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북부 일부 지역 대형 마트 유통계란에 오염된 미생물의 분리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from Eggs in Hypermarket in the Northern Gyeonggi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3, 2009년, pp.396 - 401  

전명숙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승희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계란에서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여 계란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자료로서는 대형 마트에 유통 중인 계란 중에서 서로 브랜드가 다른 계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란의 난각에 존재하는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4{\times}10^4cfu/m{\ell}$로 상당히 높은 일반 세균수가 검출되었다. 다음으로는 식중독 지수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대장균 및 계란으로 인한 식중독에서 주요 원인 균으로 작용하는 살모넬라균의 오염 여부를 파악한 결과, 한 브랜드의 계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고,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각 브랜드에 계란에서 검출된 세균을 분리 동정 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mendocina, Alcaligenes xylosoxidans, Alcaligenes faecalis, Enterobacter cloacae 등이 분리되었다. 이 세균들 중 일부는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거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에게 기회감염 또는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란의 난각에서 분리된 대장균의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대장균의 DNA를 분리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병원성 대장균들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시중에 유통중인 계란의 난각에서 비록 살모넬라균과 병원성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병원성 세균들이 검출됨으로써 계란의 유통 및 판매에 더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organisms or their toxins can be transferred to eggs and cause food poisoning in human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microbial contamination of eggs and to identify microorganisms in any contaminated eggs. Four different brands of eggs were collected from hypermarkets in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실험의 목적은 유통단계의 계란의 미생물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여 계란의 위생관리와 계란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대형 마트에서 유통 중인 계란에서 Salmonella와 E. coli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오염된 미생물의 병원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 중에서도 특히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으로 Salmonella enteritidis가 분리되고 있다(Baker & Goff 1980; Humphrey 등 1994).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도 4종류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계란의 난각에서 살모렐라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의 계란의 난각에서는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B와 C의 계란에서는 Klebsiella pneumoniae가 검출되었고, D의 계란에서는 Enterobacter cloacae가 검출되었다(Table 3).
  • 본 실험은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계란에서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여 계란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자료로서는 대형 마트에 유통 중인 계란 중에서 서로 브랜드가 다른 계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도 난각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중에서 대장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대장균 증균 및 분리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을 실시하였다. 분리배지인 EMB agar(Difco Co, USA)에서 대장균으로 추정되는 녹색의 금속성 광택을 보이는 집락을 선별하여, 최근에 식품미생물이나 병원성 미생물을 동정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는, 자동미생물동정기(VITEK)와 그람음성 세균 동정 카드(GNI+)를 이용하여 세균의 종류를 동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의 계란에서는 Pseudomonas mendocina, B의 계란에서는 Alcaligenes faecalis가 검출되었다.
  • 이 실험의 목적은 유통단계의 계란의 미생물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여 계란의 위생관리와 계란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대형 마트에서 유통 중인 계란에서 Salmonella와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란이란 무엇인가? 계란은 단백질을 포함하여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는 완전식품으로서, 현대인의 식생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요리법 등으로 더욱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능성을 강화한 특수 계란들이 유통되면서 현대인의 식생활에 더욱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Jones 등 1995).
미생물들이 난각의 기공이나 미세한 틈을 통하여 내부로 이동하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계란의 난각(eggshell)에 오염된 살모넬라균 등 미생물들이 난각의 기공이나 미세한 틈을 통하여 내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nzler 등 1994; Jang 등 1999). 난각을 통과한 미생물은 난백(egg white)을 지나 얇고 약해진 난황막(york membrane)을 통과하여 결국 난황을 오염시킨다. 난황에 존재하는 풍부한 영양소는 미생물들의 증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중독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식중독은 식재료를 처리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미생물 혹은 독소에 오염된 음식을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발생한다.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메스꺼움, 구토, 설사, 경련, 두통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광협. 2000. 계란의 위생처리와 HACCP. 한국가금학회 춘계 산학협동 심포지움. pp.69-78 

  2. 정민국. 2000. 유통환경 변화와 계란 유통구조의 개선방안. 한국가금학회 춘계 산학협동 심포지움. pp.53-66 

  3. Arogone MR, Maurizi DM, Clara LO, Navarro Estrada JL, Ascione A. 1992. Pseudomonas mendocina, an environmental bacterium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human infective endocarditis. J Clin Microbiol 30:1583-1584 

  4. Bae J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Plagiorhegama dubium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 Korean J Food Nutr 18:81-87 

  5. Baker RC, Goff JP. 1980. Prevalence of Salmonella on eggs from poultry farms in New York State. Poult Sci 59:289-292 

  6. Bang BH, Jeong EJ. 2009. Isolation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from Streptomyces sp. Y-88. Korean J Food Nutr 22:103-109 

  7. Bean NH, Griffin PM. 1990.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United States, 1973-1987: pathogens, vehicles and trends. J Food Prot 53:804-817 

  8. Cox NA, Baily JS, Thomson JE, Carson MO. 1980. Lactose preenrichment versus direct enrichment for recovering Salmonella from deep-chilled broilers and frozen meat products. Poult Sci 59:2431-2436 

  9. Du Reu K, Messens W, Heyndrickx M, Rodenburg TB, Uyttendaele M, Herman L. 2008. Bacterial contamination of table eggs and the influence of housing systems. World Poult Sci J 64:5-19 

  10. Henzler DJ, Ebel E, Sanders J. 1994. Salmonella enteritidis in eggs farm commercial chicken layer flocks implicated in human outbreaks. Avian Dis 38:37-43 

  11. Humphrey TJ. 1990.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the infection of egg-laying hens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hage type 4. World Poult Sci J 46:5-13 

  12. Humphrey TJ, Martin KW, Whitehead A. 1994. Contamination of hands and work surfaces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T4 during the preparation of egg dishes. Epidemol Infect 113:403-409 

  13. Jang KI, Park JH, Kim KY. 1999.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771-777 

  14. Jones FT, Rives DV, Carey JB. 1995. Salmonella contamination in commercial eggs and an egg production facility. Poult Sci 74:753-757 

  15. Lammerding AM, Garcia MM, Mann ED, Robinson Y, Dorward WJ, Truscott RB, Tittiger F. 1988. Prevalence of Salmonella and thermophilic Campylobacter in fresh pork, beef, veal and poultry in Canada. J Food Prot 51:47-52 

  16. Lee SM, Kim KH, Lee JG, Park EJ, Lee SW, Hong CH. 2002. Hygienic quality of eggs in the department food store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J Food Hyg Safety 17:129-136 

  17. Papadopoulou C, Dimitriou D, Levidiotou S, Gessouli H, Panagiou A, Glegou S, Antoniades G. 1997.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eggs and their resistance to currently used antibiotics: Is there a health hazard for consumer?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20:35-40 

  18. Saiman L, Chen Y, Tabibi S, Gabriel PS, Zhou J, Liu Z, Lai L, Whitter S. 2001.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Alcaligenes xylosoxidan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J Clin Microbiol 39:3942-3945 

  19. Tsay RW, Lin LC, Chiou CS, Liao JC, Chen CH, Liu CE, Young TG. 2005. Alcaligenes xylosoxidans bacteremia: clinical feature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s. J Microbiol Immunol Infect 38:194-199 

  20. Woo IH, Hwang YK, Lee YS. 2008. The status and the actual sanitation management conditions of food servic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 Food Nutr 21:355-365 

  21. Woo YK. 2005. Microbial hygienic status of poultry meats and eggs collected at the public market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in 1996. Kor J Microbiol 41:38-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