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유황곡선 및 BOD 농도지속곡선 변화
Effect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on Flow and BOD Concentration Duration Curve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12, 2009년, pp.1091 - 1102  

박경신 ((주) 현대산업개발 사원) ,  정은성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김상욱 (국회입법조사처 국토해양팀) ,  이길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토지이용 변화로 인한 물순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학적 축소모형(SDSM), 연속유출모형인 HSPF 모형, 불투수면 모형을 결합하는 통합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안양천 유역에 적용하여 치수, 이수, 수질관리 측면에서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가 기준은 유황곡선과 오염물질 농도 지속곡선이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3개 (현재, A1B, A2)와 토지이용변화 3개, 총 9개의 시나리오에 대해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는 유출량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토지이용변화는 농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유역관리, 수자원관리를 위해 도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approach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mpact assessment by linking models of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and ICM (impervious cover model). A case study of the Anyangcheon watershed illustrated how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61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온과 강수 실측값을 이용하여 SDSM 모형을 구축하였고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R-squared 값이 서울관측소의 경우 두 시나리오에 대해 0.
  • , 1991, Wilby, 1994). 검증을 위하여 8년간의 일 강수 366개를 가장 큰 강수부터 가장 작은 강수까지 나열하여 각각 평균한 관측값과 모의값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울관측소를 기준으로 생성된 A1B 시나리오와 A2 시나리오의 초과확률에 대한 강수의 크기를 Fig.
  • 수량 및 BOD 농도를 모의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기순환모형의 결과 중 CGCM3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특별 보고서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HSPF 모형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한 통계학적 축소기법 모형인 SDSM을 이용하여 월(月)단위 자료로 제공되고있는 GCM 결과값을 일단위 자료로 축소화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한 대상 지점은 서울과 수원 관측소로 2001년부터 2100년까지의 강수와 기온 자료를생성하였다.
  •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회(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 제공하고 있는 GCM 중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CGCM3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특별 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 Senario, SRES)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였다.
  •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현재 상태 (Present Condition, P)를 기준으로 과거 30년인 1979년부터 2008년까지의 평균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2011년부터 2040년까지 미래 30년 동안의 평균 유황곡선을 작성하였다. 각 유역별로 결과 값을 9개 시나리오에 대해 정리하여 제시하면 Table 5와 같고 치수, 이수, 수질 관리를 위한 각각의 자료들을 평균하여 도시하면 Fig.
  • ,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모형 중 사용빈도가 높은 CGCM3 (Canadian Global Coupled Model) 결과와 통계학적 축소화 모형인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Wilby et al., 2002)을 이용하여대상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불투수면모형 (Impervious Cover Model, ICM)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생성한 뒤 미국 환경청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에서 개발한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Bicknell et al., 2001)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 유역의 기후 변화 및 도시화에따른 물순환을 모의하였다.
  • 본 연구는 기후 및 토지이용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속유출모형, GCM 모형의결과, 불투수면모형(ICM)을 이용하여 안양천 유역에 대해 수량 및 BOD 농도를 모의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기순환모형의 결과 중 CGCM3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 1).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토지 이용변화에 대한 시나리오는 총 세 가지 경우로 현상태의 토지이용을 유지하는 것(C1)과 ICM의 하천 수질 영향 단계가 각각 한 단계 상승하는 경우(C2), 두 단계 상승하는 경우(C3)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한 단계 상승하는 경우는
  • 또한 11개의지방하천 제1지류와 9개의 지방하천 제2지류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망과 하수관망, 지형도 등을 고려하여 Fig. 2와 같이 왕곡(WG), 오전(OJ), 당정(DJ), 산본(SB), 학의(HU), 수암(SA), 삼성(SS), 삼봉(SB1), 시흥(SH), 목감(MG), 도림천(DR) 유역, 총 11개의 지천 중유역과 안양천 전체 유역(AY)으로 구분하였다.
  • 검증을 위하여 8년간의 일 강수 366개를 가장 큰 강수부터 가장 작은 강수까지 나열하여 각각 평균한 관측값과 모의값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울관측소를 기준으로 생성된 A1B 시나리오와 A2 시나리오의 초과확률에 대한 강수의 크기를 Fig. 4와 같이 비교하였다. 이때 강수량이 0으로 나타난 약 30 % 이상의 값들은 제외하였다.
  • 이용하였다.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특별 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 Senario, SRES)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였다. A1B는 최근 IPCC AR4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현실에 가장 잘 부합되는 시나리오로 그적용사례가 늘고 있다.
  •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기순환모형의 결과 중 CGCM3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특별 보고서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물 및 BOD 농도를 모의하기 위해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였다.
  • 작성된 기후 및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HSPF 모형에 입력하여 수량 및 BOD 농도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김경태 등(2009)이 갈수량에 맞춰제시한 값을 입력하여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수량의 검증은 옻우물교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연구에서도 물 순환 분석을 위해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 과 BOD 농도지속곡선(concentration duration curve)을이용하였다. 치수를 위해 고수량인, 10 %, 5 %, 1 % 유황을 분석하였고, 이수를 위해 저수량인, 99 %, 95 %, 90 % 유황과 수질관리를 위해 농도 지속곡선에서 30 %, 10 %, 1 %의 농도값을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모형의 매개변수는 김경태 등(2009)이 갈수량에 맞춰제시한 값을 입력하여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수량의 검증은 옻우물교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BOD 농도의 검증은 안양천 유역 내의 5개 환경부 수질측정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 결과 수량에 대한 모형의 효율계수가 0.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한 대상 지점은 서울과 수원 관측소로 2001년부터 2100년까지의 강수와 기온 자료를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Mann-Kendall 검정을 통하여 경향성을분석하였다.
  • 대상 유역인 안양천 유역 내 소유역과 본류 구간을 포함하여 시나리오 적용대상 구간은 Fig. 2와 같이 총 12개 중유역이다. 본 연구에서 불투수면의 변화에 따른 토지 이용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게 된 이유는 토지 이용변화는 인간의 활동이기 때문에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이 불확실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계획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 계획된 개발계획 역시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불투수면에 대한 변화를 야기하는 계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Fig.
  •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Fig. 2와 같이 안양천 유역이다. 안양천은 국가하천이며 한강의 제1지류로서 경기도의왕시 지지대고개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면서 경기도와서울시를 경유하고 한강에 유입되는 대표적인 도시하천이다.
  • 안양천 유역 내에는 기상관측소가 위치하고 있지 않아 유역인근에 위치한 기상청 관할 서울 및 수원관측소의 1973년부터 2002년까지 30개년과, 최근 5개년(2003 ~ 2007년)의 안양천 유역의 기온 및 강우량을 분석하였다. 서울관측소의 30개년의 평균기온은 12.
  • 안양천은 국가하천이며 한강의 제1지류로서 경기도의왕시 지지대고개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면서 경기도와서울시를 경유하고 한강에 유입되는 대표적인 도시하천이다. 유역의 위치는 서울의 남서쪽으로 동경 126° 4 7 ' ~ 127° 04 ', 북위 37° 18 ' ~ 37° 33 ' 이며 유역면적은 286.55 州이고 유로연장은 32.5 이며 서울시의 7개구(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금천구)와 경기도 7개시(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광명시, 시흥시, 부천시)에 걸쳐있다. 또한 11개의지방하천 제1지류와 9개의 지방하천 제2지류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처리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한 대상 지점은 서울과 수원 관측소로 2001년부터 2100년까지의 강수와 기온 자료를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Mann-Kendall 검정을 통하여 경향성을분석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은 비모수 검정으로 시계열의 경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론/모형

