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of Dri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Prepar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5, 2009년, pp.686 - 698  

박정욱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이영재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박인배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신궁원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조영철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고소미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성국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목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해섭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전복과 3가지 건조방법, 음건법, 냉풍건조법 및 진공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생전복 육은 수분이 $78.88{\pm}1.01%$, 조단백질 $9.24{\pm}0.27%$ 및 탄수화물 $10.05{\pm}0.81%$ 이었다. 건조 전복 육의 경우 수분은 냉풍건조가 $18.38{\pm}0.91%$로 가장 많았으며, 진공동결건조 한 것이 $1.05{\pm}0.05%$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생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조단백질은 적었지만 다른 성분은 많았다. 생전복은 구성아미노산 총함량이 $17,124.05{\pm}493.18\;mg%$이고, glutamic acid가 $2,233.93{\pm}64.34\;mg%$로 가장 많았으며,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 glycine, valine leucine, lysine, arginine 및 proline 등 이었다. 음건 전복 육의 총 함량은 $12,969.92{\pm}583.65\;mg%$, 냉풍건조는 $13,328.78{\pm}653.11\;mg%$ 이었다. 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적었다. 생전복 육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4,261.99{\pm}106.55\;mg%$ 이며, arginine, taur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yc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이와 비교하여 건조한 전복 육은 음건법 $6,336.50{\pm}285.15\;mg%$, 냉풍건조법 $5,072.04{\pm}248.53\;mg%$ 및 진공동결건조법 $4,638.85{\pm}218.03\;mg%$ 등으로 생전복 육보다 적은 함량이었다. 생전복 내장은 $2,920.74{\pm}73.02\;mg%$ 이고, 건조한 경우는 냉풍건조법이 $9,189.95{\pm}450.31\;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건법이 $5,037.18{\pm}272.01\;mg%$ 이었다. 생전복 육의 경우 포화지방산$47.00{\pm}0.99%$, 단일불포화지방산이 $22.18{\pm}1.05%$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이 $30.82{\pm}1.45%$ 이었고, 내장은 각각 $36.72{\pm}0.74%$, $25.44{\pm}1.12%$$37.84{\pm}1.67%$ 이었다. 콘드로이친황산 함량은 생전복의 경우 육에서 $11.95{\pm}0.35%$, 내장에서 $7.71{\pm}0.19%$의 함량을 보였다. 음건법의 경우 각각 $16.57{\pm}0.90%$$9.24{\pm}0.50%$이고, 냉풍건조법은 $16.17{\pm}0.79%$$12.44{\pm}0.61%$이며, 진공동결건조는 $25.17{\pm}1.16%$$15.22{\pm}0.70%$로 가장 많은 함량이었다. 콜라겐 함량은 생전복 육이 $69.80{\pm}3.07\;mg/g$이고, 내장이 $40.62{\pm}1.79\;mg/g$ 이었다. 음건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은 각각 $144.05{\pm}7.78\;mg/g$$44.16{\pm}2.39\;mg/g$ 이었으며, 냉풍건조 전복은 $133.29{\pm}6.53\;mg/g$$69.20{\pm}3.39\;mg/g$ 이고, 진공동결건조 전복의 경우는 각각 $137.51{\pm}6.33\;mg/g$$60.61{\pm}2.79\;mg/g$ 이었다. 휘발성염기질소는 생전복 육이 $10.10{\pm}0.44\;mg%$, 내장이 $19.01{\pm}0.84\;mg%$ 로서 내장이 육보다 높은 값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건조한 전복에서도 일치하였다. 음건법육에서 $136.77{\pm}7.37\;mg%$ 이고, 내장에서 $197.97{\pm}10.69\;mg%$로 나타내었으며, 냉풍건조 육이 $27.32{\pm}1.34\;mg%$, 내장이 $71.37{\pm}3.50\;mg%$이였다. 진공동결건조 육과 내장은 각각 $16.23{\pm}0.75\;mg%$$21.53{\pm}0.99\;mg%$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ought basic data for product development and storage improvement of abalone. We explored drying methodologies, such as shade drying, cold air drying, and vacuum freeze drying. We also examined various physicochemical features of both meat and viscera. Raw abalone meat had $78.88{\pm}1.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전복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폭넓은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전복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과 저장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음건법, 냉풍건조법 및 진공동결건조법 등으로 전복을 건조하고, 전복 육과 내장에 대하여 다양한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복이란 무엇인가? 전복은 해조류를 먹이로 생육하며 칼슘, 인 등의 무기질, 비타민 B1, B2 및 단백질이 풍부하며(1), 특히, 타우린 성분이 풍부하여 간장보호, 피로회복, 심근경색 등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는 고급 어패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강장과 신장을 보호하며 문(呡)을 맑게 하고, 위를 열어주며, 해수(咳嗽)를 다스리고, 피로회복, 자양강장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식으로 애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보편화되지는 못하고 있다(2). 국내에서 전복의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복의 효능은 무엇인가? 전복은 해조류를 먹이로 생육하며 칼슘, 인 등의 무기질, 비타민 B1, B2 및 단백질이 풍부하며(1), 특히, 타우린 성분이 풍부하여 간장보호, 피로회복, 심근경색 등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는 고급 어패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강장과 신장을 보호하며 문(呡)을 맑게 하고, 위를 열어주며, 해수(咳嗽)를 다스리고, 피로회복, 자양강장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식으로 애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보편화되지는 못하고 있다(2). 국내에서 전복의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복이 한방약재로 활용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전복은 그 희소성으로 인하여 가공식품 관련기술은 거의 없으나 저장성이 확보되고 한방약재로 활용하고자 가장 기본적인 가공방법인 마른전복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전복을 숙포(쪄서 말린 것)로 만들면 마른 오징어처럼 하얀 가루가 생기는데, 이것은 타우린 성분으로 담석용해 및 간장의 해독 기능을 강화하고 콜레스테롤의 저하와 심장기능의 향상 및 시력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ang, S.G., Ham, K.S., Kim, I.C., Kim, S.J. and Kim, H.L. (2006) The effec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prevention and functionality in Haliotis discus hannai. Abalone Functionality Reports. Jeonllanam-do 

