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신의제개혁(1884년) 이전 일본 파견 수신사와 조사시찰단 복식 및 복식관
The Costume and the thought to Costume of the Ambassador Extraordinary(修信使) and the Inspectors(朝士視察團) Detached to Japan before the Reform of Dress Regulation in 1884(甲申衣制改革)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1, 2009년, pp.45 - 54  

이경미 (서울대학교 박물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form of dress regulation in Kapshin(甲申衣制改革; 1884) was the first dress renovation in 8 years after Chosun's port opening in 1876, and the key contents of that reform was the simplification of the formal dress and private dress. The reform in the culture of the traditional costume should requ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서술의 진위를 밝히고 갑 신의 제 개혁의 배경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 개항 이후 갑신의제개혁 이전까지 일본 파견 수신사와 조사시찰단이 착용한 복식과 서양화된 일본 복식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구체적 인 사료를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갑신의제개혁의 배경, 제안자, 조선조정 내에서의 논의내용 등이 자료의 부족으로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현 시점에서, 의제개혁 이전에 이루어지는 초기 양복 경험자들의 생각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제개혁 발표 이후 이를 둘러싼 논의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상규. (2008).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서울: 논형 

  2. 김진식. (1990). 한국양복100년사. 서울: 미리내 

  3. 김장춘. (2008)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사진으로 본 근대 조선. 파주: (주) 살림출판사 

  4. 부산근대역사관. (2005). 근대외교의 발자취. 부산: 영신애드 

  5. 세상 달라졌다. (1972, 3. 14). 조선일보, p. 4 

  6. 신혜성, 박선희. (2007). 통신사 기록을 통한 단령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 57(10), 99?111 

  7. 유희경. (1977). 한국복식사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8. 이경미. (2000). 19세기 개항 이후 한일 복식제도 비교. 복식, 50(8), 149?163 

  9. 이태진. (2000). 고종시대의 재조명. 서울: 태학사 

  10. 이헌영. (1881). 日本聞見事件. 허동현 편 (1999). 朝士視察團 關係資料集, 12. 서울: 國學資料院 영인 

  11. 이헌영. (1881). 日集略. 한국고전번역원. 자료검색일 2008, 4. 10, 자료출처 http://www.minchu.or.kr/MAN/index.jsp 

  12. 정옥자. (1998).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서울: 일지사 

  13. 한국사진사연구소 발행. (1998). 한국사진역사전 도록. 서울:도서출판 연우 

  14. 국역 고종순종실록. (2005).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자료검색일 2008, 4. 10, 자료출처 http://www.koreanhistory.or.kr/ 

  15. 허동현. (1998a). 조사시찰단(1881)의 일본견문기총람. 사총,48, 23?53 

  16. 허동현. (1998b). 1881년 조사시찰단의 명치 일본 사회 풍속관-시찰단의 문견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01, 145?173 

  17. 허동현. (2000). 近代韓日關係史硏究. 서울: 국학자료원 

  18. 홍수경. (1999). 甲申年期 甲午更張期 服制 改革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황현. (1864-1910 저술). 梅泉野錄. 임형택 옮김 (2005). 역주 梅泉野錄上.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 姜文馨. (1881). 日本聞見事件. 허동현 (1999). 朝士視察團關係資料集, 12. 서울: 國學資料院 영인 

  21. 金綺秀. (1876). 日東記游. 국사편찬위원회편 (1971). 韓國史料叢書第九 修信使記錄 全. 서울: 탐구당 

  22. 金綺秀. (1876). 修信使日記(卷一). 국사편찬위원회편 (1971). 韓國史料叢書第九 修信使記錄 全. 서울: 탐구당 

  23. 金弘集. (1880). 修信使記(卷二). 국사편찬위원회편 (1971).韓國史料叢書第九 修信使記錄 全. 서울: 탐구당 

  24. 東京國立博物館編. (1999). 東京國立博物館所藏 幕末明治期寫 眞資料目錄, 1. 東京: (株)國書刊行會 

  25. 朴泳孝. (1882). 使和記略. 국사편찬위원회편 (1971) . 韓國 史料叢書第九 修信使記錄 全. 서울: 탐구당 

  26. 朴定陽. (1881). 日本國聞見條件. 허동현 (1999). 朝士視察團 關係 資料集, 12. 서울: 國學資料院 영인 

  27. 嚴世永. (1881). 日本聞見事件. 허동현 (1999). 朝士視察團 關係 資料集, 12. 서울: 國學資料院 영인 

  28. 東京都寫眞美術館叢書. (2000). 日本寫眞家事典. 東京: 淡交社 

  29. 雜報. (明治15, 10, 27). 朝野新聞, p. 1 

  30. 朝鮮修信使來朝. (明治9, 5, 30). 東京曙. 中山泰昌 編著 (昭和57). 新聞集成明治編年史, 6. 東京: 本邦書籍 

  31. 朝鮮修信使顔ぶれ. (明治9, 5, 30). 東京日日. 中山泰昌 編著(昭和57). 新聞集成明治編年史, 2. 東京: 本邦書籍 

  32. 朴泳孝王位兪見. (明治18, 1, 20). 東京日日. 中山泰昌 編著. (昭和57). 新聞集成明治編年史, 2. 東京: 本邦書籍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