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소아기의 급성 위장염은 소화장관액의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물질의 체외 상실로 인하여 산-염기 대사의 장애를 초래한다. 중탄산염차이(bicarbonate gap, 이하 BG)는 델타음이온차이(delta anion gap, 이하 ${\Delta}AG$)와 델타중탄산염차이(delta bicarbonate, 이하 ${\Delta}HCO_3{^-}$) 의 차이로 정의되며 혼합 산-염기 대사의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BG에 따른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1일부터 2008년 4월 31일까지 구로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급성 위장염으로 입원한 1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은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BG이 -5 미만이거나 5 초과인 A군과 -5 이상이고 5 이하인 B군으로 나누어 입원기간, 열, 구토, 설사 등의 임상양상과 나트륨, 칼륨, 염소, 알부민, 단백질, 혈액요서질소(blood urea nitrogen, 이하 BUN), 크레아티닌, 혈청 내 이산화탄소, 음이온차이, ${\Delta}AG$${\Delta}HCO_3{^-}$ 등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BG이 -5미만인 A군은 66명, BG이 -5이상인 군인 B 군은 69명이었다. 입원기간은 A군에서 $5.3{\pm}2.1$일, B 군에서 $4.7{\pm}1.6$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입원 전 설사 기간은 A군에서 $3.13{\pm}1.7$일, B군에서 $2.3{\pm}1.7$일로 A군에서 더 길었으며 총 설시사간은 A군에서 $4.2{\pm}2.8$일, B군에서 $3.3{\pm}2.5$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혈청 내 나트륨,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은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며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열, 구토 기간과 칼륨,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알부민 AG과 $HCO_3$ radio의 검사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염을 보이는 환아들 중에서 BG이 -5 미만인 A군에서는 입원기간과 입원 전 설사 시간, 총 설사기간이 더 길어 임상경과가 좋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검사 결과 또한 혈청 내 나트륨, 총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BG 범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아기 급성 위장염에서 BG은 임상 경과의 예측 및 치료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bicarbonate gap (BG) in acute gastroenteritis by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35 patients who had acute gastroenteritis. W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양 군 간의 나트륨, 칼륨, 염소, 알부민, 단백질, 혈액요소질소 (blood urea nitrogen, 이하BUN), 크레아티닌, 혈청 내 이산화탄소, 음이온차이, AAG4 AHCO3- 등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rotavirus antigen 양성 유무에 따른 BG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BG에 따른 급성 위장염 환아에서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BG이 임상 치료와 예후 판정에 이용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중탄산염차이 (bicarbonate gap, 이하 BG)는 델타음이온차이 (delta anion gap, 이하 #와 델타중탄산염차이 (delta bicarbonate, 이하 #의 차이로 정의되며 혼합 산-염기 대사의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BG에 따른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염 환아에서 심한 탈수를 보일수록 혼합 대사산증을 보일 수 있으므로 BG 을 대한 임상 양상 및 검사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BG이 급성 위장염의 임상 경과의 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BG이 -5 미 만인 A 군에서 입원 전 더 오랜 기간 설사가 있었으며 입원 기간과 설사기간이 더 길어 임상 경과가 좋지 않았고 검사 결과, 혈청 내 나트륨, 총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AAG 은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혈청 내 염소, #는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염의 임상경과와 중증도를 판단하는데 있어 BG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AAGe AG, 즉 측정되지 않는 음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수치이며 #는 혈액 내 중탄산의 농도의 변화를 반영한 값으로 주로 높은 AG을 가지는 산혈증을 동반한 혼합 산-염기 대사장애의 평가에 사용되어왔다[7, 12, 251 현재까지 여러 연구에서 AAG와 #의 비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당뇨병 산증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이용되어 AAG와 #의 비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eizman Z, Houri S, Ben-Ezer Gradus D. Type of acidosis and clinical outcome in infantile gastroenteriti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92;14:187-91. 

  2. Kildeberg P. Metabolic Acidosis in Infantile Gastroenteritis. Physiologic and Therapeutic Aspects. Acta Paediatr Scand 1965;54:155-67. 

  3. Elliott EJ, Walker-Smith JA, Farthing MJ. The role of bicarbonate and base precursors in treatment of acute gastroenteritis. Arch Dis Child 1987;62:91-5. 

  4. Teree TM, Mirabal-Font E, Ortiz A, Wallace WM. Stool losses and acidosis in diarrheal disease of infancy. Pediatrics 1965;36:704-13. 

  5. Sotos JF, Dodge PR, Talbot NB. Studies in experimental hypertonicity. II. Hypertonicity of body fluids as a cause of acidosis. Pediatrics 1962;30:180-93. 

