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in vitro 미백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EFAT는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뛰어난총폴리페놀 함량(246.25 mg GAE/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303.94 mg RE/g)을 나타내었으며,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assayMDA 억제 활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FAT는 ${\alpha}-glucosidase$ 억제 활성에서 $41.93{\mu}g/ml$$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L-DOPA를 기질로 이용한 tyrosinase 억제 활성의 $IC_{50}$$438.67{\mu}g/ml$로 tyrosinase의 산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16/F10 melanome 세포에서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을 $200{\mu}g/ml$의 농도에서 108.04%로 높은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EFAT는 ${\alpha}-glucosidase$ 억제 효과를 통한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 작용과 tyrosinase의 가역적인 산화반응 저해를 통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EFAT의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chlorogenic acid와 rutin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EFAT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는 멜라닌의 생합성 저해 효과를 통하여, 미백 기능성을 함유한 향장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skin-whitening effec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sprou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 were examined. Total phenolic content (246.25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303.94 mg RE/g) of et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잔대 순을 이용하여 미백 기능성을 함유한 향장소재로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α-glucosidase, tyrosinase 저해 효과 및 B16/F10 melanoma cell에서의 melanin 생합성 저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 따라서 tyrosinase의 glycosylation에 작용하는 α-glucosidase, 멜라닌 생성의 주요 효소인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평가함으로써 EFAT의 미백효과와 함께 개략적인 기작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in vitro 미백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EFAT는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뛰어난총폴리페놀 함량(24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의 종류는?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서 관찰되는 광노화(photoaging)는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조직 내에 높은 농도의 여러 활성 산소가 생성되며 색소 침착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Han and Park, 2006).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초과산화음이온(superoxide anion, ·O2-),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주변의 분자와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어 단백질, 세포막, 효소 및 DNA 등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다(Papa and Skulachev, 1997). 이러한 활성산소는 피부 조직 내에 높은 농도로 생성되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세포 방어 기전으로 멜라닌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obin and Thody, 1994).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제제는? , 2013). 그러므로 α-glucosidase를 저해하게 되면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이 저해되어 구조는 변형되고 불활성 형태로 멜라노좀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melanogenesis가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α-glucosidase 저해제는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rescu et al., 1997).
잔대 뿌리와 비슷한 약효가 있는 것은? japonica)는 사삼, 딱주, 제니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몸에 털이 있고 굵은 뿌리를 가지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봄에는 어린새싹을 이용하여 나물로 먹고, 뿌리를 이용해서 구워먹거나 주로 약재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으며, 그 중뿌리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위로써 더덕, 도라지와 비슷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 성분은 saponin과 inulin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postolidis, E., Y.I. Kwon and K. Shetty. 2007. Inhibitory potential of herb, fruit, and fungal-enriched cheese against key enzymes linked to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8:46-54. 

  2. Benzie, I.F. and J.J. Strain.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70-76.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Cha, J.W., M.J. Piao, K.C. Kim, C.W. Yao, J. Zheng, S.M. Kim and J.W. Hyun. 2014. The polyphenol chlorogenic acid attenuates UVB-mediated oxidative stress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Biomol. Ther. 22(2):136-142. 

  5. Chang, C.C., M.H. Yang, H.M. Wen and J.C. Chen. 2002.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178-182 

  6. Chang, S.T., J.H. Wu, S.Y. Wang, P.L. Kang, N.S. Yang and L.F. Shyur.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 Food Chem. 49:3420-3424. 

  7. Chen, J.H. and C.T. Ho.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 Food Chem. 45:2374-2378. 

  8. Choi, H.J., M.J. Chung and S.S. Ham. 2010. Antiobese and hypocholesterolaemic effects of an Adenophora triphylla extract in HepG2 cell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Food Chem. 119:437-444. 

  9. Gum, S.I., D.U. Lee and M.K. Cho. 2007. Protec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composed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on the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88-693 (in Korean). 

  10. Han, D.H. and K.S. Park. 2006. Analysis on the changes and the using condition of functional cosmetics. Res. J. Costumec. 14:1056-1068 (in Korean). 

  11. Han, Y.S. and E.S. Jung. 2003.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plant extract. Korean Aesthetic. Soc. 1:11-22. 

  12. Hill, H.Z., W. Li, P. Xin and D.L. Mitchell. 1997. Melanin: a two edged sword?. Pigment Cell Melanoma Res. 10:158-161. 

