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이차 병원에서 치료한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 원인 및 특징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Bacterial Gastroenteritis in Children Mananged at a Secondary Hospital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4 no.2, 2017년, pp.95 - 101  

김성윤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현정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신은혜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은병욱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안영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송미옥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은 흔히 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에 비해 더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 환자의 원인을 조사하고,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1개 이차 병원에서 급성 위장염 증상으로 진료 받은 소아 환자들의 대변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으로 보내어 원인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에 따른 임상적인 특성은 소아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664 대변 샘플 중 183개(27.6%)에서 원인균이 분리되었다. 2012년부터 검사가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색포도알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39.3%). 월별 검출률은 8월이 24.6%로 가장 높았다. 캄필로박터균의 연령군에 따른 검출률은 12-19세 군에서 가장 높았다(16.7%, P=0.04). 혈변을 보인 환자들 중에서 캄필로박터균이 가장 흔하게 분리되었다(31.0%, P=0.04). C-반응단백질을 비교 시 살모넬라속균 또는 캄필로박터균이 분리된 군이 황색포도알균 또는 병원성 대장균이 분리된 군에 비해서 더 높았다($5.7{\pm}0.6mg/dL$ vs. $2.1{\pm}0.3mg/dL$, P<0.01). 결론: 황색포도알균, 병원성 대장균,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속균이 소아 세균성 위장염의 중요한 원인균이었다. 연령에 따른 원인균 차이, 임상 증상, 염증 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원인균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cute bacterial gastroenteritis (ABG) can cause more severe symptoms than acute viral gastroenteritis in children.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etiologic trends and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BG in children. Methods: We sent stool samples from the children wi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서울시 노원구에 있는 일개 이차 병원에서 세균성 장염의 분리 현황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세균성 장염 환자의 원인균을 포괄하는 발생 역학을 알고, 이를 통해 세균성 장염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엔터넷 사업에 참여 중인 서울 지역의 한 2차 병원에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급성 설사로 내원한 소아 환자들의 대변 검사 결과와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이다. 2차 병원 특성상 인근 지역의 환자가 내원하게 되므로 해당 지역사회의 질병 발생 양상을 반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의 주요한 원인균은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에서 황색포도알균, 병원성 대장균,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속균은 주요한 원인균이었다. 연령에 따른 원인균 차이, 임상 증상 및 염증 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원인균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다.
급성 위장염에 영향을 주는 것은? 급성 위장염은 물이나 음식을 매개로 전파하는 특성을 지니며 경제 수준과 환경 위생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국가 간 교류의 증대로 병원체의 유입 기회 증가, 육류 소비의 증가, 외식산업의 증가, 집단 급식의 보편화 등과 같은 사회 변화가 발생 양상 및 원인에 영향을 주고 있다3-5). 특히 소아청소년기에는 단체 급식 기회가 많고 단체 생활시간이 길어 감염에 취약하다.
캄필로박터균이 유발하는 질병은 무엇인가? 캄필로박터균은 인체 감염 시 복통, 설사 권태감, 발열, 구역질 및 구토 등을 유발한다13). 본 연구에서는 혈변을 보이는 경우 다른 균보다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ng JY, Choi JE, Shin S, Yoon JH. Diagnosis of enteropathogen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one year prospective study in a single hospital.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9:1-13. 

  2. Shim JO.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diarrheal disorders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12;55:516-24. 

  3. Kim NO, Cha I, Kim JS, Chung GT, Kang YH, Hong S.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a causing acute diarrhea in Korea, 2012. Ann Clin Microbiol 2013;16:174-81. 

  4. Yoo YA, Kim MS, Kim KS, Park SH, Jung SK.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mplicated genes of E. coli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cooked foods in Seoul. J Food Hyg Saf 2010;25:220-5. 

  5. Lim HS. Contributing factors of infectious waterborne and foodborne outbreak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7;50:582-91.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5 Laboratory diagnostic practice guideline for water and foodborne diseases.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7. Choi JH, Jung TW, Kim SJ, Chung JY, Kim MS, Han SB, et al. Comparison among known severity scoring scales in the evaluation of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4;21:43-52. 

  8. Ma SH. Acute infectious diarrhea in pediatirc patients. Korean J Pediatr 2005;48:235-50. 

  9. Kim NO, Hong SH, Yoo CK.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a causing acute diarrhea in Korea, 2013. Public Health Wkly Rep 2015;8:70-4. 

  10. Lee JI, Park SH, Kim MS, Oh YH, Yu IS, Choi BH, et al. Surveillance of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Korea, during May 2004 and June 2007. J Bacteriol Virol 2009;39:363-71. 

  11. Sung K, Kim JY, Lee YJ, Hwang EH, Park JH. High incid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norovirus gastroenteritis in infancy: a single-center, 1-year experience. Pediatr Gastroenterol Hepatol Nutr 2014;17:140-6. 

  12. Oh KH, Chung GT, Yoo CK.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 by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Korea, 2014. Public Health Wkly Rep 2015;8:1250-4. 

  13. Jung SM, Kim NO, Na HY, Hong SH, Chung GT. Prevalence of Campylobacter causing acute diarrhea in Korea, 2012- 2015. Public Health Wkly Rep 2016;9:526-30. 

  14. Hong J, Kim JM, Jung WK, Kim SH, Bae W, Koo HC, et al. Prevalenc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Campylobacter spp. isolated from chicken meat, pork, and beef in Korea, from 2001 to 2006. J Food Prot 2007;70:860-6. 

  15. Kim HJ, Kim JH, Kim YI, Choi JS, Park MY, Nam HM,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Campylobacter spp. isolated from domestic and imported poultry meat in Korea, 2004-2008. Foodborne Pathog Dis 2010;7:1203-9.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Food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key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17. Kim SM, Choi MR, Kwon PS, Song HJ, Jang IH, Chong Y.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coli isolates from swine. J Bacteriol Virol 2011;41:27-35. 

  18. Yoon CS. Ultrasonography of gastrointestinal emergencies in infantile and pedeatric patients. J Korean Soc Med Ultrasound 2001;20:239-56. 

  19. Cho IJ, Yim J, Lee Y, Kim MS, Seo Y, Chung HS, et al. Trends in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nteropathogenic bacteria in 2001-2010 at a Korean tertiary care hospital. Ann Clin Microbiol 2013;16:45-51. 

  20. Nah SY, Park JY, Lee HJ, Seo JK.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salmonellosis in children over 10 years (1986-1995). Korean J Infect Dis 1999;31:129-35. 

  21. Choe YJ, Lee HJ. Trends in childhood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in the Republic of Korea. Infect Chemother 2011;43:468-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