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염비브리오의 biofilm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that Influence Biofilm Formation in Vibrio parahaemolyticu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2 no.5, 2009년, pp.456 - 460  

노아름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박권삼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film is a structured community of microorganism encapsulated within a self-developed polymeric matrix and adherent to a living or a solid surfa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substrates on the formation of biofilm in Vibrio parahaemolyticus. We found that biofilm form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지조건에서 장염비브리오를 배양했을 때 biofilm 생성능의 차이 및 biofilm 생성에 관련하는 activat이.와 repressor 물질을 검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sterton JW, Lewandowski Z, Caldwell DE, Korber DR and Lappinscott HM. 1995. Microbial biofilms. Annu Rev Microbiol 49, 711-745 

  2. Costerton JW, Stewart PS and Greenberg EP. 1999. Bacterial biofilms: a common cause of persistent infections. Science 284, 1318-1322 

  3. Chung EY, Koo JG, Park KY and Lee CH. 2005.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digestive diverticula and the ovary in Chlamys farreri in relation to the ovarian developmental phases. Kor J Malacol 21, 71-80 

  4. Davies DG, Parsek MR, Pearson JP, Iglewski BH, Costerton JW and Greenberg EP. 1998. The involvement of cell-to-cell signals in the development of a bacterial biofilm. Science 280, 295-298 

  5. Enos-Berlage JL, Guvener ZT, Keenan CE and McCarter LL. 2005. Genetic determinants ofbiofilm development of opaque and translucent Vibrio parahaemolyticus. Mol Microbiol 55, 1160-1182 

  6. Honda T and Iida T. 1993. The pathogenic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 role of the thermostable direct haemolysin and related haemolysin. Rev Med Microbiol 4, 106-113 

  7. Kaneko T and Colwell RR. 1975. Adsorp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onto chitin and copepods. Appl Microbiol 29, 269-274 

  8. Kimberly KJ. 2004. What drives bacteria to produce a biofilm? FEMS Microbiol Lett 236, 163-173 

  9. Kolter R and Greenberg EP. 2006. Microbial sciences: the superficial life of microbes. Nature 441, 300-302 

  10. Kumazawa NH, Fukuma N and Komoda Y. 1991. Attachment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to estuarine algae. J Vet Med Sci 53, 201-205 

  11. Makino K, Oshima K, Kurokawa K, et al., 2003. Genome sequ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 pathogenic mechanism distinct from that of V. cholerae. Lancet 361, 743-749 

  12. Park KS, Arita M, Iida T and Honda T. 2005. vpaH, a gene encoding a novel histone-like nucleoid structure-like protein that was possibly horizontally acquired, regulates the biogenesis of lateral flagella in trh-positive Vibrio parahaemolyticus TH3996. Infect Immun 73, 5754-5761 

  13. Park KS, Iida T, Yamaichi Y, Oyagi T, Yamamoto K and Honda T. 2000. Genetic characterization of DNA region containing the trh and ure gene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68, 5742-5748 

  14. Park KS, Ono T, Rokuda M, Jang MH, Okada K, Iida T and Honda T. 2004.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wo type III secretion system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72, 6659-6665 

  15. Parsek MR and Greenberg EP. 2005. Sociomicrobiology: the connections between quorum sensing and biofilms. Trends in Microbio 13, 27-33 

  16. Shime-Hattori A, Iida T, Arita M, Park KS, Kodama T and Honda T. 2006. Two type IV pili of Vibrio parahaemolyticus play different roles in biofilm formation. FEMS Microbiol Lett 264, 89-97 

  17. Spoering AL and Gilmore MS. 2006. Quorum sensing and DNA release in bacterial biofilms. Curr Opin Microbiol 9, 133-137 

  18. Watnick PI, Fullner KJ and Kolter R. 1999. A role for the mannose-sensitive hemagglutinin in biofilm formation by Vibrio cholerae EI Tor. J Bacteriol 181, 3606-3609 

  19. Yildiz FH and Visick KL. 2008. Vibrio biofilms: so much the same yet so different. Trends in Microbiol 17,109-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