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필수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투여가 흰쥐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and Adequate Diets on Rat Brain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0 = no.114, 2009년, pp.1417 - 1423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난 n-3 지방산 결핍 식이에 DHA 첨가는 뇌 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 첨가는 유의적 뇌 기능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이, 즉 n-3 지방산 결핍 및 적절군에 각각 DHA를 첨가하여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의 체중 및 뇌의 무게는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이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n-6계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20:4n-6 및 22:4n-6의 함량도 이 식이군(Def)에서 높았으나 18:2n-6 및 20:3n-6의 함량은 낮았다(p<0.05).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은 예상했듯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식이군들과 비교했을 때 약 64% 감소됨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또한 n-6/n-3의 비도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3.35로 식이군들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흥미로운 것은 n-3 지방산 결핍에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의 경우, 뇌의 22:6n-3 함량이 13.1%로 n-3 지방산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뇌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게 n-6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p<0.05), n-3 적절군(Adq)의 경우, DHA 첨가군(Adq+DHA)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결핍군에 DHA의 첨가군(Def+DHA)은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이 n-3 결핍군(Def)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특히 이 식이군(Def)의 22:6n-6의 함량은 n-3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Def)의 간에서 18:3n-3의 함량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으나 DHA 첨가군(Def+DHA)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n-3 지방산 결핍군(Def)의 경우 거의 모든 18:3n-3가 생체 내에서 고도로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의 경우 DHA 첨가로 인하여 뇌 DHA 함량 증가와 더불어 뇌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살펴 볼수가 있었다. 반면 이미 뇌의 DHA가 포화상태인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의 경우 DHA의 부가적인 첨가는 뇌기능 향상면에서는 유의적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음을 뇌의 지방산 조성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ocosahexaenoic acid (DHA) supplementation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improved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related function when DHA was added into a n-3 fatty acid adequate diet. Here, we investigat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임신기부터 성인기동안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를 첨가했을 때는 공간기억학습 능력이 다소 우수하였으나 유의적 개선효과가 없었다[14]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기 동안 n-3 필수지 방산이 결핍된 군과 적절히 함유된 군에 각각 DHA를 보충하였을 때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을 검토하여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간 기억학습 능력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뇌의 DHA 함량과 공간기 억력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gostoni, C, S. trojan, R. Bellu, E. Riva, and M. giovannini. 1995. Neurodevelopmental quotient of healthy term infants at 4 months and feeding practice: the role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ediatr. Res. 38, 262-266 

  2. Bourre, J. M., M. Francois, A Youyou, O. Dumomt, M. Piciotti, G. Pascal, and G. Durand. 1989. The effects of dietary alpha-linolenic acid on the composition of nerve membranes, enzymatic activity, amplitude of electrophysical parameters, resistance to poisons and performance of learning tasks in rats. J. Nutr. 119, 1880-1892 

  3. Carlson, S. E., S. H. Werkman, P. G. rhodes, and E. A Tolley. 1993. Visual-acuity development in healthy preterm infants: effect of marine-oil supplementation. Am. J. Clin. Nutr. 58, 35-42 

  4. Connor, W. E. and M. Neuringer. 1988. The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and repletion up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function of brain and retina. pp. 275-294, In Karnovsky M. L., A Leaf, and L. C Bolls (eds.), Biological Membranes: Aberrations in Membrane Structure and Function, Liss Inc., New York 

  5. Crawford, M. A, A G. Hassan, and G. Williams. 1976. Essential fatty acids and fetal brain growth. Lancet 1, 452-453 

  6. Farquharson, J., F. Cockburn, W. J. Patrick, E. C Jamieson, and R. W. Logan. 1992. Infant cerebral cortex phospholipids fatty-acid composition and diet. Lancet 340, 810-813 

  7. Folch, J., M. Lees, and G. Sloane-Stanley.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boron fluoride-methanol. J. BioI. Chern. 226, 495-509 

  8. Green, P. and E. Yavin. 1998. Mechanisms of docosahexaenoic acid accretion in the fetal brain. J. Neurosci. Res. 52, 129-136 

  9. Greiner, R. S., T. Moriguchi, B. M. Slotnick, A Hurron, and N. Salem. 2001. Olfactory discrimination deficits in n-3 fatty acid-deficient rats. Physiol. Behav. 72, 379-385 