  6. Wrenn K. the delta gap: an approach to mixed acid base disorder. Ann Emerg Med 1990;19:1310-13. 

  7. Emmett M, Narins RG. Clinical use of the anion gap. Medicine 1977;56:38-54. 

  8. Kim HY, Han JS, Jeon US, Joo KW, Earm JH, Ahn C,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fractional excretion of anions in metabolic acidosis. Clin Nephrol 2001;55:448-52. 

  9. Emmett M. Anion-gap interpretation: the old and the new. Nat Clin Pract Nephrol 2006;2:4-5. 

  10. Paulson WD. Anion gap-bicarbonate relation in diabetic ketoacidosis. Am J Med 1986;81:995-1000. 

  11. Rastegar A. Use of delta AG/delta HCO3 ratio in the diagnosis of mixed acid-base disorder. J Am Soc Nephrol 2007;18:2429-31. 

  12. Lolekha PH, Vanavanan S, Teerakarnjana N, Chaichanajarernkul U. Reference ranges of electrolyte and anion gap on the Beckman E4A, Beckman Synchron CX5, Nova CRT, and Nova Stat Profile Ultra. Clin Chim Acta 2001;307:87-93. 

  13. Oh MS, Carroll HJ. The anion gap. N Engl J Med 1977;297:814-7. 

  14. Figge J, Jabor A, Kazda A, Fencl V. Anion gap and hypoalbuminemia. Crit Care Med 1998;26:1807-10. 

  15. Durward A, Mayer A, Skellett S, Taylor D, Hanna S, Tibby SM, et al. Hypoalbuminaemia in critically ill children: incidence, prognosis, and influence on the anion gap. Arch Dis Child 2003;88:419-22. 

  16. Carvounis CP, Feinfeld DA. A simple estimate of the effect of the serum albumin level on the anion Gap. Am J Nephrol 2000;20:369-72. 

  17. Teach SJ. Yates EW, Feld LG. Laboratory predictors of fluid deficit in acutely dehydrated children. Phila: Clin pediatr 1997;36:395-400. 

  18. Shauol R, Okev N, Tamir A, Lanir A, Jaffe M. Value of laboratory studies in assessment of dehydration in children. Ann Clin Biochem 2004;4:192-6. 

  19. Bonadio WA,Hennes HR, Machi J, Madagame E. Efficacy of measuring BUN in assessing children with dehydration due to gastroenteritis. Ann Emerg Med 1989;18:755-7. 

  20. Narchi H. Serum bicarbonate and dehydration severity in gastroenteritis. Arch Dis Child 1998;78:70-1. 

  21. Vega RM, Avner JR. A prospective study of the usefulness of clinical and laboratory parameters for predicting percentage of dehydration in children. Pediatr Emerg Care 1997;13:179-82. 

  22. Yilmaz K. Karabocuoglu M, Citak A, Uzel N. Evaluation of laboratory tests in dehydrated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J Paeiatr Child Health 2002;38:226-8. 

  23. Practice parameter the management of acute gastroenteritis in young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Provisional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Subcommittee on Acute Gastroenteritis. Pedatrics 1996;97:424-35. 

  24. McCollough M, Sharieff GQ. Abdominal pain in children. Pediatr Clin North Am 2006;53:107-37. 

  25. Goodkin DA, Krishna GG, Narins RG. The role of the anion gap in detecting and managing mixed metabolic acid-base disorders. Clin Endocrinol Metab 1984;13:333-49. 

  26. Oh MS, Carroll HJ, Goldstein DA, Fein IA. Hyperchloremic acidosis during the recovery phase of diabetic ketosis. Ann Intern Med 1978;89:925-7. 

  27. Paulson WD, Gadallah MF. Diagnosis of mixed acid-base disorders in diabetic ketoacidosis. Am J Med Sci 1993;306:295-300. 

  28. Reddy P, Mooradian AD. Clinical utility of anion gap in deciphering acid-base disorders. Int J Clin Pract. 2009;63:1409-12. 

  29. Fruhwirth M, Heininger U, Ehlken B, Petersen G, Laubereau B, Moll-Schuler I, et al. International variation in disease burden of rotavirus gastroenteritis in children with community- and nosocomially acquired infection. Pediatric Infect Dis J 2001;20:784-91. 

  30. Ruuska T, Vesikari T. A prospective study of acute diarrhea in Finnish children from birth to 2.5 years of age: clinical severity, etiology and risk factors. Acta Paediatric Scand 80:5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