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소운동이 척수손상 흰쥐의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Electrolytes Concentration after Spinal Cord Injured Ra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4 no.4, 2009년, pp.215 - 220  

하미숙 (마산대학 물리치료과) ,  박래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ctrolyte such as blood Na+, K+, Ca2+ of aerobic exercise on spinal cord injured rats. Methods:SCI model rats were damaged in L1-L2 injected with 6-hydroxydopamine(6-OHDA). For this study went on classifying the control group without aerobic exercise, exper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Bouchard(1995)는 운동을 실시한 후 K+수치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했으며, 현송자 등(2001)은 유산소 운동 후 Mg2+의 농도가 저하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척수손상 후 세포막의 손상으로 나타나는 생화학적 변화와 유산소 운동에 따른 체중과 전해질의 변화를 살펴보고 운동에 따른 생리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흰쥐를 대상으로 2주 동안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여 체중과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손상 흰쥐를 대상으로 2주 동안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여 체중과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체중의 변화는 유산소 운동 후 실험군에서 손상 7일째부터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p<.05). 2. Na+이온의 변화는 유산소 운동 후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다(p<.05). 3. K+이온의 변화는 유산소 운동 후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p<.05). 4. Ca2+이온의 변화는 유산소 운동 후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p<.05).
적당한 운동은 대사적 측면에서 어떻게 구분되는가? 신체활동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노화를 방지하며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홍성찬, 1995). 그 중 적당한 운동은 대사적 측면에서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걷기운동, 조깅, 수영 및 에어로빅 운동과 같이 지속적으로 많은 산소량을 요구하는 유산소성 운동이 인체의 생리 및 생화학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yschon, 1994). 운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생리적인 변화들은 수분이 감소된 저수화 상태로 체온과 심박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의 온도 증가, 땀의 배출 및 내성력의 감소, 증가된 혈장 삼투작용과 세포의 전해질 불균형 등이 일어난다고 보고하고 있다(Lyons 등, 1990).
홍성찬, 1995에 따르면 신체활동의 이점은 무엇인가? 신체활동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노화를 방지하며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홍성찬, 1995). 그 중 적당한 운동은 대사적 측면에서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걷기운동, 조깅, 수영 및 에어로빅 운동과 같이 지속적으로 많은 산소량을 요구하는 유산소성 운동이 인체의 생리 및 생화학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yschon,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종훈. 체중감량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91;30(1):289-301. 

  2. 김형곤. 유산소성 운동이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체력과학연구지. 2000;23(1):99-107. 

  3. 오이택. 싸이클 선수의 장거리 주행시 신장 기능 및 당대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4. 이상행. 체중감량에 따른 수분, 전해질 및 호르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5. 이승범. 수분 및 Glycerol의 섭취가 운동시 renin activity, 직장온도, 혈중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Life Science. 2008;18(2):187-92. 

  6. 이재식. 외부환경온도에 따른 운동이 전해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1995. 

  7. 현송자, 석혜경, 김귀백. 8주간 유산소운동이 혈중 전해질 농도와 혈중 pH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 연구소 논문집. 2001;19(12):81-94. 

  8. 현송자. 스포츠영양학, 21세기 교육사. 1991. 

  9. 홍성찬. 유산소 운동이 골격근 미토콘드리아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체력과학연구지. 1995; 17(1):46-47. 

  10. Anderson RA, Guttman HN. Trace minerals and exercise. In exercise, nutrition, and energy metabolism. Bew YorkMacmillan. 1988. 

  11. Bohmer D. Loss of electrolytes by sweat on sport. Human Kinetics Publishers. Champaign Illinois. 1986: 67-74. 

  12. Bouchard C. Changes in plasma electrolytes and muscle substrates during short-term maximal exercise in humans. Can J Appl Physiol Mar. 1995;201): 89-101. 

  13. Cale L, Mark B, Lars MN, and A.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during a short triathlon competition in novice triathletes. E J Appl Physiol. 1992;65:441-5. 

  14. Garong WF. Revies of medical physiology. 10th ed, Califonia, Lange Med Pub. 1983. 

  15. Glace BM, Murphy C, Mchugh MP. Food intake andelectrolyte status of ultra marathoners competing in extreme heat. J Am Coll Nutr. 2002;21:553-9. 

  16. Faden AI, Simon RP. A potential role for excitotoxins in the pathophysiology of spinal cord injury. Ann Neurol. 1988;23:623-6. 

  17. Hew TD, Chorley JN, Cianca JC, Divine.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hyponatremia in marathon runner. Clin J Sport Med. 2003;12:41-7. 

  18. Lyons TR, Riedesel ML, Meuli LE, et al. Effects of glycerol induced hyperhydration prior to exercise in the heat on sweation and core temperrature. Med. Cdi. Sports Exerc. 1990;22: 477-83. 

  19. Mattson MP. Neuroprotective signaling and the aging brain: take away my food and let me run. Brain Res. 2000;886: 47-53. 

  20. Milledg JS, Bryson EI, and Larson D. Sodium balance Jluid homeostatis and the reninaldosterone system during the prolonged exercise of hill walking. Clin Sci 1982;62:595-604. 

  21. Reid MR, Drummond PD, Mackinnon LT. The effects of moderate aerobic exercise and relaxation on secretory immunoglobulin A. International Journal Sports Medicine. 2001;22(2): 132-7. 

  22. Ryschon TW. Physiological aspects of bicycling. Clinics in Medicine. 1994;13(1):15-38. 

  23. Vagard R, Claybaugh JR, Dice MS, et al. Plasma levels of renin, angiotensin II, and 6-ketprostaglandin- F1 a in endurance athletes. J Appl Physiol. 1985;59:947-52. 

  24. Vander AJ. Human Physiology. the de, Mcgraw-Hill book Company. 1985;636-40. 

  25. Vollestd NK, Hallen J, Sefersted OM.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potassium balbnce in muscle and blood of man. J Physol. 1994;475:359-68. 

  26. Yang YR, Wang PS. Early and late treadmill training after focal brain ischemia in rats. Neurosic Lett, 2003;339(2):91-4. 

  27. Zhang HY. Alteration of apoptosis in acute spinal cord injured rat with methylpredinisolone treatment. Yonsei Graduate Univ. 2000; 1: 72. 

  28. Zweifler RM. Management of acute stroke. South Med J. 2003;96(4):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