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심 지각과 신혼기 결혼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Effect to Attachment to Family-of-origin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n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5 = no.95, 2008년, pp.143 - 154  

임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가족복지)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김양희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ts, which has effect on the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nalyzing attachment to par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explored the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시기의 원만한 부부 결혼적응은 장기적으로 건강한 가족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신혼기 부부의 결혼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신혼기 부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적 전환을 겪고 있는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에 도움이 되고 장기적으로 가족의 안정성을 형성하도록 하고자 하여 신혼기 부부를 대상으로 원가족 부모와의 경험하고 있는 애착 및 심리적 독립의 수준과 신혼기 부부 결혼적응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또, 이를 통해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이해를 도와 결혼 생활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 관계 강화를 위한 상담·교육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또, 이를 통해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이해를 도와 결혼 생활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 관계 강화를 위한 상담·교육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장기적 측면에서 개인과 가족의 발달 과업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의 발달적 과업 수행과 안정적인 가정 형성을 돕고자 신혼기 부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부모-자녀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 그리고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 간의 관계를 토대로 이들 간의 영향을 탐색하였고 원가족 요인이 부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졌다.
  • 본 연구를 통해서 신혼기 부부의 결혼 전의 변인이 결혼 후 부부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밝힘으로써 부부 결혼적응은 한 특정 주기에서의 단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연속적인 맥락으로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 이를 통해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이해를 도와 결혼 생활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 관계 강화를 위한 상담·교육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원가족 관련 요인이 신혼기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중점을 두어 알아보고자 하여 먼저, 부모와 애착정도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이 부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와의 애착과 아버지와의 애착이 부부 적응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부모에 대한 의존적인 관계로부터의 독립은 청년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며 이러한 2차 분리-개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부모로부터의 독립에 문제가 생겨, 개인의 내적 또는 외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허윤희, 2004). 이는 사회적 관계의 기본인 가족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신혼기 부부의 상호 적응과정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과 신혼기 부분의 결혼적응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원가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신혼기 부부로 특정 주기를 고려하기보다는 기혼부부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혼 만족이나 건강성에 미치는 연구(김태현·김경자, 2004; 권정란·이인수, 2006, 김현재, 2007)와 미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원가족건강 성과 이성 관계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전영주, 2002; 조은수, 2007)에 치우쳐져 있어 신혼기 부부의 원가족 관련 요인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가족 관련 요인이 신혼기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중점을 두어 알아보고자 하여 먼저, 부모와 애착정도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이 부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와의 애착과 아버지와의 애착이 부부 적응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사례수의 차이는 무응답을 제외하였음으로 나타난 차이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가족과의 관계가 결혼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결혼당사자가 부모와의 관계, 원가족 부모의 결혼생활은 결혼적응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최주희, 2000; Couillard, 1990). 즉, 자녀가 최초로 접하는 타인이 부모로서 부모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 성인자녀의 결혼에서 배우자와의 관계는 가장 친밀한 또다른 타인임으로 배우자와의 관계 형성을 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 원가족 부모의 결혼이 행복할수록 성인자녀들이 자신의 결혼에 잘 적응하는 것은 자녀들이 부모의 부부관계를 지켜보면서 결혼에 대한 간접적 경험을 하게 되며 이는 자신의 결혼생활의 경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원가족과의 관계는 결혼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애착이란 무엇인가? 애착은 애착 대상과 선택적이고 지속적인 강한 정서적 유대를 맺으려는 성향이며 안정감을 지속시키는 정서적 유대관계이다. 애착은 여러 이론에 의해 설명되어져왔는데,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애착을 심리성적 발달과 대상관계 발달로 설명하고 에릭슨은 영아와 어머니와의 수유과정에서 애착관계가 이루어지며 신뢰감 형성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애착체계의 목표를 무엇이라 주장하였나? 애착은 여러 이론에 의해 설명되어져왔는데,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애착을 심리성적 발달과 대상관계 발달로 설명하고 에릭슨은 영아와 어머니와의 수유과정에서 애착관계가 이루어지며 신뢰감 형성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애착체계의 목표가 단순한 물리적인 근접성이기보다는 오히려 보다 넓은 의미로 안전감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김숙령, 1997). 애착관계에서 형성된 내적작동모델은 전 생애동안 지속되고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발달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행동으로 표현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말숙(2003). 성 상담 프로그램이 신혼기 여성의 성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은령(1989).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강차연.박경(2001).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51-69 

