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기간에 따른 감동젓무 김치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according to Fermentation Periods in Gamdongchotmoo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497 - 502  

윤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미정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종미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석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동젓무 김치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들을 SAFE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총 57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14개의 S-containing compounds, 22개의 terpene hydrocarbons, 13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alcohols, 4개의 miscellaneous compon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동정된 휘발성 성분들 중 S-containing compound류와 terpene hydrocarbon류가 정량적으로 주요 성분들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dimethyldisulfide, methyl-2-propenyldisulfide, dimethyltrid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vinyl-[4H]-1,3-dithiin 등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에 따라서는 시료간에 정성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동젓무 김치의 향기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후 향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 FD)를 구하였다. 이 결과 감동젓무 김치에서 총 15종의 휘발성 향기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이 중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4-isothiocyanato-1-butene과 썩은 양파향을 주는 dimethyldisulfide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 외에 높은 FD factor($Log_3$ FD>5)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2-vinyl-[4H]-1,3-dithiin($Log_3$ FD factor 5, spicy/garlic-like)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atile components in Gamdongchotmoo kimchi, unfermented and fermented for 3 or 25 days, were extracted via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 and then analyzed vi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57 components, including 14 S-containing compounds, 22 terpene 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비해 감동젓무 김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감동젓무 김치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감동젓무 김치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성분(volatile component)과 향기활성 성분(aroma-active compound)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와 GC-olfactometry(GC-O)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감동젓무 김치의 향미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동젓무 김치란? 감동젓무 김치는 절인 배추와 무, 전복, 낙지, 밤, 배, 잣 등과 삭힌 감동젓을 재료로 한 서울지방의 대표적인 고급 깍두기로 주로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되던 궁중 김치류 중의 하나이다(12). 감동젓은 곤쟁이젓의 별칭으로 아주 어린 새우로 담근 젓갈이며, 싱싱한 새우의 향과 함께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젓갈류는 김치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김치는 사용하는 재료와 제조 방법 및 지역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김치 부재료와 양념류의 성분은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기도 하고, 이들의 배합비는 김치 숙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5). 또한 염도와 발효기간 및 온도는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젓갈은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김치의 휘발성 향미 성분들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6-8). 그러나, 젓갈류나 해산물의 첨가는 김치의 맛 성분에는 현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향기활성 성분의 형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9).
김치란? 2001년 7월 Codex 국제 식품규격을 획득하여 세계 각국의 절임류와는 차별화된 자연 발효식품으로 인정받은 김치는 주원료인 절임 배추에 여러 가지 양념류(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및 무 등)와 젓갈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주로 유산균들에 의해 발효되어지는 전통식품이다(1-5). 김치는 사용하는 재료와 제조 방법 및 지역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김치 부재료와 양념류의 성분은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기도 하고, 이들의 배합비는 김치 숙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MK, Rhee KK, Kim JK, Kim SM, Jeong JW, Jang DJ.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ean J. Food Culture 22: 104-114 (2007) 

  2. Choi HS. Manufacture and storage of kimchi. pp. 23-25. In: Preparing and Storing of Kimchi. Hyoilbooks, Seoul, Korea (2005) 

  3. Cheigh HS.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 89-101 (1995) 

  4.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1994) 

  5.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9-245 (1994) 

  6.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manufacture an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1990) 

  7.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8. Park YS, Koo YJ, Ahn BH, Choi SY, Cho DW, Lee MK. Standardization of kimchi-manufacturing proces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Report No. 0449.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Korea (1994) 

  9. Cha YJ, Kim H, Cadwaller KR. Aroma-active compound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Agr. Food Chem. 46: 1944-1953 (1998) 

  10. Ryu JY, Lee HS, Rhee HS. Change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11:169-174 (1984) 

  11. Paik JE, Jung HA, Bae HJ. Quality changes of cucumber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inor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4: 473-481 (2006) 

  12. Cho JS. The research of kimchi. p.14. In: The Historical Review of Kimchi. Yurim, Seoul, Korea (2000) 

  13. Chung HY, Cadwallader KR.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of blue crab claw meat volatiles. J. Agr. Food Chem. 42: 2867-2870 (1994) 

  14. Dougan J, Howard GE. Some flavouring constituents of fermented fish sauce. J. Sci. Food Agr. 26: 887-894 (1975) 

  15. Kim JY, Park EY, Kim YS.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1:319-324 (2006) 

  16. Pyo YH, Kim JS, Hahn YS. Volatile compound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6-61 (2000) 

  17. Chun SS, Cho YS, Shim SY, Shon MY.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s and volatile compounds of Angelica keiskei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13: 59-65 (2000) 

  18. Ko YT, Baik IH. Changes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23-1126 (2002) 

  19. Jung EJ, Lee MJ, Lee YB.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kimchi-flavored steak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51-355 (2002) 

  20. Ryu JY, Lee HS, Rhee HS.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174 (1984) 

  21. Chun SB. Korean kimchi recipe. p. 195. In: Gamdongchotmoo Kimchi. Yuhan Publishing Co., Seoul, Korea (2004) 

  22. Yoon SJ. Trend of Korean fermented food. p. 45. In: Kimchi with Fermented Tiny Shrimps.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2004) 

  23. Kye SH, Yoon SI, Lee C.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278 (1986) 

  24. Han BJ. Traditional food. In: Kimchi. Dae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07 (1989) 

  25. Hawer WD. A study on the analysis of volatile flavor of kimchi. Anal. Sci. Technol. 7: 125-132 (1994) 

  26. Kang JH, Kang SH, Ahn ES, Yoo MJ, Chung HJ.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roperties of Baechukimchi. Korean J. Food Culture 19: 30-42 (2004) 

  27. Grosch W. Detection of potent odorants in food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Trends Food Sci. Tech. 4: 68-73 (1993) 

  28. Buttery RG, Guadagni DG, Ling LC, Seifert RM, Lipton W. Additional volatile components of cabbage, broccoli, and cauliflower. J. Agr. Food Chem. 24: 829-832 (1976) 

  29. Takeoka GR, Flath RA, Mon TR, Teranishi R, Guentert M. Volatile constituents of apricot (Prunus armeniaca). J. Agr. Food Chem. 38: 471-477 (1990) 

  30. Buttery RG, Turnbaugh JG, Ling LC. Contribution of volatiles to rice aroma. J. Agr. Food Chem. 36: 1066-1069 (1988) 

  31. Vanetten CH, Daxenbichler ME, Williams PH, Kwolek WF. Glucosinolates and deriverd products in cruciferous vegetables. Analysis of the edible part from twenty-two carieties cabbage. J. Agr. Food Chem. 24: 452-455 (1976) 

  32. Park HK, Sohn KH, Park OJ.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I)-aroma compound analysis. Korean J. Food Culture 12: 173-182 (1997) 

  33. Hawer WD. A study on the analysis of volatile flavor of kimchee. Anal. Sci. Technol. 7: 125-32 

  34. Kang JH, Lee JH, Min S, Min DB.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lactic acid bacteria, pH, and headspace gases in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 J. Food Sci. 68: 849-854 (2003) 

  35. Choi SY, Lee MK, Choi KS, Koo YJ, Park WS. Change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44- 64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