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체중과 비만소비자의 건강기능성 식품 소비 행동 결정요인 연구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ption for Overweight and Obese Korean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0 no.4, 2009년, pp.503 - 514  

유소이 (전북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ption behavior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ncluding vitamin/mineral products for overweight and obese Koreans. Overweight and obese Korea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body mass index(BMI) from the KNHANES that was collec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서울과 경기(유양자 외 2002; 장민기김양하 2008), 광주(김은영 등 2007), 부산과 경남(김효정김미라 2006)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전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장민기와 김양하(2008)의 연구에서는 비만정도가 건강식품 섭취실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전체 소비자들 중 과체중과 비만소비자를 대상으로 좀 더 다각적인 측면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성인소비자들을 체질량지수(BMI)에 의해 과체중과 비만 소비자유형으로 분류하여 비타민/무기질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소비여부와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과체중과 비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타민/무기질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과 소비행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기획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조사한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1차년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지표로 과체중과 비만소비자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영양관련 지식, 식품선택동기, 건강관련요인, 라이프스타일, 문화자본과 개별 특성들이 비타민/무기질제(yvm) 및 건강기능 식품(yhff)의 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의 식(5)와 같이 모형을 설정하였다.
  •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비만이 최대의 건강관련 이슈로 대두되고 있음을 인지할 때 비만과 건강식품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을 것 이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는 비타민류의 제품을 포함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부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섭취율이 높은 비타민/무기질제를 건강기능식품과 별도의 항목으로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본 연구는 한국의 성인소비자들 가운데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과체중과 비만소비자들을 분류하여 무기질/비타민제 및 건강기능성식품의 소비정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측면의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과체중 및 비만과 관련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식품업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체중과 비만인구의 증가는 무엇을 야기시키는가? 과체중과 비만인구의 증가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및 암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관련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07년 31.
비만으로 인한 관련 질환의 직접적인 의료비는 얼마나 되는가? 7%로 증가하였다. 또한 비만으로 인한 관련 질환의 직접적인 의료비가 2003년 기준으로 19,000억원에 달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상당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비만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면서 국가 보건정책의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게 되었다(김옥현 등 2007; 배남규 등 2009; 보건복지가족부ㆍ질병관리본부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은정(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부문.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보고서. 

  2. 구난숙, 박지연(2000) 대전지역 중장년층의 건강식품 이용실태. 지역사회영양학회지 5(3), 452-460. 

  3. 구난숙, 박지연(2001) 대전지역 성인남.녀의 건강 보조제 및 건강식품 섭취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205-213. 

  4. 김옥현, 정하나, 김정희(2007) 과체중 및 비만여성 의식습관, 식이섭취실태 및 혈청지질 양상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1), 40-49. 

  5. 김은영, 류기상, 허영란(2007) 광주지역 성인의 기능성 식품의 섭취 및 구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6), 782-789. 

  6. 김효정, 김미라(2006) 부산. 경남 지역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341-352. 

  7. 박재홍, 권오옥(2007) 건강기능식품의 소비행위연구. 식품유통연구 24(3), 43-57. 

  8. 배남규, 권인선, 조영채(2009) 한국인의 10년간 비만수준의 변화 양상: 1997-2007. 대한비만학회지 18(1), 24-30. 

  9.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6)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3기-영양조사. 

  10. 보건복지가족부.질병관리본부(2008)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보고서. 

  11. 연합뉴스(2009) 2009년 3월 3일자. 

  12. 유양자, 홍완수, 윤선주, 최영심(2002) 서울지역 성 인들의 건강보조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8(2), 136-146. 

  13. 이상윤(2007)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6월호, 16-20. 

  14. 이은주, 이승옥, 이철호(1996)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1) : 건강과 식습관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4), 475- 485. 

  15. 이정희(1998) 도시가계의 분기별 육류수요분석. 한국축산경영학회지 15(2), 291-305. 

  16. 임용택, 강선영, 김재등, 김성수, 김재우, 이충영, 김정모(2004)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의 섭취 에 따른 여성의 비만관련 체구성 요인 및 배변 만족도의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903-910. 

  17. 장미혜(2001)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한국사회학 35(3), 51-81. 

  18. 장민기, 김양하(2008) 한국 직장 여성의 건강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1(8), 832-838. 

  19. 질병관리본부(2007)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3기 조사 결과 심층분석 연구보고서: 검진부문. 

  20. Andreu P, Catalina P, Bonet ML(2004) Food safety and functional foods in the European Union: Obesity as a paradigmatic example for novel food development. Nutrition Reviews 62(7), 169-181. 

  21. Archer SL, Stamler J, Moag-Stahlberg A, Van Horn L, Garside D, Chan Q, Buffington JJ, Dyer AR(2005) Association of dietary supplement use with specific micronutrient intakes among middleaged american men and women: The INTERMAP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5(7), 1106-1113. 

  22. Balasubramanian SK, Cole C(2002) Consumers' search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The challenge and promise of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Journal of Marketing 66, 112-27. 

  23. Capps O Jr, Schmitz JD(1991) A Recognition of Health and the Nutrition Factors in Food Demand Analysis. Wester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16, 21-35. 

  24. Carlson KA, Gould BW(1994) The Role of Health Knowledge in Determining Dietary Intake.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16, 373-386. 

  25. Greene WH(1993) Econometirc Analysis. New York: Prentice Hall. 661-677. 

  26. Istvan S, Emese K, Beata K, Andrea L(2008) Functional food.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and consumer acceptance-A review. Appetite 51, 456-467. 

  27. Maddala GS(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32. 

  28. Oygard L(2000) Studying food tastes among young adults using Bourdieu's theory.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Home Economics 24(3), 160-169. 

  29. Putler DS, Frazao E(1994) Consumer awareness of diet-disease relationships and dietary behavior: The case of dietary fat.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Research 45, 3-17. 

  30. Verbeke W(2006) Functional foods: Consumer willingness to compromise on taste for health?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7, 126-31. 

  31. Wansink B, Westgren RE, Cheney MM(2005) Hierarchy of nutritional knowledge that relates to the consumption of a functional food. Nutrition 21, 264-68. 

  32. Weaver RD(1995) Mitigation, product substitution and consumer valuation of undesirable foodborne effects. Valuing Food Safety and Nutrition(ed. Julie A. Caswell), Colorado: Westview Press. 51-58. 

  33. Wieringa NF, van der Windt HJ, Zuiker RRM, Dijkhuizen L, Verkerk MA, Vonk RJ, Swart JA(2008) Positioning functional foods in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Obesity Reviews 9, 464-473. 

  34. Wrick KL(1995) Consumer issues and expectations for functional foods.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 167-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