  13. Hosoi, J., E. Abe, T. Suda and T. Kuroki.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lpha}$ ,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1474-1478. 

  14. Jeon, Y.S., Y.J. Jung, J.K. Youm, Y.K. Kim and S.N. Kim. 2013.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Korean J. Plant Res. 26:526-532 (in Korean). 

  15. Jeong, H.Y. 1991. Aging. free radical. arteriosclerosis. J. Life Sci. 1:2-14. 

  16. Kim, D.E., Y.S. Hang, B.Y. Chang, J.H. Han, D.S. Kim, H.S. Kim, H.K. Cho and S.Y. Kim. 2016. Whitening effect and mechanism of aerial part of Pueraria lobata. Korean J. Pharmacogn. 47:343-351. 

  17. Kim, D.O., S.W. Jeong and C.Y. Lee.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321-326. 

  18. Kim, H.S. 2016.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Geranium kramer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8:72-76. 

  19. Kim, H.S., D.H. Kwon, J.M. Cheon, E.O. Choi, J.H. Kim, M.H. Han, Y.H. Choi and H.J. Hwang. 2015. Effects of Myelophycus simplex Papenfuss methanol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5:62-67 (in Korean). 

  20. Kim, S., M.S. Park, H.K. Park and Y.S. Jang. 1995. Studies on the seed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Adenophora triphylla D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3:66-70 (in Korean). 

  21. Kim, S.S., J.H. Ha, M.H. Jeong, J.H. Ahn, W.B. Yoon, S.J. Park and H.Y. Lee.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Med. Crop. Sci. 17:280-285 (in Korean). 

  22. Kobayashi, T., K. Urabe, A. Winder, C. Jimenez-Cervantes, G. Imokawa, T. Brewington and V.J. Hearing. 1994.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functions as a DHICA oxidase in melanin biosynthesis. EMBO J. 13:5818-5825. 

  23. Lee, J.M., E.S. Son, S.S. Oh and D.S. Han.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Cult. 16:504-514 (in Korean). 

  24. Lee, J.Y., K.R. Im, T.K. Jung and K.S. Yoon. 2013. The inhibitory effect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extract on melanogenesis. Korean J. Soc. Cosmet. Sci. 28:137-145 (in Korean). 

  25. Lee, S.N. 2014. The antioxidant effect of ruti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Asian J. Beauty Cosmetol. 12:831-836. 

  26. Lee, S.Y., Y.M. Kim, J.K. Lee, S.J. Yoo, Y.J. Mun and W.H. Woo. 2003. The effect of rutin on the melanogenesis and nitric oxide in UVB-irradiated HM3KO human melanoma. Korean J. Anat. 36:49-56 (in Korean). 

  27. Li, H.R., M. Habasi, L.Z. Xie and H.A. Aisa. 2014. Effect of Chlorogenic Acid on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Mol. 1(9):12940-12948. 

  28. Mason, H.S. and E.W. Peterson. 1965. Melanoproteins I. Reactions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im. Biophys. Acta. 111:134-146. 

  29. Mikami, M., T. Sonoki, M. Ito, Y. Funasaka, T. Suzuki and Y. Katagata. 2013. Glycosylation of tyrosinase is a determinant of melanin production in cultured melanoma cells. Mol. Med. Rep. 8:818-822. 

  30.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In Uritani, I., V.V. Garcia and E.M. Mendoza (eds.),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materials in the tropic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p. 241-251. 

  31. Papa, S. and V.P. Skulachev. 1997.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305-319. 

  32. Petrescu, S.M., A.J. Petrescu, H.N. Titu, R.A. Dwek and F.M. Platt. 1997. Inhibition of N-glycan processing in B16 melanoma cells results in inactivation of tyrosinase but does not prevent its transport to the melanosome. J. Biol. Chem. 272:15796-15803. 

  33. Roberta,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34. Sohn, H.J., J.Y. Bock, S.O. Baik and Y.H. Kim. 1989. Determination of lignan compounds in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by capillary-GC (FI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2:350-356 (in Korean). 

  35. Tobin, D. and A.J. Thody. 1994. The superoxide anion may mediate short­but not long­term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melanogenesis. Exp. Dermatol. 3:99-105. 

  36. Woo, K.S., H.I. Seo, Y.H. Lee, H.Y. Kim, J.Y. Ko, S.B. Song and H.S. Jeong. 2012.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weet potatoes with cultivated conditions. Prev. Nutr. Food Sci. 41:519-52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