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목적: 의료진은 암 환자들에게 적절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암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실제 알고자 하는 정보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수술 후 환자로, 2008년 11월 18일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에서 주관한 '위암 환자의 날' 행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19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도구는 검사, 치료, 예후, 추후 관리,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과 7개의 단일 문항의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정보 요구는 예후, 치료 기간 동안 스스로 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 추후 관리, 위암 관련 정보, 치료, 검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예후, 식이, 치료 중의 건강 관리와 관련한 문항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젊을수록 검사, 치료,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의 정보 요구가 높았다. 결론: 기존에 축적된 병원의 치료 결과 및 예후 자료에 근거한 객관적인 예후 관련 정보를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암 환자 및 보호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그리고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dequate health-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health professionals may help cancer patients overcome their uncertain situation and manage their healthcare.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atients' essenti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검정 결과, 7개의 단일 문항이 낮은 요인 적재량으로 인해 그룹화되지는 않았지만, 그 외 문항은 기존 도구에서 분류되었던 영역과 일치하게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위암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정보 요구를 측정하여 최근의 정보 요구 경향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설문 구성 항목의 적정성에 대한 사전 조사와 분석, 그리고 설문 항목의 수정과정을 통하여 위암 정보 요구 측정 도구의 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활용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요구는 평균 3.
  • 이 연구를 통해 위암 수술 후 환자들이 치료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얼마나 알고 싶어하는지에 관한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최근의 정보 요구 경향을 확인하고, 기존 교육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0) 환자들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구두 의사 소통, 서면화된 자료, 시청각 기술, 웹 기반 학습 등 여러 방법들이 있지만, 이들 중 환자들이 선호하는 방법은 의료 전문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방법이 가장 대표■적 이 라 할 수 있다. (H) 따라서 의료진은 적절하고 올바른 정보를 암 환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질병과 치료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감을 가지고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여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12, 13) 그리고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먼저 대상 환자가 실제로 알고자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cms/statics/incidence/index. html/Accessed June 9, 2009. 

  2. Roukos DH. Current advances and changes in treatment strategy may improv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tentially curable gastric cancer. Ann Surg Oncol 1999;6:46-56. 

  3. Bae JM, Kim S, Kim YW, Ryu KW, Lee JH, Noh JH, Sohn TS, Hong SK, Park SM, You CH,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disease-free stomach cancer survivors in Korea. Qual Life Res 2006;15:1587-1596. 

  4. Jentschura D, Winkler M, Strohmeier N, Rumstadt B, Hagmuller E. Quality-of-life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a comparison between total gastrectomy and subtotal gastric resection. Hepatogastroenterology 1997;44:1137-1142. 

  5. Lee JK, Lee MS. Discharge nursing needs of patients having surgery with gastric cancer. J Korean Acad Adult Nurs 2003;15:22-32. 

  6. Cho MH, Dodd MJ, Lee KA, Padilla G, Slaughter R. Self-reported sleep quality in family caregivers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are receiving chemotherapy in Korea. J Cancer Educ 2006;21(suppl 1):37s-41s. 

  7. Kim YS. The comparison of perceived nursing education needs for discharge between stomach cancer patients with gastrectomy and nurses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ersity, 2007. 

  8. Ahn DH, Shin DW, Cheong JH, Hyung WJ, Choi SH, Noh SH. Gastric-cancer-related Inquiries and questionnaires through an internet homepage.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4; 4:219-224. 

  9. Christman NJ. Uncertainty and adjustment during radiotherapy. Nurs Res 1990;39:17-20. 

  10. Kim GY, Hur HK. Information needs on patients with cancer in Korea. J Korean Acad Adult Nurs 2002;14:135-143. 

  11. Yoon SJ. Educational strategies for informative and supportive patient education for oncolog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 literature review. J Korean Oncol Nurs 2006;6:54-65. 

  12. Galloway S, Graydon J, Harrison D, Evans-Boyden B, Palmer- Wickham S, Burlein-Hall S, Rich-van der Bij L, West P, Blair A. Informational needs of women with a recent diagnosis of breast cancer: development and initial testing of a tool. J Adv Nurs 1997;25:1175-1183. 

  13. Han KJ, Lee EO, Kim MJ, Hah YS, Park YS, Song MS, Chung CW, Park SH, Moon MH. Informat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04;4:135-142. 

  14. Hur HK. Information need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Adult Nurs 2000;12:286-295. 

  15. Mills ME, Sullivan K.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giving for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Clin Nurs 1999;8:631-642. 

  16. Templeton HR, Coates VE. Adapt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informational needs of men with prostate cancer. J Adv Nurs 2001;35:357-364. 

  17. Noh JH. Informational needs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08. 

  18. Lee EH, Choi JH, Lim HY, Seo MS, Kim HC. Development and test of an information needs scale for out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Cancer Res Treat 2002;34:97-103. 

  19. Lee MS.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of nursing needs for post-surgical stomach cancer patient at discharge [dissertation].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01. 

  20. Yi MS. Lived experience of people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Seoul J Nurs 1996;10:169-188. 

  21. Lobb EA, Butow PN, Kenny DT, Tattersall MH. Communicating prognosis in early breast cancer: do women understand the language used? Med J Aust 1999;171:290-294. 

  22. Sohn DK, Choi HS, Lee DU, Lee SJ, Lee JS, Lee YS. The quality evaluation of information of websites on colorectal cancer using the DISCERN instrument. J Korean Soc Coloproctol 2005;21:247-254. 

  23. Lee DS, Lee EO. Social support need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atients having gastric cancer. Seoul J Nurs 1997; 11:17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