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절 굴곡에 따른 손목관절 위치의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ip Strength in Change of Wrist Position according to Elbow Flex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4 no.4, 2009년, pp.209 - 214  

이상용 (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nalysis characteristic of grasping power with each different elbow flexion degree and grasping power with each different elbow each different hand position and announcement. Methods:Measuring about 10cm wide open position with both feet for each elbow in the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절의 굴곡 정도에 따른 악력의 특성과 손의 위치에 따른 파악력을 분석하여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그러나 Richards(1997)는 파악력이 선 자세에서는 높지만 낮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악력이 가장 높은 선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력은 어디에 필요한 항목인가? 악력은 정형외과, 재활의학 및 산업의학에서 손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다. 특히 산업의학 분야에서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만성 망간 중독과 같은 직업병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노동부, 1994).
파악력이란 무엇인가? 파악력이란 물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장측에 대항한 엄지와 손가락의 강압적인 활동으로서(Napier, 1956) 일상생활에서 망치를 잡는 손 모양에서 힘을 주는 상태, 컵을 잡을 때, 테니스라켓이나 방망이를 잡을 때, 크러치를 잡을 때, 보행 훈련시 평행봉을 잡을 때와 같이 다양한 기능적 활동에서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손가락과 손목관절 뿐만 아니라 전완과 상완 및 어깨의 충분한 근력과 관절 기동력 및 감각을 필요로 한다(김연희 등,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연희, 최미숙, 김봉옥. Jebsen Hand Function Test 에 의한 정상 한국 성인의 손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84;8(2):109-14. 

  2. 노동부. 특수건강진단방법 및 건강관리기준. 서울, 1994, 389. 

  3. 배성수 등. 인체와 운동. 현문사. 1992. 

  4. 손민균, 윤용순, 김봉옥. 주관절 굴곡각도에 따른 회외, 회내 및 파악의 힘. 대한재활의학회지. 2001; 25(4):678-83. 

  5. 이동춘, 장규표. 한국성인의 악력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997;16(1):73-83. 

  6. Balogun JA, Akomolafe CT, Amusa LO. Grip strength: effects of testing posture and elbow posi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1;72(5): 280-3. 

  7. Bechtol CO. Grip test; the use of a dynamometer with adjustable handle spacings. J Bone Joint Surg Am. 1954;36A(4):820-4. 

  8. Crosby CA, Wehbe MA, Mawr B. Hand strength: normative values. J Hand Surg Am. 1994;19(4): 665-70. 

  9. Kuzala EA, Vargo MC. The relationship between elbow position and grip strength. Am J Occup Ther. 1992;46(6):509-12. 

  10. Lagerstrom C, Nordgren B. On the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methods for grip strength measurement. Scand J Rehabil Med. 1998;30(2):113-9. 

  11. Mathiowetz V, Weber K, Volland G,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rip and pinch strength evaluations. J Hand Surg Am. 1984;9(2):222-6. 

  12. Myers Cr, Golding LA, Sinning WE. The Y's way to physical fitness, Pennsylvania: Rodale press, 1973:49-50. 

  13. Napier JR. The prehensile movements of the human hand. J Bone Joint Surg Br. 1956;38B(4): 902-13. 

  14. Petersen P, Petrick M, Connor H, et al. Grip strength and hand dominance: challenging the 10% rule. Am J Occup Ther. 1989;43(7):444-7. 

  15. Richards LG, Olson B, Palmiter-Thomas P: How forearm position affects grip strength. Am J Occup Ther. 1995;50:133-8. 

  16. Richards LG. Posture effects on grip strength. Arch Phys Med Rehabil. 1997 ;78(10):1154-6. 

  17. Smith LK, Weiss EL, Don Lehmkuhl L.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1996:69-216. 

  18. Teraoka T. Studies on the peculiarity of grip strength in relation to body positions and aging.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0):1154-6. 

  19. Young VL, Pin P, Kraemer BA, et al. Fluctuation in grip and pinch strength among normal subjects. J Hand Surg Am. 1989;14(1):12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