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절률에 의한 유전상수와 전자에 의한 분극에 대한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Dielectric Constant and Electronic Polarization by the Reflective Index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8 no.1, 2009년, pp.24 - 29  

오데레사 (청주대학교 반도체설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층간 절연막으로 사용 가능한 SiOC 박막에 대하여 유전상수가 낮아지는 원인을 이온에 의한 분극과 전자에 의한 분극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MIS 구조를 이용하여 전형적인 C-V측적법에 의하여 유전상수를 구하였으며, 굴절률을 측정하여 전자에 의한 분극의 효과에 의한 유전상수를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SiOC 박막의 화학적인 특성은 FTIR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FTIR 분석에서 디컨벌류션한 데이터는 탄소의 함량에 대한 변화를 구하였다. 탄소의 함량변화는 굴절률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나, 유전상수와는 반비례하였다. 전자에 의한 분극의 효과는 유전상수가 떨어지는 것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며, 이온에 의한 분극의 효과가 SiOC 박막의 유전상수를 낮게 하는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OC film as inter layer insulator was researched the reason of the de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by the ionic polarization and electronic polarization, respectively. The dielectric constant was measured using the conventional C-V measurement system, and the reflective index owing to the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유기화학 반응 중에서 C-H 수소 반응과 같은 특이한 반응이 입증되면서 C-H 결합의 elongation 반응이 결합길이를 길게 만들면서 SiOC 박막을 이상적인 비정질 결합구조를 만들어내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SiOC 박막은 다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유전상수가 낮아지는 데는 비정질 결정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박막의 표면 특성 또한 단단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전자 종이 등에도 쓰여질 수 있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는 신소재 물질이다 [17-22], 본 연구에서는 분극의 특성으로부터 SiOC 박막의 유전상수가 낮아지는 효과의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K. Choi, D. H. Kim, J. Lee, and J. B. Yoo,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131, 136 (2000) 

  2. J. Kim, Q. Shao, and Y. H. Kim,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171, 39 (2003) 

  3. A. Grill, J. of Applied Physics, 93, 1785 (2003) 

  4. M. J. Kellicutt, I. S. Suzuki, C. R. Burr, M. Suzuki, M. Ohashi, and M. S. Whittingham, Physical Review B. 47(20), 13664 (1993) 

  5. J. Kim, Q. Shao, and Y. H. Kim,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171, 39 (2003) 

  6. J. Frenkel, Phys. Rev. 54, 647 (1938) 

  7. M. J. Kellicutt, I. S. Suzuki, C. R. Burr, M. Suzuki, M. Ohashi, and M. S. Whittingham, Physical Review B. 47(20), 13664 (1993) 

  8. T. Oh, Jpn. J. Appl. Phys. 44, 4103 (2005) 

  9. J. C. Lee and Y. J. Kim: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17, 189 (2008) 

  10. T. Oh, IEEE Trans. Nanotechnology. 5, 23 (2006) 

  11. C. S. Yang, Y. H. Yu, K. M. Lee, H. J. Lee, and C. K. Choi, Thin Solid Films, 50, 506 (2006) 

  12. Y. L. Cheng, Y. L. Wang, J. K. Lan, H. C. Chen, J. H. Lin, Y. L. Wu, P. T. Liu, Y. C. Wu, and M. S. Feng, Thin Solid Films, 469-470, 1787 (2004). 

  13. P. de Rouffignac, Z. Li, and R. G. Gordon, Electrochemical and Solid State Letters, 7, G360 (2004) 

  14. J. Widodo, W. Lu, S. G. Mhaisalkar, J. L. L. Sudijono, L. C. Hsia, L. Shen, and K. Y. Zeng, Thin Solid Films, 472, 195 (2005) 

  15. J. Widodo, W. Lu, S. G. Mhaisa1kar, L. C. Hsia, P. Y. Tan, L. Shen, and K. Y. Zeng, Thin Solid Films, 475, 213 (2004) 

  16. Soo In Kim and Chang Woo Lee: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16(5), 348-352 (2007) 

  17. M. Damayanti, J. Widodo, T. Sritharan, S. G. Mhaisalkar, W. Lu, Z. H. Gan, K. Y. Zeng, and L. C. Hsia,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121, 193 (2005) 

  18. Ioannis Kymissis, C. D. Dimitrakopoulos, and Sampath Purushothaman,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 DEVICES, 48, 1060 (2001) 

  19. D. 1. Gundlach, Y. Y. Lin, T. N. Jackson, S. F. Nelson, and D. G. Schlom,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18, 87 (1997) 

  20. D. Knipp and R. A. Street, J. Non-crystalline Solids, 338-340, 595 (2004) 

  21. J. Endo, T. Matsumoto, and J. Kido, Jpn. J. Appl. Phys. 41, L358 (2002) 

  22. Max Shtein, Jonathan Mapel, Jay B. Benziger, and Stephen R. Forrest, Applied Physics Letters, 81(2), 26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