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528 - 533  

안장우 (청강문화산업대학 식품과학과) ,  윤종영 ((주)동성식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 분말을 밀가루 대비 0%(시료 I), 1.4%(시료 II), 2.8%(시료 III), 4.2%(시료 IV)를 대체하여 첨가하여 국수를 만들어 여러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국수와 조리된 국수의 L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b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은 네 시료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에 따른 국수의 무게증가율에서는 IV 시료가 가장 높았다. III, IV 시료의 부피증가율이 I, II 시료보다 더 컸다. 조리된 국수의 밀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국물의 pH와 탁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경도와 탄성은 시료 I이 가장 높았고 시료 II, III, IV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응집성검성은 시료 III, IV가 I, II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작았다. 관능검사 결과 네 시료 사이에 외관과 향미의 기호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은 I과 II 시료가 III, IV 시료에 비해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맛과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시료 III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로써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제조를 위해서는 2.8% 정도의 마 분말을 밀가루에 대체하여 첨가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at ratios of 0% (I), 1.4% (II), 2.8% (III), and 4.2% (IV) Dioscorea japonica powder, based on the wheat flour weight. The lightness of the uncooked and cooked noodl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표적으로 클로렐라(16), 분리대두단백(17), 율무(18), 칡 전분(19), 김 분말(20), 가루녹차(21), 발아콩 분말(22), 하이드로콜로이드(23), 게걸무(24), 동아즙(25), 상황버섯 분말과 추출액 (26), 구기자 분말(27) 등의 다양한 소재를 첨가하여 만든 국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 소재로 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제조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의 뿌리는 예로부터 어떤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마의 뿌리는 예로부터 구황식품뿐 아니라 폐와 비장에 유익하여 자양 및 강장, 지사, 지갈, 정장, 진해, 거담, 이뇨, 해독 효과가 있고 영양 및 소화 개선, mucin에 의한 면역기능의 강화, 신경통, 류머티즘 개선, 뇌기능의 유지 개선 등(5)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6)와 혈당 및 혈액 중의 중성지질 감소 효과(7)도 보고된 바 있다.
마에 함유되어 있는 점질물에는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가? 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그 내부는 황갈색이나 유백색을 띤 끈끈한 점질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런 점질물은 수용성의 acetyl mannan과 같은 다당류가 대부분이며 소량의 포도당 및 과당,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 등도 포함되어 있다(1). 특히 마는 서류 중 단백질의 양과 조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고(2) 감자와 달리 생식이 가능하다.
마란? 마(Dioscorea japonica)는 마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널리 분포하며 산약(山藥), 서예(署預)라고도 불린다. 마는 덩이뿌리의 모양에 따라 참마(Dioscorea japonica), 긴마(Dioscorea batatas DECENE), 단마(Dioscorea aimadomio)로 나누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ironaka K, Yakada K, Ishibashi K. Chemical composition of mucilage of Chinese yam. Nippon Shokuhin Kogyo Gakk 37: 48- 51 (1990) 

  2. Kouassi B, Diopoh J, Leroy Y, Fournet B. Total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yam (Dioscorea) tubers and their evolution during storage. J. Sci. Food Agr. 42: 273-285 (1988) 

  3. Lee BY, Kim HK.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77-882 (1998) 

  4. Park WK. Food for diet. pp. 176-178. In: Choice of Food for Health.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Co., Seoul, Korea (2006) 

  5. Jung DH. Ma. pp. 191-192. In: Encyclopedia of Health and Functional Foods. Shinil Books Publishing Co., Seoul, Korea. (2007) 

  6. Lim SJ, Kim PJ. Development of recipe for the preparations of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on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Soc. Food Sci. 11: 267-273 (1995) 

  7. Kwon EK, Choi EM, Koo SJ. Effects of mucilage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EN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95-801 (2001) 

  8. Chung HY. Carbohydrates analyses of Korean yam (Dioscorea) tub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6-40 (1995) 

  9. Lee BY, Park DJ, Ku KH, Kim EK, Mok CY. Mucilage separation of Korean yam using microparticulation/air class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96-602 (1994) 

  10. Kim W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with doughnut of yam (Dioscorea batatas)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9: 74-77 (1993) 

  11. Lee BY, Lee YC, Kim HM, Kim CJ, Park MH.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gelatinized yam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19-622 (1992) 

  12. Choi IS, Lee LS, Koo SJ. Study on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Dioscorea batatas DECENE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8: 57-63 (1992) 

  13. Nagashima T, Kamoi I. Some properties of starch from yam (Dioscorea). J. Jpn. Soc. Food Sci. Technol. 37: 124-129 (1990) 

  14. Hironaka K, Shindou T, Ishibashi K. Viscoelasticity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nagaimo). J. Jpn. Soc. Food Sci. Technol. 36: 891-897 (1989) 

  15. Tanoue H, Simozone H. 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viscous polysaccharides from three species of yam (Dioscorea). J. Jpn. Soc. Food Sci. Technol. 38: 751-757 (1991) 

  16. Park SI, Cho EJ.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Nutr. 17: 120-127 (2004) 

  17. Bae SH, Chul Rhee.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 J. Food Sci. Technol. 30: 1301-1306 (1998) 

  18. Kim SS, Kim BY, Hahm TY, Shin DH. Least cost and optimum mixing programming by yulmu mixture nod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85-390 (1999) 

  19. Lee YS, Lim NY, Lee KH.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681-688 (2000) 

  20. Lee JW, Kee HJ,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2000) 

  21.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2003) 

  22. Choi MH, Chang HG, Kim HG, Kim WJ, Chung HJ. Effects of germinated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dough and noodle. Korean J. Food Cook. Sci. 21: 919-926 (2005) 

  23. Cho YH, Shim JY, Lee HG.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and noodles with amylopectin content and hydrocollo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38-145 (2007) 

  24. Kim HR, Lee JH, Kim YS, Kim KM.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83-288 (2007) 

  25. Hong SP, Jun HI, Song GS, Kwon KS, Kwon YJ, Kim YS.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ice-added dry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95-799 (2004) 

  26.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97-583 (2005) 

  27. Lim YS, Cha WJ, Lee SK, Kim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83 (2003) 

  28. Choi IS, Lee LS, Koo SJ. Study on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Discorea batatas DECAISNE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8: 57-63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