  10. Holman, R. T. 1968.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Prog. Chern. Fats Other Lipids 9, 275-348 

  11. Jamieson, E. C, J. Farquharson, R. W. Logan, A G. Howatson, W. J. Patrick, and F. Cockburn. 1999. Infant cerebellar gray and white matter fatty acids in related to age and diet. Lipids 34, 1065-1071 

  12. Lamptey, M. S. and B. L. Walker. 1976. A possible essential role for dietary linolenic acid in the depelopment of the young rat. J. Nutr. 106, 86-93 

  13. Lim, S. Y. 2007.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docosahexaenoic acid from gestation to adulthood on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in rat. J. Life Sci. 17, 1400-1405 

  14. Lim, S. Y. 2007.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z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in rat. J. life Sci. 19, 917-922 

  15. Lim, S. Y., J. Hoshiba, and N. Salem. 2005. An extraordinary degree of structural specificity is required in neural phospholipids for optimal brain function: n-6 docosapentaenoic acid substitution for docosahexaenoic acid leads to a loss in spatial task performance. J. Neurochem. 95, 848-857 

  16. Makrides, M., M. A. Neumann, R. W. byard, K. Simmer, and R. A. Gibson. 1994.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in, retina, and erythrocytes in breast- and formula-fed infants. Am. J. Clin. Nutr. 60, 189-194 

  17. Morrison, W. R. and L. M. smith. 1959.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18. Moriguchi, T., J. Loewke, M. Garrison, J. N. Catalan, and N. Salem. 2001. Reversal of docosahexaenoic acid deficiency in the rat brain, retina, liver, and serum. J. Lipid Res. 42, 419-427 

  19. Moriguchi, T. and N. Salem. 2003. Recovery of brain docosahexaenoate leads to recovery of spatial task performance. J. Neurochem. 87, 297-309 

  20. Moriguchi, T., R. Greiner, and N. Salem. 2000. Behavioral deficits associated with dietary induction of decreased brain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 J. Neurochem. 75, 2563-2573 

  21. Neuringer, M., W. E. Connor, C. V. Petten, and L. Barstad. 1984. Dietary omega-3 fatty acid deficiency and visual loss in infant rhesus monkeys. J. Clin. Invest. 73, 272-276 

  22. Neuringer, M., W. E. Connor, D. S. Lin, L. Barstad, and S. Luck. 1986. Biochemical and functional effects of prenatal and postnatal omega-3 fatty acid deficiency on retina and brain in rhesus monkeys. Proc. Natl. A cad. Sci. USA 83, 4021-4025 

  23. Pawlosky, R. L Y. Denkins, G Ward, and N. Salem. 1997. Retinal and brain accretion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developing felines: the effects of corn oil-based maternal diets. Am. J. Clin. Nutr. 65, 465-472 

  24. Pudelkewicz, c., J. Seufert, and R. T. Holman. 1968. Requirements of the female rat for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J. Nutr. 94, 138-146 

  25. Reeves, P. G, F. H. Neilsen, and G C. Fahey. 1993. Committee report on the AIN-93 purified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26. Salem, N., M. Reyzer, and J. Karanian. 1996. Losses of arachidonic acid in rat liver after inhalation. Lipids 31, S153-156 

  27. Sastry, P. 1985. Lipids of nervous tissue: Composition and metabolism. Prog. Lipid Res. 24, 69-176 

  28. Sinclair, A. J. 1975. Incorporation of radioactiv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to liver and brain of developing rat. Lipids 10, 120-123 

  29. Wheeler, T. G, R. M. Benolken, and R. E. Anderson. 1975. Visual membranes: specificity of fatty acid precursors for the electrical response to illumination. Sci. 188, 1312 

  30. Willatts, P., J. S. Forsyth, M. K. DiModugno, S. Varma, and M. Colvin. 1998. Influence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infant cognitive function. Lipids 33, 973-980 

  31. Yamamoto, N., M. Saitoh, A. Moriguchi, M. Nomura, and H. Okuyama. 1987. Effect of dietary alpha-linolenate/linoleate balance on brain lipid compositions and learning ability of rats. J. Lipid Res. 33, 973-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