  2. Kim, H.L., Kang, S.G., Kim, I.C., Kim, S.J., Kim, D.W., Ma, S.J., Gao, T.C., Li, H., Kim, M.J., Lee, T.H. and Ham, K.S. (2006) In vitro anti-hypertensive,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35-840 

  3. Fishery Production Survey (http://fs.fips.go.kr) 

  4. Lee, S.M., Lim, Y.S., Lee, J.K., Park, S.R., Myeong, J.I. and Park, Y.J. (1999) Effects of supplemintal squid meal, attractant, herb or lecithin in the formulated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 juvenile abalone(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Fish. Soc., 32, 290-294 

  5. Lee, S.M., Park, C.S. and Kim, D.S. (2001) Effects of dietary herb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Fish. Soc., 34, 570-575 

  6. Kim, C.W., Lim, S.G., Kim, K.S., Baek, J.M. and Park, C.S. (2003)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ed and artificial formulated diet and macroalgae (Laminaria japonica). J. Korean Fish. Soc., 36, 586-590 

  7. Cho, S.H., Park, J.E., Kim, C.I., Yoo, J.H., Lee, S.M. and Choi, C.Y. (2006) Effect of the various sources of dietary additiv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 Aquaculture, 19, 275-280 

  8. Moon, S.Y., Yoon, H.S., Seo, D.C. and Choi, S.D. (2006) Growth comparis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different culture systems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Aquaculture, 19, 242-246 

  9. Cho, S.H., Kim, C.I., Cho, Y.J., Lee, B.S., Park, J.E., Yoo, J.H. and Lee, S.M. (2008) Effects of the various dietary additives on growth and toleranc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gainst stresses. J. Aquaculture, 21, 309-316 

  10. Yang, H.S., Park, K.I., Hong, C.H. and Choi, K.S. (2008) Effects of salinity stress o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of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J. Aquaculture, 21, 218-225 

  11. Song, D.J. (1973) Studies on freezing of abalone (1) Effects of freezing rate on the quality of frozen abalone. Bull. Korean Fish. Soc., 6, 101-111 

  12. Song, D.J. (1978) Studies on freezing of abalone (2) Histological changes by freezing. Bull. Korean Fish. Soc., 11, 91-95 

  13. Kang, H.I. and Kang, T.J. (1981) Some chemical composition of abalone and sea cucumber as affect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4, 126-131 

  14. Yoon, H.D., Byun, H.S., Kim, S.B. and Park, Y.H. (1986) Lipid composition of purple shell and abalone. Bull. Korean Fish. Soc., 19, 446-452 

  15. Kim, H.L., Kim, S.J., Kim, D.W., Ma, S.J., Gao, T.C.,Li, H., Lee, T.H., Kim, I.C., Ham, K.S. and Kang, S.G. (2007) The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exhibit potential anticoagulant activity in normal sprague dawley rats. Korea J. Food Preserv., 14, 431-437 

  16. Yoo, M.J. and Chung, H.J. (2007)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drinking of disk abalone. Korean J. Food Culture, 22, 827-832 

  17. Shin, J.H., Lee, S.J., Choi, D.J., Kang, M.J. and Sung, N.J. (2008) Antioxidant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abalone containing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82-187 

  18. Lee, K.A., Shin, E.S., Lee, H.K., Kim, M.J., Kim, K.B.W.R., Byun, M.W., Lee, J.W., Kim, J.H., Ahn, D.H. and Lyu, E.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balone porridge with visce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108 

  19. Shin, E.S., Lee, K.A., Lee, H.K., Kim, K.B.W.R., Kim, M.J., Byun, M.W., Lee, J.W., Kim, J.H., Ahn, D.H. and Lyu, E.S. (2008) Effect of grain size and added wa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balone porrid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45-250 

  20. Jee, Y.J., Chang, Y.J. and Yoon, H.D. (2008)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Fish. Soc., 41, 452-457 

  21. Koh, S.M., Kim, H.S., Cho, Y.C., Kang, S.G. and Kim, J.M. (2009)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lone meat aged in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73-779 

  22. Kim, S.J., Seo, H.L., Lee, H.M., Yeom, J.U., Kim, G.H., Jang, E.S., Baeg, Y.H. and Jeon, B.H. (2003) The effect of exercise and taurine supplementation on body weight, blood glucose, insulin and cholesterol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Exercise Nutr., 7, 257-263 

  23.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4. Kim, H.S., Park, J.W., Lee, Y.J., Shin, G.W., Park, I.B. and Jo, Y.C. (2009)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Preserv., 16, 427-434 

  25.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 Physiol., 37, 911-917 

  26. KFDA (2008)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 10-1-23-10-1-26 

  27. KFDA (2008) Health Functional Food Ac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 Ⅲ.3.4.6-1 

  28. Woessner Jr, J.F. (1961) The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in tissue and protein samples containing small proportion of this imino acid. Arch. Biochem. Biophys., 93, 440-447 

  29. Jerome, S.P., Gabrielle, L. and Raul, F.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30. Kim, D.S., Cho, M.R., Ahn, H. and Kim, H.D. (2000) The preparation of canned pufferfish and its keeping stability. Korean J. Food & Nutr., 13, 181-186 

  31. Oh, S.C., Cho, J.S. and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16, 173-1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