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송과 한약재 복합물의 in vitro 생리활성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nd Korean Traditional Plants Mix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3, 2012년, pp.295 - 301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재란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황초롱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송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와송 추출물, 한약재(백복령, 창출 및 사인)의 혼합물 및 한약재와 와송의 복합물(1:1, PMO-1; 1:3, PMO-3)의 항산화 및 암세포 생육 저해능을 비교하였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약재 혼합물이 와송 추출물보다 많았으며, 와송 복합물에서는 PMO-1이 PMO-3보다 더 높았다.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아질산염 소거능은 PMO-1이 PMO-3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및 MCF-7 및 HT-29 세포의 생육 저해능은 와송의 함유량이 많은 PMO-3의 활성이 더 높았다. 따라서 모든 생리활성시험에서 와송 복합물이 와송 추출물이나 한약재 혼합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와송 복합물은 와송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상승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hot water extracts. Four types of extract samples were prepared, including Wa-song, traditional plants mixture [PM; mixture of Baekbokryung (Poria cocos), Changchul (Atractylodis rhizoma), and Sa-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여러 식물류의 혼합 처방은 각 재료에 함유된 유효 물질간의 상호작용으로 첨가 효과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의 시너지 효과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어 과거로부터 고급약재로 사용되어온 와송의 생리활성 연구의 일환으로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와송과 유사한 활성을 지니는 한약재로 백복령, 창출 및 사인 등의 한약재를 선별하여 이들의 복합물에 대한 in vitro에서 와송과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Plants mixture (PM): Baekbokryung, Changchul and Sa-in extracts were mixed with same ratio (v/v).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령의 triterpenoids 성분의 효능은? 사인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terpenoids, sesquiterpenes,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가 분리·동정된 바 있으며, 이들 물질은 인체 암세포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보고된 바 있다(43). 복령의 triterpenoids 성분도 폐암, 피부암 및 직장암 등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44). 더욱이 항산화능을 지니는 폴리페놀 성분은 hydroxy기가 발암성을 갖는 유리기와 결합함으로써 발암성 물질을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항암활성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와송 복합물의 성분 중 폴리페놀의 기능은 무엇인가? 복령의 triterpenoids 성분도 폐암, 피부암 및 직장암 등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44). 더욱이 항산화능을 지니는 폴리페놀 성분은 hydroxy기가 발암성을 갖는 유리기와 결합함으로써 발암성 물질을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항암활성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와송(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의 기능은 무엇인가? 민간과 한의학에서 이용되는 천연식물 소재인 와송(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민간요법에서 오래전부터 면역작용이나 암치료에 이용되어져 왔으며, 항산화(8,9), 항궤양(10)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백복령(Baekbokryung, P oria cocos Wolf)은 내부가 백색인 복령으로 항암, 위궤양 개선, 혈당 강하(11,12) 및 항산화 활성(13)이 있으며, 창출(Changchul, Atractylodis rhizoma)은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에 효과적이며, 민간요법에서는 위장관 계통의 질환에 사용되기도 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irkinezos IG, Moraes CT. 2001.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tochondrial disease. Semin Cell Dev Biol 12: 449-457. 

  2. Oh SI,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seven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3.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 288. 

  4.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5.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7. Nam SH, Kang MY.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8. Lee SJ, Cha JY, Shin JH, Chung MJ, Sung NJ. 2008. Antioxidant effect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on edible oil and fat. J Life Sci 18: 1106- 1114. 

  9. Lee JH, Lee SJ, Park S, Kim HK, Jeong WY, Choi JY, Sung NJ, Lee WS, Lim CS, Kim GS, Shin SC. 2011. Characterisation of flavonoid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using HPLC-MS/MS: contribution to the overall antioxidant effect. Food Chem 124: 1627-1633. 

  10. Jung HJ, Choi J, Nam JH, Park HJ. 2007. Antiulcerogen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in mice. J Med Food 10: 702-706. 