  • 물 및 BOD 농도를 모의하기 위해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에 입력자료로 이용되는 기상자료는 GCM 결과를 통계학적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일자료로 입력하였으며 토지이용변화는 미국의 유역보존센터의 불투수율이 수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낸 불투수면 모형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 작성된 기후 및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HSPF 모형에 입력하여 수량 및 BOD 농도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김경태 등(2009)이 갈수량에 맞춰제시한 값을 입력하여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수량의 검증은 옻우물교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BOD 농도의 검증은 안양천 유역 내의 5개 환경부 수질측정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특별 보고서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물 및 BOD 농도를 모의하기 위해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에 입력자료로 이용되는 기상자료는 GCM 결과를 통계학적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일자료로 입력하였으며 토지이용변화는 미국의 유역보존센터의 불투수율이 수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낸 불투수면 모형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의 유량 및 BOD 농도에대해 여러 차례 적용되어 정확성을 검증받은 연속유출모의모형인 HSPF 모형을 이용하였다(정은성 등, 2007; 2008). 작성된 기후 및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HSPF 모형에 입력하여 수량 및 BOD 농도모의를 실시하였다.
  • 10 %, 5 %, 1 % 유황을 이용하였다. 연구에서도 물 순환 분석을 위해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 과 BOD 농도지속곡선(concentration duration curve)을이용하였다. 치수를 위해 고수량인, 10 %, 5 %, 1 % 유황을 분석하였고, 이수를 위해 저수량인, 99 %, 95 %, 90 % 유황과 수질관리를 위해 농도 지속곡선에서 30 %, 10 %, 1 %의 농도값을 이용하였다.
  • 더욱이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도로에 쌓여있는 오염물질을하천으로 유입시켜 하천수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유역보존센터의 불투수율이수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낸 불투수면 모형 (CWP, 2005)을 이용하여 안양천 유역의 제1지류 유역별로 불투수면을 증가시키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불투수면의 비율에 따라 수환경의 상태를 구분함으로써 개략적인 하천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개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경태, 정은성, 김상욱, 이길성, 성진영 (2009). “우리나라 오염총량관리제도의 개선 및 적용: 1. 안양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6호, pp. 972-978 