  4. 권정란.이인수(2006).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 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6 

  5. 고정애(2004). 기혼 여성의 성 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득성(1986). Spanier의 결혼 적응 척도에 관한 연구(I). 부산대 가정대학연구보고, 12, 55-73 

  7. 김소라(2004). 부모 애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영(2003). 개인특성 및 의사소통에 따른 부부 적응관계 연구: 자아존중감, 정서안정성 및 의사소통 유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숙령(1997). 영유아기의 탁아경험과 유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사회 정서적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8(2), 5-18 

  10. 김임영(2002).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영(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태현.김경자(2004). 기혼 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6(1), 3-35 

  13. 김혜선(1992). 배우자선택과 결혼적응도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현정(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재(2007). 원가족 규칙과 분화 및 양성평등의식이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효정(2003). 기독교인의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신혼부부 갈등해결 방식에 미치는 효과.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애(2004). 결혼초기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방현주(2002).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미자(2003). 부부갈등대처 및 용서와 결혼만족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병숙.정해은(1994). 배우자 선택과 결혼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 12, 209-227 

  21.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2). 한국 가정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2. 이준엽(1995). 심리적 독립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희(2002).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방식이 결혼생활 적응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춘미(2001).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윤경(2004). 부부갈등이 성인초기 자녀의 이성과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개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전영주(2002). 한국 성인초기 미혼남성의 원가족 요인이 불안을 매개로 낭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1), 207-221 

  28. 정미영(2002). 부부의사소통 기술훈련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V.Satir의 의사소통 가족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은수(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은희(2004). 원가족 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 갈등 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정숙(1994). 자아 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진희경(1998). 부모에 대한 애착과 성역할 정체감 및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유경(2002).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최주희(2000).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결혼적응 연구: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통계청(200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서울: 통계청 

  37. 한미향(1999). 부부의 자기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허순례(2004). 크리스천 결혼 초기 부부의 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 언어를 중심으로. 복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허윤희(2004).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insworth, M. D. S.(1972). Attachment and Dependency: A Comparison, Attachment and Dependency, ed. J. L. Gewritz, Washinton, D. C.: V. H. Winston 

  41. Armsden, G. C., &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rences. Journal of Youth Adolescenec, 16, 427-454 

  42. Beyers, W., & Goossens, L.(2003).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 363-382 

  43. Bowen, M.(1978). Family Therapy and Clinical Practice. N.Y.: Aronson 

  44. Cunnington, B. D.(1991). The relationship of origin and one's achievement of 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to one's current marital adjustment. University of Toronto.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3(8), 26-27 

  45. Forrest, M.(1991). Family of 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University of Arkansa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3(8), 26-28 

  46. Hill, J. P., & Holmbeck, G. N.(1986). Attachment and Autonomy during Adolescence, Annals of Child Development, 3, 145-189 

  47. Josselson, R.(1988). The embedded self: I and trou revisited. in D. K. Lapsey & F. C. Clark (Ed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N.Y. 

  48. Minuchin, S.(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9. Moore, D.(1987). Parent-Adolescent Seperation: the Construction of Adulthood by Late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3(2), 298-307 

  50. Skowron, E. A., & Friedlander, M. L.(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235-246 

  51. Spanier, G. B., & Cole, C. L.(1976). Toward clar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marital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6, 121-146 

  52. Stinnett, N., Walters, J., & Kaye, J. E.(1984). Relationships in Marriage and the Family. N.Y.: Macmillan 

  53. Sullivan, K., & Sullivan, A.(1980). Adolescent-parent separ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93-99 

  54. Wells, J.(1984). Choices in Marriage & Family. Jackson: Piedmont Press, Inc. 

  55. Wilcoxon, S. A., & Hovestadt, A. J.(1983). Perceived health and similarity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dyadic adjustment for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 431-4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