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잔대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잔대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SRB assay와 종양 억제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Ames test결과,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 Typhimurium TA98를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하였을 때 66.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TA100에서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했을 때는 83.3%와 75.1%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잔대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암세포 (HeLa), 인간 간암세포(Hep3B),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위암세포(AGS), 인간 폐암세포(A549)와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g/mL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79.9%(HeLa), 74.9% (Hep3B), 66.0%(MCF-7), 71.0%(AGS)와 74.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에서는 $3{\sim}36%$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잔대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최고농도 50 mg/kg에서 37.2%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모든 처리군 중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utagenic,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AT). AT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잔대에 대한 기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in vitro에서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등을 규명하고, in vivo에서 sarcoma-180 cell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검색함으로써 잔대를 가공하여 기능성을 가진 천연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잔대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잔대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가설 설정

  • 2)NS: not significant.
  • 2)Values not sharing common superscript letter in colum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2)Values not sharing common superscript letter in the sam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대의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이러한 잔대는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잎이 넓고 털이 많은 것을 털잔대, 꽃의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꽃이 층층으로 달리는 것을 층층 잔대 등 약 13종이 자생하고 있다.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β-sitosterol, lupenone, daucosterol, triphyllol, adenophoric acid methyl ester 등을 함유하고 있다(8-11). 한방에서 거담, 진해, 건위, 강장제 등의 약제로 이용하며, 민간약으로도 기관지염이나 기침, 대하증, 복통 등에 거담, 건위, 강장약으로 쓰인다(12).
우리나라에는 무슨 잔대가 자생하고 있는가? japonica Hara이며 사삼(沙蔘)·딱주·제니라고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7∼9월경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러한 잔대는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잎이 넓고 털이 많은 것을 털잔대, 꽃의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꽃이 층층으로 달리는 것을 층층 잔대 등 약 13종이 자생하고 있다.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β-sitosterol, lupenone, daucosterol, triphyllol, adenophoric acid methyl ester 등을 함유하고 있다(8-11).
잔대의 학명은 무엇인가? 잔대의 학명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이며 사삼(沙蔘)·딱주·제니라고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7∼9월경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러한 잔대는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잎이 넓고 털이 많은 것을 털잔대, 꽃의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꽃이 층층으로 달리는 것을 층층 잔대 등 약 13종이 자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ebb CP, Aelst LV, Wigler MH, Woue GF. 1998. Signaling pathways in mediated tumorigenicity and metastasis. Proc Natl Acad Sci 95: 8773-8778 

  2. Yu GM, Hwang IG. 2004. In vitro effe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9-344 

  3. Ha ES, Hwang SH, Shin KS, Yu KW, Lee KH, Choi JS, Park WM, Yoon TJ. 2004. Anti-metastatic activity of glycoprotein fractionated from Acanthpanax senticosus, involvement of NK-cell and macrophage activation. Arch Pharm Res 27: 217-224 

  4. Lee HB,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im KS, Lee KN.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 J Herbology 23: 1-8 

  5.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6. Ames BN, Kammen HO, Yamasaki E. 1975. Hair dyes are mutagenic: identification of a variety of mutagenic ingredients. Proc Natl Acad Sci USA 72: 2423-2427 

  7. Lee YE, Hong SH. 2004.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od material. Kyomunsa, Seoul. p 161-162 

  8. Kuang HX, Shao CJ, Kasai R, Ohtani K, Tanaka O. 1991. Phenolic glycosides from roots of Adenophora tetraphylla collected in Heilongjiang. China Chem Pharm Bull 39: 2440-2442 

  9. Konno C, Saito T, Oshima Y, Hikino H, Kabuto C. 1981. Structure of methyl adenophorate and triphyllol, trierpenoid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oots. Planta Med 42: 268-274 

  10. Gorovoi PG, Ponomarchuk GI, Strigina LI. 1971. A chemotaxonomic study on Russian far-eastern Campanulaceae. Phytochemistry 10: 2419-2423 

  11. Wang ZT, Ma GY, Tu PF, Xu GJ, Ng TB. 1995. Chemotaxonomic study of Codonopsis (Family Campanulaceae) and its related genera. Biochem Syst Ecol 23: 809-812 

  12. Park YK, Yoo HH, Baek SH, Lee SH, Kim CM, Lee KS, Park MK, Park JH. 2003. Quality control of Adenophorae Radix. Kor J Pharmacogn 34: 10-13 

  13. Kang BY, Kim MH, Bae SJ. 2002. Enhancement of antioxidation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vitamin C on the DLPC Liposo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06-510 

  14. Lee EB. 1974. Pharmacological studies on Platycodon grandiflorum. Kor J Phamacongn 5: 49-55 

  15. Jang JG, Lee KS, Kwon DW, Nam KY, Chio JH. 1983. Study on the changes of saponin contents in relation to root age of Panax ginseng. Korean J Food Nut 12: 37-45 

  16. Cho JT. 1985.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Chi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J Kor Soc Hort Sci 26: 22-28 

  17. Oh SW. 1972. Studies on components of Sasam. MS Thesis. Younsei University 

  18. Yoon ES, Lee SR, Lee YS. 1988. Estimation of gentic relationships and characterization among 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 fil. geographical variety by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isozymes. J Oriental Bo't Res 1: 34-41 

  19. Kanek Y, Park SY, Tanemura J, Lee SR, Lee YS. 1989. The present note describes that polymophic isoelectrophoretic variation in leaves of the 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 fil. 4 enzymes within variety of the zone in Korea and Japan. J Oriental Bo't Res 2: 243-251 

  20. Lee SR, Yoon ES, Lee HJ, Lee YS, Lee JI. 1989.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anti-cancer medical wild plants growing in Korea. J Oriental Bo't Res 2: 1-214 

  21. Baek SE, Woo SK, Kim MU. 1991.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sam. Kor Life & Sci 9: 103-115 

  22. Han EG, Cho SY. 1997.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81-1186 

  23. Yahagi T, Nagao M, Seino Y, Matusushima T, Sugimura T, Okada M. 1997. Mutagenicities of N-nitrosamines in Salmonella. Mutat Res 48: 121-130 

  24. Martin A, Martin C. 1997. Comparision of 5 microplate colorimetric assay for in vitro cytotoxicity testing and cell proliferation assays. Cytotechnology 11: 49-54 

  25.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26. Shon MY, Seo JK, Kim HJ, Sung NJ. 2001.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51-655 

  27. Jeon YH, Kim MH, Kim MR. 2008.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uscutae Sem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4-51 

  28. Park KU, Wee JJ, Kim JY, Jeong CH, Kang KS, Cho YS, Seo KI. 2005. Anticancer and immuno-activities of edible crude saponin from soybean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09-1513 

  29. Sung MK, Kendall CW, Koo MM, Rao AV. 1995. Effect of soybean saponins and gypsophilla saponin on growth and viability of colon carcinoma cells in culture. Nutr Cancer 23: 259-270 

  30. Rao AV, Sung MK. 1995. Saponin as anticarcinogens. J Nutr 125: 717-724 

  31. Min KJ, Choung SH, Koo SJ. 1999. Studies on the anticancer effect of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5: 231-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