  2.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 (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185-193 

  3. 김병식, 서병하, 김남원 (2003). “전이함수모형과 일기발생모형을 이용한 유역규모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작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345-363 

  4. 김웅태, 이동률, 유철상 (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05-314 

  5.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 (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191-204 

  6. 신사철 (2000).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하천 유황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 623-634 

  7. 안소라,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 (2008).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B호, pp. 215-224 

  8. 안소라, 박민지, 박근애,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경안천 유역의 수문요소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33-50 

  9.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2006).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23-934 

  10. 임혁진, 권형중, 배덕효, 김성준 (2006).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강댐 유역의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5호, pp. 453-466 

  11. 정상만, 서형덕, 김형수, 한규하 (2008). “기후인자의 변화에 따른 대청댐유역의 유출민감도 모의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1호, pp. 1095-1106 

  12. 정은성, 이준석, 이길성, 김상욱, 김경태 (2007).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효과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6호, pp. 973-984 

  13. 정은성, 김경태, 김상욱, 이길성 (2008). “하천유지유량을 이용한 일최대 오염허용부하량 산정 방안.”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3호, pp. 325-335 

  14. 정일원, 배덕효, 임은순 (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I):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205-214 

  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수계별 유역의 불투수율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16. Asselman, N.E., Middelkoop, H., and van Dijk, P.M. (2003). “The impact of changes in climate and land use on soil erosion, transport and deposi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the River Rhine.” Hydrological Processes, Vol. 17, pp. 3225-3244 

  17. Bicknell, B.R., Imhoff, J.C., Kittle, J.L. Jr., Jobes, T.H., and Donigian, A.S. Jr. (2001).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User's Manual for Version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 

  18. Bronstert, A., Niehoff, D., and Burger, G. (2002). “Effe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storm runoff generation: Present knowledge and modeling capabilities.” Hydrological Processes, Vol. 16, pp. 509-529 

  19. Cameron, D. (2006). “An application of the UKCIP02 climate change scenarios to flood estimation by continuous simulation for a gauged catchment in the Northeast of Scotland, UK (with Uncertainty).” Journal of Hydrology, Vol. 328, pp. 212-226 

  20.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2005). Urban Subwatershed Restoration Manual Series: 1. An Integrated Framework to Restore Small Urban Watersheds Version 2.0.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Ellicott City, MD 

  21. Chang, H. (2003). “Basin hydrologic response to changes in climate and land use: The Conestoga River basin, Pennsylvania.” Physical Geography, Vol. 24, pp. 222-247 

