Kovacs EM. Body weight loss and weight maintenance in relation to habitual caffeine intake and green tea supplementation. Obes Res 2005; 13(7): 1195-1204 

  4. Raederstorff DG, Schlachter MF, Elste V, Weber P. Effect of EGCG on lipid absorption and plasma lipid levels in rats. J Nutr Biochem 2003; 14(6): 326-332 

  5. Lin JK, Lin-Shiau SY. Mechanisms of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tea and tea polyphenols. Mol Nutr Food Res 2006; 50(2): 211-217 

  6. Shimotoyodome A, Haramizu S, Inaba M, Murase T, Tokimitsu I. Exercise and green tea extract stimulate fat oxidation and prevent obesity in mice. Med Sci Sports Exerc 2005; 37(11): 1884-1892 

  7. Kuriyama S. The rel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evidenced by epidemiological studies. J Nutr 2008; 138(8): 1548S-1553S 

  8. Kondo S, Shinchi K, Wakabayashi K, Honjo S, Ogawa S, Katsurada M. Relation of green tea consumption to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Japanese men. J Epidemiol 1996; 6: 128-133 

  9. Loest HB, Noh SK Koo SI. Green tea extract inhibits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alpha$ -tocopherol in ovariectomized rats. J Nutr 2002; 132: 1282-1288 

  10. Bursill CA, Abbey M, Roach PD. A green tea extract lowers plasma cholesterol by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upregulating the LDL receptor in the cholesterol-fed rabbit. Atherosclerosis 2007; 193(1): 86-93 

  11. Yang TT, Koo MW. Chinese green tea lowers cholesterol level through an increase in fecal lipid excretion. Life Sci 2000; 66 (5): 411-423 

  12. Woo D, Kissela BM, Khoury JC, Sauerbeck LR, Kleindorf D, Broderick JP et al. Hypercholesterolemia, HMG coA reductase inhibitor, and risk of intracerebral hemorrhage. Stroke 2004; 35: 1360-1364 

  13. Elisaf M, Karabina SA, Bairaktari E, Goudevenos JA, Tselepis AD. Increased platelet reactivity to the aggregatory effect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 in vitro, in patients with heterozygous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Platelets 1999; 10(2-3): 124-131 

  14. Sugatani J, Fukazawa N, Ujihara K, Yoshinari K, Abe I, Noguchi H, Miwa M. Tea polyphenols inhibit acetyl-CoA: 1-alkyl-snglycero-3-phosphocholine acetyltransferase (a key enzyme in platelet-activating factor biosynthesis) and platelet-activating factor-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2004; 134(1): 17-28 

  15. Deana R, Turetta L, Dona M, Brunati AM, Garbisa S. Green tea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platelet signalling pathways triggered by both proteolytic and non-proteolytic agonists. Thromb Haemost 2003; 89(5): 866-874 

  16. Hirano-Ohmori R, Takahashi R, Momiyama Y, Yonemura A, Tamai S, Kondo K, Ohsuzu F. Green tea consumption and serum malondialdehyde-modified LDL concentrations in healthy subjects. J Am Coll Nutr 2005; 24(5): 342-346 

  17. Hsu SP, Wu MS, Yang CC, Huang KC, Liou SY, Hsu SM, Chien CT. Chronic green tea extract supplementation reduces hemodialysis-enhanced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hypochlorous acid, atherosclerotic facto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m J Clin Nutr 2007; 86(5): 1539-1547 

  18. Saffari Y, Sadrzadeh SM. Green tea metabolite EGCG protects membran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 vitro. Life Sci 2004; 6: 74(12): 1513-1518 

  19. Tsuchiya H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on membrane fluidity. Pharmacology 1999; 59(1): 34-44 

  20. Biswas S, Bhattacharyya J, Dutta AG. Oxidant induced injury of erythrocyte-role of green tea leaf and ascorbic acid. Mol Cell Biochem 2005; 276(1-2): 205-210 

  21. Folch J, Lee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005; 226: 497-509 

  22. Kang JS, Cregor MD, Smith JB. Effect of calcium on blood pressure, platelet aggregation and erythrocyte sodium transport in Dahl salt sensitive rats. J Hypetension 1990; 8: 245-250 

  23. Draper HH & Callant AS (1969). A simplified hemolysis test for vitamin E deficiency. J Nutr 1969; 98: 390-394 

  24. Yagi K, A simple fluometric method for lipoperoxide in plasma. Biochem Med 1976; 15: 212-216 

  25. Kao YH, Hiipakka RA, Liao S. Modulation of endocrine systems and food intake by green tea epigallocatechi gallate. Endocrinology 2000; 141: 980-987 

  26. Suzuki J, Ogawa M, Izawa A, Sagesaka YM, Isobe M. Dietary consumption of green tea catechins attenuate hyperlipidaemiainduced atherosclerosis and systemic organ damage in mice. Acta Cardiol 2005; 60(3): 271-276 

  27. Diepvens K, Kovacs EMR, Nijs IMT, Vogels N, Westerterp-Platenga MS. Effect of green tea 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substrate oxidation during weight loss in overweight females. Br J Nutr 2005; 94: 1026-1034 

  28. Mata-Bilbao Mde L, Andres-Lacueva C, Torre C, Lamuela-Raventos RM et al. Absorption and pharmacokinetics of green tea catechins in beagles. Br J Nutr 2008; 100(3): 496-502 

  29. Hasegaawa N, Yamda N, Mori M. Powdered green tea has antilipogenic effect on Zucker rats fed a high fat diet. Phytother Res 2003; 17(5): 477-480 

  30. Thephinlap C, Ounjaijean S, Porter JB, Srichairatanakool S.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epicatechin-3-gallate from green tea decrease plasma non-transferrin bound iron and erythrocyte oxidative stress. Med Chem 2007; 3(3): 289-296 

  31. Oh JH, Kim EH, Kim JL, Moon YI, Kang YH, Kang JS.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7): 1079-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