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신체검진 상 우연히 발견된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예
A Case of Type II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Detected by School Urinary Screening Tests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4 no.1, 2010년, pp.79 - 83  

김형중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곽병옥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배재욱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김교순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임소덕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병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메산지움의 증식과 사구체 모세혈관의 비후를 동반하는 진행성 신질환으로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1, 2, 3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약 2%가량을 차지하는데, 대개의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며 다른 사구체신염에 비하여 신기능 소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학교 집단신체검사에서 소변검사가 포함되기 시작하면서 제1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은 수차례 보고되었고 이들에 대한 조기 치료가 신질환의 진행을 늦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학교 집단신체검사에서 발견된 예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ype II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PGN) is characterized by thickening of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owing to electron-dense deposits on electron microscopy. We experienced a case of type II MPGN in a child presenting with proteinuria, hematuria on school urinary screening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1형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이 최근 학교 검진에서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학교 신체검진에서 발견된 경우는 보고된 사례가 없었다. 저자들은 학교신체검진 상 우연히 발견된 단백뇨와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시행한 경피적 신생검에서 발견된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 질환은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약 2%가량을 차지하는데, 대개의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며 다른 사구체신염에 비하여 신기능 소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학교 집단 신체검사에서 소변검사가 포함되기 시작하면서 제1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은 수차례 보고되었고 이들에 대한 조기 치료가 신질환의 진행을 늦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학교 집단신체검사에서 발견된 예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병리기전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이중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은 1963년 Berger 와 Gall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3],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2% 미만을 차지하는데,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의 15-20% 가량의 비율로 발견된다. 이 질환의 병리기전은 아직까지 불분명하지만, 주로 보체계의 대체경로의 과도한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4, 5]. 이들의 임상양상은 주로 단백뇨(40-70%)나 급성 신염(20-30%), 무증상 단백 뇨와 혈뇨(20-30%), 고혈압(30-35%) 등으로 나타나는데, 주로 연장아와 젊은 성인에서 발병하며 [6, 7] 소아연령에서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2].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이란 무엇인가?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메산지움의 증식과 사구체 모세혈관의 비후를 동반하는 진행성 신질환으로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1, 2, 3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약 2%가량을 차지하는데, 대개의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며 다른 사구체신염에 비하여 신기능 소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메산지움의 증식과 사구체 모세혈관의 비후를 동반하는 진행성 신질환으로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1, 2, 3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약 2%가량을 차지하는데, 대개의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며 다른 사구체신염에 비하여 신기능 소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ssam A, David J.,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Pediatr Nephrol 2009; Nov:12. 

  2. Lee SJ, Moon JH, Kang MS, Song MS, Chung WY, A case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I,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3;7:204-10. 

  3. Berger J, Galle P. Depot denses au sein des basales du rein. Presse Med 1963;71:2351-4. 

  4. Berger SP, Daha MR (2007) Complement in glomerular injur. Semin Immunopathol 29: 375-84. 

  5. Williams DG (1997) C3 nephritic factor and mesangiocapillary glomerulonephritis, Pediatr Nephrol 11:96-8. 

  6. Habib R, Kleinknecht C, Gubler MC, Levy M. Idiopathic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Report of 105 cases. Clin Nephrol 1973;1:194-214. 

  7. Cameron JS, Turner DR, Heaton J, Williams DG, Ogg CS, Chantler C, et al. Idiopahtic mesangiocapillary glomerulonephritis; comparison of Types I and II in children and adults and long-term prognosis. Am J Med 1983;74:175. 

  8. Brady HR, O'meara YM, Brenner BM.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n: Kasper, Braunwald, Fauci, Hauser, Longo, Jameso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McGraw-Hill, 2005: 1687-8. 

  9. Kim PK, Kwon HS, Oh SJ, Lee YM, Kim JH, Kang HY, et al. A case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I.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5:188-95. 

  10. Kim KH, Chung SH, Moon SH, Paik JH, Kim KT, Choi SW, et al. The clinical course of idiopathic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1. Korean J Med 2006;70: 663-71. 

  11. Davis ID, Avner ED, Membranoproliferative (mesangiocapillary) glomerulonephritis. In: Kleigman, Behrman, Jenson, Stanton,.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Saunders, 2007;2176-7. 

  12. Ko CW, Cho MH, Jang YC, Kim YC, Koo JH.Asymptomatic primary hematuria in childre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4;8:166-75. 

  13. Chung SH, Park SS, Kim SD, Cho BS. The impacts of early detection through school urinary screening tests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Korean J Pediatr 2007;50:1104-9. 

  14. Choi JY, Park MY, Lee YJ, Ha IS, Cheong HI, Choi Y,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 detected from school urine screening.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6;10:152-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