  22. Cuo, L., Lettenmaier, D.P., Alberti, M., and Richey, J.E. (2009). “Effects of a century of land cover and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y of the Puget Sound basi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3, pp. 907-933 

  23. Ewen, J., and Paarkin, G. (1996). “Validation of catchment models for predicting land-use and climate change impacts.” Journal of Hydrology, Vol. 175, pp. 583-594 

  24. Hay, L.E., McCabe, G.J., Wolock, D.M., and Ayers, M.A. (1991). “Simulation of precipitation by weather type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7, No. 4, pp. 493-501 

  25. Hejazi, M., and Moglen, G.E. (2008). “The effect of climate and land use change on flow duration in the Maryland Piedmont reg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4710-4722 

  26. Juckem, P.F., Hunt, R.J., Anderson, M.P., and Robertson, D.M. (2008). “Effects of climate and land management change on streamflow in the driftless area of Wisconsin.” Journal of Hydrology, Vol. 355, pp. 123-130 

  27. Kite, G.W., Dalton, A., and Dion, K. (1994). “Simulation of streamflow in a macro-scale watershed using GCM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5, pp. 1546-1559 

  28. Kojiri, T., Hamaguchi, T., and Ode, M. (2008). “Assessment of global warming impacts on water resources and ecology of a river basin in Japan.”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Vol. 1, pp. 164-175 

  29. Kuhl, S.C., and Miller, J.R. (1992). “Seasonal river runoff calculated from a global atmospheric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8, pp. 2029-2039 

  30. Leander, R., Buishand, T.A., Hurk, B.J.J.M., and Wit, M.J.M. (2008). “Estimated changes in flood quantiles of the River Meuse from resampling of regional climate model output.” Journal of Hydrology, Vol. 351, pp. 331-343 

  31. Lee, K.S., and Chung, E.S. (2007). “Hydrological effects of climate chang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in the small Korea watershed.”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No. 22, pp. 3046- 3056 

  32. Legesse, D., Vallet-Coulomb, C., and Gasse, F. (2003). “Hydrological response of a catchment to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Tropical Africa: Case study South Central Ethiopia.” Journal of Hydrology, Vol. 275, pp. 63-85 

  33. Li, Z., Liu, W., Zhang, X., and Zheng, F. (2009). “Impacts of land use change and climate variability on hydrology in an agricultural catchment on the Loess Plateau of China.” Journal of Hydrology (on-line published) 

  34. Ma, X., Xu, J., Luo, Y., Aggarwal, S.P., and Li, J. (2009). “Response of hydrological processes to land-cover and climate changes in Kejie watershed, south-west Chin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3, pp. 1179-1191 

  35.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1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36. Pitman, A.J., and Chiew, F.H. (1996). “Testing a GCM land surface scheme against catchment-scale runoff data.” Climate Dynamics, Vol. 17, pp. 182-190 

  37. Sefton, C.E.M., and Boorman, D.B. (1997). “A regional investig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UK streamflows.” Journal of Hydrology, Vol. 195, pp. 26-44 

  38. Semadeni-Davies, A., Hernebring, C., Svensson, G., and Gustafsson, L. (2008).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urbanisation on drainage in Helsingborg, Sweden: Suburban stormwater.” Journal of Hydrology, Vol. 350, pp. 114-125 

  39. Schueler, T. (1994)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Watershed Protection Techniques, Vol. 1, No. 3, pp. 100-111 

  40. Solecki, W.D., and Oliveri, C. (2004). “Downscaling climate change scenarios in an urban landuse change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72, pp. 105-115 

  41. Stahl, K., Moore, R.D., Shea, J.M., Hutchinson, D., and Cannon, A.J. (2008). “Coupled modelling of glacier and streamflow response to future climate scenario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4, No. 2, W02422 

  42. Wang, S., Kang, S., Zhang, L., and Li, F. (2008). “Modelling hydrological response to different land-use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in the Zamu River basin of northwest Chin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2502-2510 

  43. Wilby, R.L. (1994). “Stochastic Weather Type Simulation for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2, pp. 3395-3403 

  44. Wilby, R.L., Dawson, C.W., Barrow, E.M. (2002). “SDSM - A decision support tool for the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Environmental and Modelling Software, Vol. 17, pp. 145-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