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between 1991 and 2007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3 no.1, 2009년, pp.15 - 20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시 군 구 단위고 산불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 및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부터 2007년까지 17년간 발생건수, 연소면적, 확산속도, 건당 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특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GIS를 이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의 공간적 특성 변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전국 시 군 구는 산불위험성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도시와 인근 지역은 산불위험이 낮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나, 강원도 영동지방 4개 시 군은 가장 위험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그 뒤를 이어 남, 서해안에 인접한 시 군 구의 산불위험성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 fire, understanding of regional forest fire patterns is needed. In this paper, forest fire ignition and sprea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forest fire statistics. Fire occurrences, burned area, rate of spread, and burned area per fire between 1991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분석 범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므로,12)기 발생 예측과 관리를 위해서 산불 관리 단위로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1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의 산불통계자료를 바탕으로 GIS와 통계를 이용하여 전국 시 . 군 .
  • 군 . 구 단위로 산불발생 및 확산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불통계자료에는 산 불강도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가 없는 관계로 크기 (연소면적), 빈도(건수), 분포(주소지) 등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 Gill, 'Fire and the Australian Flora: A Review', Australian Forestry, Vol.38, pp.4-25 (1975) 

  2. M.C. Wimberly, 'Fire and Forest Landscapes in the Georgia Piedmont: An Assessment of Spatial Modeling Assumptions', Ecological Modelling, Vol. 180, pp.41-56(2004) 

  3. M.A. Parisien, V.S. Peters, Y. Wang, J.M. Little, E.M. Bosch, and B.J. Stocks,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in Canada, 1980-1999',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5, pp.361-374 (2006) 

  4. A. Vasquez and J.M. Moreno,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Fires in Sierra de Gredos (Central Spai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147, pp.55-65 (2001) 

  5. E.S. Kasischke, D. Williams, and D. Barry,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arge Fires in the Boreal Forest Region of Alask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1, pp.131-144(2002) 

  6. W.L. Baker, 'Effect of Scale and Spatial Heterogeneity on Fire Interval Distribution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Vol.19, pp.700-706(1989) 

  7. Y. Bergeron, 'The Influence of Island and Mainland Lakeshore Landscapes on Boreal Forest Fire Regimes', Ecology, Vol.72, pp.1980-1992(1991) 

  8. M.A. Parisien and L. Sirois,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Tree Species Across a Fire Frequency Gradient in the James Bay Region of Quvec',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Vol.33, pp.243-256(2003) 

  9. M.G. Rollins, P. Morgan, and T. Swetnam, 'Landscape-scale Controls over 20th Century Fire Occurrence in Two Large Rocky Mountain (USA) Wilderness Areas', Landscape Ecology, Vol.17, pp.539-557(2002) 

  10. B.J. Stocks, J.A. Mason, J.B. Todd, E.M. Bosch, and B.M. Wotton, 'Large Forest Fires in Canada, 1959-1997',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108, No.5, pp.1-12(2003) 

  11. Y. Bergeron, S. Gauthier, M. Flannigan, and V. Kafka, 'Fire Regimes at the Transition between Mixedwood and Coniferous Boreal Forest in Northwestern Quebec', Ecology, Vol.85, pp.1916-1932 (2004) 

  12. J. Podur, D.L. Martell, and F.Csillag, 'Spatial Patterns of Lightning Caused Forest Fires in Ontario, 1976-1998', Ecological Modelling, Vol.164, pp.1-20(2003) 

  13. B. Lee, P.S. Park, and J. Chung,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in South Korea between 1970 and 2003',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5, pp.389-396(2006) 

  14. 산림청, '2007년 산불통계연보', 산림청(2007) 

  15. R.C. Rothermel, 'A Mathematical Model for Prediction Fire Spread in Wildland Fuel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 115(1972) 

  16. H.E. Anderson, 'Predicting Wind-driven Wildland Fire Size and Shape',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 305(1983) 

  17. M.M. Kimoti and R.N. Jadhav, 'Forest Fire in the Central Himalaya: an Extent, Direction and Spread using IRS LISS-I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19, No.12, pp.2261-2274(1998) 

  18. 이병두, 정주상, 김형호, 이시영, 'GIS 응용에 의한 2000년 삼척산불의 확산속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Vol.90, No.6, pp.781-787(2001) 

  19.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산림청(2007) 

  20. 송문섭, 조신섭, 'SAS를 이용한 통계자료 분석', 자유아카데미 (2004) 

  21. 이병두, 송정은, 이명보, 정주상, '한국의 생태지역별 산불특성과 임상분포패턴과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Vol.97, No.1, pp.1-9(2008) 

  22. 동해안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동해안 산불지역 정밀조사 보고서', 임업연구원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