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칠면초를 식품 및 공중 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확계절에 따른 칠면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름에 수확한 칠면초의 총 미네랄 함량은 89.8 g/kg로서 겨울철 칠면초(86.7 g/kg)보다 약간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칠면초의 Na 함량은 현저한 계절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여름철 칠면초의 K와 Ca 함량은 겨울철 칠면초에서 50%로 감소하거나 두 배로 증가하였다. 한편, 칠면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수확시기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름 칠면초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겨울 칠면초에서는 but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FRAP value에서는 여름철과 겨울철 칠면초 모두에서 but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항산화 활성에 비례하였다. B16BL6 세포를 이용한 tyrosinase 저해능 실험과 멜라닌 생합성 실험에서 hexane 추출물이 채취 계절에 관계없이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칠면초를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할 때 추출 시기에 따라 적당한 추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uaeda japonica harvested in different season for its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in food or cosmetic composition. The total mineral content of S. japonica harvested in summer was about 89.8 g/kg, and i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칠면초를 식품 및 공중 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확계절에 따른 칠면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름에 수확한 칠면초의 총 미네랄 함량은 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칠면초란? 칠면초(Suaeda japonica)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Salicornia 및 Altriplex와 더불어 높은 염분 농도에서 생장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내염성식물로(2), 한국 서해안 조간대에 대단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구분된 해안식생 중 Sino-Japanese group의 대표 종이다. 이 종이 속한 Suaeda속 식물은 전형적인 염생식물(halophytaloplant)인데(3), 이는 염분 환경에서 자연 선택적으로 성장한 식물을 지칭하며, 과다한 수준의 이온 농도에 대항해서 높은 적응성을 갖는 식물이다(4).
염생식물 중 칠면초는 무엇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식물인 칠면초는 고염습 지역에서 생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연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른 생물들과는 다른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할 것으로 생각되어(3)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칠면초는 식물성 소금 및 천연 염료로써 이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해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5).
염생식물이란? 칠면초(Suaeda japonica)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Salicornia 및 Altriplex와 더불어 높은 염분 농도에서 생장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내염성식물로(2), 한국 서해안 조간대에 대단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구분된 해안식생 중 Sino-Japanese group의 대표 종이다. 이 종이 속한 Suaeda속 식물은 전형적인 염생식물(halophytaloplant)인데(3), 이는 염분 환경에서 자연 선택적으로 성장한 식물을 지칭하며, 과다한 수준의 이온 농도에 대항해서 높은 적응성을 갖는 식물이다(4). 이러한 식물인 칠면초는 고염습 지역에서 생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연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른 생물들과는 다른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할 것으로 생각되어(3)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2. Larcher W. 1995. Physiological plant ecology-Ecophysiological and stress physiology of functional groups. 3rd ed. Springer, Berlin, Germany. 

  3.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e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4. Greenway H, Munns R. 1980.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u Rev Plant Physiol 31: 149-190. 

  5. Choi JI, Kim YJ, Kim JH, Song BS, Yoon YH, Byun MW, Kwon JH, Chun SS, Lee JW.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135. 

  6.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Nutr 20: 150-157. 

  7. Meot-Duros L, Magne C.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 content of Crithmum maritimum L. leaves. Plant Physiol Biochem 47: 37-41. 

  8. 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 J Sci Food Agric 80: 2021-2027. 

  9.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0.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1637-1647. 

  11. Ohkura T, Yamashita K, Mishima Y, Kobata A. 1984. Purification of hamster melanoma tyrosinase and structural studies of their asparagine-linked sugar chains. Arch Biochem Biophys 235: 63-77. 

  12. Park YJ, Yoon MY, Lim HW, Lee JY, Kim CJ, Sim SS. 2004. Effect of hot-water extracts from Laminaria japonicu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Yakhak Hoeji 48: 374-378. 

  13. Nie N, Bent D, Hull C. 1970.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McGrow-Hill, New York, USA. 

  14. Tannen RL. 1983. Effects of potassium on blood pressure control. Ann Int Med 98: 773-780. 

  15.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16. Park SH, Kim KS.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17. Kim YJ, Kim HJ, Choi JI, Kim JH, Chun B, Ahn DH, Kwon JH, Kim YJ, Byun MW, Lee JW. 2008.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oking drips from Enteroctopus dofleini. J Koeran Soc Food Sci Nutr 37: 1190-1195. 

  18. Moon GS, Ryu BM, Lee MJ.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uchu (Chines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3-498. 

  19. Kim MS, Kim KH, Yook HS. 2009.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64-371. 

  20. Busca R, Ballotti R. 2000.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69. 

  21. Creiner PW, Gold CJ, Keirns JJ, Brock WA, Bitensky MW. 1973. Hormonal control of melanocytes: MSH-sensitive adenyl cyclase in the Cloudman melanoma. Yale J Biol Med 46: 583-5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