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칠면초(Suaeda japonica)를 식품 및 공중보건 산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항산화성을 측정해 보았다. 칠면초 분획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21.33 mg/g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butanol(17.31 mg/g), methanol(2.33 mg/g) 순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는 폴리페놀이 검출되지 않았다. $\beta$-carotene bleaching assay를 측정한 결과 칠면초 butanol 추출물의 흡광도 감소 정도가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ethyl acetate, methanol 및 water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칠면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butanol, ethyl acetate, methanol 및 water 추출물 순으로 각각 77.46, 74.43, 47.99 및 27.70%로 나타났다. FRAP 측정결과 butanol 추출물의 FRAP value가 2.42 m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칠면초 추출물은 모두 무처리군보다 낮은 지질산패도(TBARS)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이 높은 지질산패 저하능을 나타내었다. Butanol 추출물은 전자공여능,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및 FRAP 실험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고, ethyl acetate 추출물은 폴리페놀 및 TBARS 측정 실험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칠면초 각각의 추출물에 다양한 항산화를 갖는 항산화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Suaeda japonica grown in Suncheon Bay. S. japonica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solvents and the extracts were examined for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ith various methods. When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determined, th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칠면초를 다양한 기능성식품 소재, 화장품, 의약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용매별 분획 추출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들의 항산화성을 측정하였고, 기존에 알려진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및 BHA와 비교함으로써 칠면초 분획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칠면초 내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의 연관을 확인하였다.
  • 칠면초(Suaeda japonica)를 식품 및 공중보건 산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항산화성을 측정해 보았다. 칠면초 분획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결과 ethyl acetat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21.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칠면초는 무엇인가? 칠면초(Suaeda japonica)는 명아주과의 일년생 식물로 한국 서해안 조간대에 대단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구분된 해안식생 중 Sino-Japanese group의 대표 종이다. 이 종이 속한 Suaeda속 식물은 전형적인 염생식물인데, 이는 바닷가와 염분이 있는 호숫가 및 암염이 있는 지대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한다(8).
칠면초는 무엇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식물인 칠면초는 고염습 지역에서 생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연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른 생물들과는 다른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할 것으로 생각되어(8)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칠면초는 식물성 소금 및 천연 염료로써 이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해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칠면초에 대해서는 기초 연구조차 진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칠면초가 속해 있는 Suaeda속 식물은 어떤 식물이며 무슨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칠면초(Suaeda japonica)는 명아주과의 일년생 식물로 한국 서해안 조간대에 대단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구분된 해안식생 중 Sino-Japanese group의 대표 종이다. 이 종이 속한 Suaeda속 식물은 전형적인 염생식물인데, 이는 바닷가와 염분이 있는 호숫가 및 암염이 있는 지대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한다(8). 또한 세포 안에 많은 소금기가 들어 있어 삼투압이 높기 때문에 토양 용액의 침투가 높을 때도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9). 이러한 식물인 칠면초는 고염습 지역에서 생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연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른 생물들과는 다른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할 것으로 생각되어(8)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eog HM, Seo MS, Kim HM, Ahn MS, Lee YT.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89-892 

  2. Sa JH, Lee W,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2004.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11-316 

  3. Yan LJ, Dray-Lefaix MT, Packer L. 1995. Ginko biloba extract (EGb 761) protects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Biophy Res Com 213: 360-366 

  4. Jeong J, Kim E, Hwangbo H, Ham S. 1998.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14-1221 

  5. Park CO, Kim KS, JI YA, Ryu BH.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daidzin and puerarin towar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5-31 

  6. Park CO, Jin SH, Ryu BH.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Technol 28: 850-858 

  7. Yag KS, Jeon CM. 1996. Effect of Taraxacum coreanum Nakai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7: 267-273 

  8.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9. Lee HJ, Kim YA, Ahn JW, Lee BJ, Moon SG, Seo Y. 2004.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57-61 

  10. 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 J Sci Food Agric 80: 2021-2027 

  11. Mattaus B.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J Agric Food Chem 50: 3444-3452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4. Nie N, Bent D, Hull C. 1970.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McGrow-Hill, New York 

  15.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Nutr 20: 150-157 

  16.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17. Azuma K, Nakayama M, Koshica M, L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g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18. Labuza TP. 1973.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S Crit Rev Food Technol 2: 355-405 

  19. Omaye ST, Reddy KA, Cross CE. 1977. Effects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other antioxidants in mouse lung metabolism. J Toxicol Environ Health 56: 829-836 

  20. Kasuga A, Aoyagi Y, Sugahara T. 1988.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plan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5: 828-834 

  21. Moon GS, Ryu BM, Lee MJ.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uchu (Chines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3-498 

  22. Brewer MS, Ikins WG, Harbers CA.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f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s of packaging. J Food Sci 57: 558-5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