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잔대 뿌리의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각각 $3.4{\pm}0.3,\;9.4{\pm}0.1,\;1.6{\pm}0.1,\;3.7{\pm}0.2$$81.9{\pm}0.5%$이었다. 무기질 중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3.5{\pm}9.1$ mg/g이었고, 지방산에서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다. 잔대 뿌리에 함유된 비타민 E와 C는 각각 $1.1{\pm}0.1$$5.2{\pm}0.5$ mg/100 g이었다. 잔대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65.4, 117.1, 103.7, 104.4, 108.9, 484.1 ${\mu}g$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vels of mineral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sugar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Adenophora triphylla (AT) root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AT root were $3.4{\pm}0.3,\;9.4{\pm}0.1,\;1.6{\pm}0.1,\;3.7{\pm}0.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정선군에서 널리 재배, 생산하고 있는 잔대에 대하여 기능성 검토와 이용개발을 위하여 일반성분 분석,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및 비타민 분석을 통하여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 생리활성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함으로써 잔대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잔대 뿌리의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각각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대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위가 뿌리인데 한방에서 무엇으로 이용되는가? 잔대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위가 뿌리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거담, 진해, 건위 및 강장제 등의 약제로 이용하며(1), 도라지 뿌리의 대용으로도 쓴다. 잔대 뿌리는 도라지나 더덕처럼 먹을 수 있는데 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겨 소금에 비벼 유즙을 제거한 후 구이도 만들고 생체로 무치거나 장아찌로도 먹고 있으며, 썰어서 말렸다가 다시 물에 불려서 조리하기도 한다.
잔대는 무엇인가? 잔대(Adenophora triphylla)는 한방에서보다 민간요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생식물로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 싹은 나물로 이용되어져 오고 있는 대표적인 산나물로 “딱주”라고도 불렸다. 잔대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위가 뿌리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잔대에는 무슨 성분이 있는가? 또 약술에 빚어 자양강장제로 쓰기도 한다. 잔대는 vitamin A, C와 칼슘함량이 높고(1), 주성분은 saponin과 inulin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JS, Lee KH. 1988. Studies on the cultural practices of Codonopsis lanceolata (S. et Z.) TRAUTV.-1.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soil conditions of raising be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eed roots. Hort Environ Bitoech 6: 78-79 

  2. Kim S, Park MS, Park HK, Jang YS. 1995. Studies on the seed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Adenophora triphylla D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3: 66-70 

  3. Choi HJ, Kim SH,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thylacetate extract 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38-1243 

  4. Gum SI, Lee DU, Cho MK. 2007. 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s composed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on the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88-693 

  5. Asano N, Nishida M, Miyauchi M, Ikeda K, Yamamoto M, Kizu H, Kameda Y, Watson AA, Nash RJ, Fleet GWJ. 2000. Polyhydroxylated pyrrolidine and piperidine alkaloids from Adenophorae triphylla var. japonica (Companulaceae). Phytochemistry 53: 379-382 

  6. AOAC. 1995. Official Methods for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31 

  7.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Standard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01-304 

  8. Ogawa K, Ohara H, Koide T, Toyama N. 1989.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Trichoderma reesei by protoplast fusion. J Ferment Bioeng 67: 207-209 

  9. Oh HT, Kim SH, Yoo SJ, Choi HJ, Chung MJ, Ham SS. 2008. Component analysis of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86-890 

  10.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 In Amino acid analysis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Milford, MA, USA. p 37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9, 22, 49-59 

  12.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s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l 37: 911-917 

  13. Folch J, Lee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4. Kim SY, Ryu CH. 1995.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Korean J Food Technol 27: 819-825 

  15. Ivanovic D, Popovic A, Radulovic D, Medenica M. 1999. Reversed-phase ion-pair HPLC determination of some water-soluble vitamins in pharmaceuticals. J Pharm Biomed Anal 18: 999-1004 

  16.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17. Kwak BM, Lee KW, Ahn JH, Kong UY. 2004.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itamin A and E in infant formula by rapid extraction and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9-195 

  18.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macology 24: 299-303 

  19. Chung JH, Shin PG, Ryu JC, Jang DS, Cho SH. 1997. Chemical compositions of Platycodon grandiflorus (jacquin) A. De Candolle. Agric Chem Biotechnol 40: 148-151 

  20. Won HR, Oh HS.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lipid composition from different part and supplement of Codo nopsis lanceolata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28-1133 

  21. Shon MY, Seo JK, Kim HJ, Sung NJ. 2001.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17-720 

  22. Kim MS, Jeong JI, Jeong YH. 2003. Amino acid composition of milled and brow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85-1389 

  23. Hwang JB, Yang MO, Shin HK. 1998.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41 

  24. Jeong CH, Shim KH. 2006.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1-515 

  25.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26. Kim EJ, Lee KI, Park KY. 2002. Quantity analysis of nutrients in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150-1154 

  27. Lee JJ, Choo MH, Lee MY.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Pimpinella brachy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27-331 

  28. Chung MJ, Kang AY, Park SO, Park KW, Jun HJ, Lee SJ. 2007. The effect of essential oil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princeps), with and without added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and some genes involved in cholesterol metabolism. Food Chem Toxicol 45: 1400-1409 

  29. Lim JA, Na YS, Baek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i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30.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