  11. Kang AS, Kang TS, Shon SM, Kang MS, Kim GP, Lee JS. 1999. Studies on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ia cocos. Korean J Mycol 27: 378-380 

  12.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Lee IS. 1999.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y of triterpenoids fraction from Poria cocos Wol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29-1033. 

  13. Kim DG, Son DH, Choi UK, Cho YS, Kim SM.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oria coc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7-1101. 

  14. Kwak CS, Kim MY, Lee MS.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plant food mixtures in rat fed on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Nutr 38: 352-363. 

  15. Park BH, Park JW. 2001. The protective effect of Amomum xanthoides extract against alloxan-induced diabetes through the suppression of NF kappa B activation. Exp Mol Med 33: 64-68. 

  16. Rho HW, Lee JN, Koo BS, Zhao ZL, Park JW, Kim HR. 2002. Therapeutic effect of Amomum xanthoides extract on experimental diabetes induced by alloxan. Korean Diabetes J 26: 126-133. 

  17. Cho HS, Lee SJ, Shin JH, Kang MJ, Cho HS, Lee HJ, Sung NJ.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composites containing medicinal plant extract. J Life Sci 17: 1135-1140. 

  18. Cho HS, Shin JH,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2007. Lipid compositions changes of seasoned pork prepared with medicinal plant extracts during storage. J Life Sci 17: 1675-1681. 

  19. Park KJ, Jin HS, Park SH, Kim EH, Kim JK. 2008. Antihyperglycemia effect of medicinal plants mixtur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54-1559. 

  20. Lee SJ, Seo JK, Shin JH, Lee HJ,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5-611. 

  2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22.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3.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26.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27.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 3981: 517-519. 

  28.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65: 55-63. 

  29.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30.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CJ, Ahn D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 1579. 

  31. Wasser SP, Ewis AL. 1999. Therapeutic effect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a modern perspective. Crit Rev Immunol 19: 65-96. 

  32. Heo HJ, Kim YJ, Chung D, Kim DO. 2007. Antioxidant capacities of individual and combined phenolics in a model system. Food Chem 104: 87-92. 

  33. Kim JP, Chon IJ, Cho HK, Ham IH, Whang WK. 2004.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35: 98-103. 

  34. Yen GC, Chen H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gric Food Chem 43: 27-32. 

  35. Shin JH, Kang MJ, Lee SJ, Yang SM, Rue GH, Sung NJ.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garlic, red ginseng and their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33-1639. 

  36. Kim KD. 2007. Research of efficacy & stability about mixed medicinal plants extracts. J Kor Soc Cosm 13: 601-608. 

  37. Devi SL, Kannappan S, Anuradha CV. 2007. Evalu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Indian bay leaf, Cinnamomum tamala (Buch.-Ham) T. Nees & Eberm using rat brain synaptosomes as model system. Indian J Exp Biol 45: 778-784. 

  38. Lee KA, Chung HY. 2004. Biological activities a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 Nogyongdaebo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33. 

  39. Kim JO, Kim JB, Kim HY.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herb mixture prescribed to induce blood glucose level and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 Korean J Food Preserv 16: 115-121. 

  40. Jang KH, Park HW, Lee DJ. 2011.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in Labiatae herb plants. Korean J Intl Agri 23: 81-88. 

  41. Cha BC. 2011. Tyrosinase,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42: 89-97. 

  42. Woo YM, Kim AJ, Kim J, Lee CH. 2011. Tyrosinase inhibitory compounds isolated from Persicaria tinctoria flower. J Appl Biol Chem 54: 47-50. 

  43. Choi JW, Kim KH, Lee IK, Choi SU, Lee KR. 2009.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Amomum xanthioides. Nat Prod Sci 15: 44-49. 

  44.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Lee IS. 1999.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y of triterpenoids fraction from Poria cocos Wol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29-1033. 

  45. Ryu BH, Park CO. 1997.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enzymatic activities of hairless mice skin induced by ultraviolet B ligh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55-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