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2 no.4, 2009년, pp.209 - 219  

최성은 (선린병원 호스피스센터) ,  강은실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effects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Rainbow program")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was designed as a preliminary experimental study with one-group pre-post test. Methods: A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다학제적이고, 전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효과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호스피스 환자들의 영적안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ㆍ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호스피스 병동에서 환자들이 자신을 존중해 주는 느낌을 갖는 경우는 따뜻한 말과 공손한 태도, 친절, 의사결정 존중, 경청 등에서이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을 중재할 때 가족들 상담을 통해 환자와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환자의 의견을 존중하도록 하였으며, 환자와 환자의 가족 그리고 의료진이 필요한 대화를 나누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사망인구는 얼마인가? 우리나라 사망인구는 년 25만 명에 달하며, 이 중 말기 질환의 대표적인 암을 비롯하여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인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1). 신규 암 발생자 중 생존 암 환자와 말기암 환자는 각각 50%의 비율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암 이외에도 각종 만성 질환과 난치성 희귀질환 및 감염질환 역시 말기로 진행되어 해마다 말기 질환으로 사망하는 환자와 사별가족들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1).
호스피스란 무엇인가? 호스피스란 말기 환자와 가족을 전인적인 존재로서 돌봄의 한 단위로 바라보며, 대상자의 존엄성과 삶의 질에 초점을 두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돌볼 뿐만 아니라 사별 후 가족들의 삶을 돌보며 상실로 인한 고통과 슬픔을 완화시키는 전인적, 총체적, 개별적 돌봄이다(4,5). 이를 위해 여러 전문직에 의한 다학제적인 호스피스팀을 구성하여 상호협력하여 전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6).
전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이를 위해 여러 전문직에 의한 다학제적인 호스피스팀을 구성하여 상호협력하여 전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6). 전인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호스피스대상자들이 겪는 전인적 고통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4. 

  2. Kim JS. Current status of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2002 Nov 8; Seoul, Korea. National Cancer Center;NCC;2002. p. 1-9. 

  3. Yun YH. Reality and direction of solution for death with dignity. Death with dignity; 2004; Seoul, Korea. National Cancer Center;2004. p. 5-24. 

  4. Ro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 death. Seoul; Hyunmoon;1995. p. 122-3. 

  5. National Cancer Medical Center. The Standard & regulations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2002. 

  6. Choe WS. Development of hospice care delivery system model in Korea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 1999. 

  7. Soeken KL, Carson VJ. Responding to the spiritual needs of the chronically ill. Nursing Clinic of North American 1987;22(3):603- 10. 

  8. Samules SC. Enhancing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New York:Human Science Press;1977. 

  9.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 Co.;1967. p. 9-44. 

  10. Yun YH.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al task of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 palliative care. National Cancer center symposium; 2005 Jan 18; Goyang, Korea. NCC;2005. p. 6-23. 

  11. Song MO.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dissertation]. Daegu: Keimyung Univ.; 2002. Korean. 

  12. Lee CG, Kim IH, Kim MJ, Lee KO. Hospice palliative care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Proceedings of the 6th Asia pacific hospice conference; 2005 Mar 16-19; Seoul, Korea. Asia Pacific Hospice Network;2005. 

  13. Lee SC, Liu HE. The change of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burden and health during the hospice program. Proceedings of the 6th Asia pacific hospice conference; 2005 Mar 16-19; Seoul, Korea. Asia Pacific Hospice Network;2005. p. 193. 

  14. Chen ML, Lai YL. Christian music being therapeutic to terminal patients as spiritual care. Proceedings of the 6th Asia pacific hospice conference; 2005 Mar 16-19; Seoul, Korea Asia Pacific Hospice Network;2005. p. 200. 

  15. Vedenskava E, Vedenskaya I, Grinykova L. Palliative care for the elderly evaluation. Proceedings of the 6th Asia Pacific Hospice Conference; 2005 Mar 16-19; Seoul, Korea. Asia Pacific Hospice Network;2005. p. 202. 

  16. National Hospice Organization. Hospice Standard;1979. p. 2. 

  17. NHO. Standards of hospice program of care. The Hospice Journal 1994;9(4):39-74. 

  18. Korean Nurses Association &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Palliative Care. Development of standard for hospice nursing (A Politic Research Report 2001 by Korean Nurses Association). Seoul:Korean Nurses Association;2003.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20. Yoon HJ. The effect group art therapy affect on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parenting stress, sense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self esteem [dissertation]. Seoul: Sogang Univ.; 2002. Korean. 

  21. Cho HS.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for chronic mental inpatients of long-term psychiatric hospital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 2003. Korean. 

  22. Kim J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focused on reality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 2001. Korean. 

  23. Paloutzian J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lman D,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th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interscience;1982. 

  24. Choi SS.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1990. Korean. 

  25. Kang JH. Th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 1996. Korean. 

  26. Seok JH, Kang ES, Choe HS.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opelessness, self-esteem, self-concept of operative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2):189-99. 

  27. Oh PJ. Predicting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 Korean Acad Adult Nurs 1997:127(4):901-11. 

  28. Yoo YK. A study on the perceiced family support and the self-esteem of the aged. J Korean Acad Adult Nurs 1999;11(3): 367-77. 

  29. Park J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opelessness of the aged [dissertation]. Gwangju: Chosun National Univ.; 1992. Korean. 

  30. Min BG. Iibu Ganhohakseongyi jaajonjunggamgwa imsangsisubsi nugginun bulangwayi gwangeoye gwamhan yeongu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 of Nursing Student and Anxiety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Daejeon Ganho Daehak Nonmoonjib [Journal of Daejeon Nursing College] 1988;14:107-8. 

  31. Lee KS, Hong YS, Han SS.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Seoul:Living With Scripture Publisher;1996. 

  32. Oh PJ.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 Korean Acad Adult Nurs 1997;9(2):189-98. 

  33. Young G, Dowling W. Dimensions of religiosity in old age: accounting for variation in types of participation. J Gerontol 1987;42(4):376-80. 

  34. Fish S, Shelly JA.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NewYork: I.V.P.;1979. 

  35. Conrad NL. Spiritual needs of the terminal ill. Nurs Clin North Am20 America;1985. 

  36. Lee SE.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 well-being,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local church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 2002. Korean. 

  37. Banks R. Health and spiritual dimension: relationship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J Sch Health 1980:50(4);195-2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