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비만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ccoli Sprouts on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3, 2009년, pp.309 - 318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형덕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지방식이로 고지혈 및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브로콜리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 중 지질대사 개선 및 지방조직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5주령 된 흰쥐 수컷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ND-BSL),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ND-BSH),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HFD-BSL) 및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HFD-BSH)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체중증가량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정상식이군(ND)과는 비슷한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고지방 식이군들(HFD, HFD-BSL 및 HFD-BSH)이 정상식이군들 (ND, ND-BSL 및 ND-BSH)에 비하여 식이섭취량은 낮았으나, 식이효율은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의 무게는 실험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부고환 및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고용량 병합 투여한 경우에는 고지방식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의 ALT 및 AST 활성,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심혈관위험지수와 동맥경화지수도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의 ALP 활성은 실험 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HFD)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상식이 혹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간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 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병합 투여로 저하되었다. 지방조직 중의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정상식이군 (ND)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HFD)이 증가하였고,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한 모든 군은 고지방 식이군(HFD)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정상식이군 (ND)과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는 고용량 병합 투여군이 저용량 병합투여군에 비하여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및 조직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군들(ND, ND-BSL 및 ND-BSH)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 시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이 체중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지질 개선 효과와 LPL 활성을 저하시켜 고지혈증 예방효과와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브로콜리 싹 추출물의 어떤 성분이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비만을 억제시킬 수 있는지는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olesterol 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roccoli sprouts (BS) in rats fed high fat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50{\sim}155g$, were divided into 6 groups;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 fat diet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지방식이로 고지혈 및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 중 지질대사 개선 및 지방조직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5주령 된 흰쥐 수컷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ND-BSL),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ND-BSH),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HFD-BSL) 및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HFD-BSH)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 특히 지방조직 부위 별 LPL 대사 조절 기전이 다른 이유는 지방세포의 크기, 지방조직의 insulin 민감도, glucocorticoid 혹은 estrogen receptor 수의 차이에 의해 기인된다고(59)하였으며, 특히 피하지방조직은 부고환지방조직보다 glucocorticoid receptor 수가 적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지방조직 부위에 따른 LPL 조절 기전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는 수행하지 않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의 이미 알려진 항암효과(18,19,23,24) 이외의 생리활성 효능의 검증을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 대사 개선효과 및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 구명을 통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여 브로콜리 싹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의 이미 알려진 항암효과(18,19,23,24) 이외의 생리활성 효능의 검증을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 대사 개선효과 및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 구명을 통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여 브로콜리 싹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로콜리는 무엇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ascorbic acid, β-carotene, rutin, selenium, glutathione, querceti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및 해독효소의 유도효과가 큰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이들 성분 중 순환계 질환에 유용한 물질로 알려진 rutin과 quercetin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통 성분은 동맥경화 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20,21)되었다.
발아채소는 무엇인가? 발아채소(seed sprout)는 씨앗에서 싹이 나와 잎이 1~3개 정도 되는, 싹이 발아한지 1주일 남짓 된 어린잎의 채소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새싹채소로 불린다. 두꺼운 껍질과 배아 속에서 안전하던 씨앗이 수분과 온도가 주어지면서 싹이 트는데 이때 식물은 곰팡이, 박테리아 등 외부의 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무기로서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게 된다.
브로콜리성분 중에서 순환계 질환에 유용한 물질로 동맥경화 예방효과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italica Plenck)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ascorbic acid, β-carotene, rutin, selenium, glutathione, querceti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및 해독효소의 유도효과가 큰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이들 성분 중 순환계 질환에 유용한 물질로 알려진 rutin과 quercetin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통 성분은 동맥경화 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20,21)되었다. 즉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동맥경화증과 심장질환의 주요 발병 인자인 LDL의 산화를 억제하고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22)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Sattar A, Shah A, Zeb A. 1995. Biosynthesis of ascorbic acid in germinating rapeseed cultivars. Plant Food for Human Nutr 47: 63-70 

  2. El-Adawy TA. 2002.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hickpeas (Cicer arietinum L.)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germination. Plant Food for Human Nutr 57: 83-97 

  3. Song MR. 2001. Volatile flavor component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Korean J Food & Nutr 14: 20-27 

  4. Kim IS, Han SH, Han KW. 1997.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58-1062 

  5. Tian Q, Rosselot RA, Schwartz SJ. 2005.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intact glucosinolates in broccoli, broccoli sprouts, brussels sprouts, and cauliflower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Anal Biochem 343: 93-99 

  6. Sorensen M, Jensen BR, Poulsen HE, Deng XS, Tygstrup N, Dalhoff K, Loft S. 2001. Effects of a brussels sprouts extract on oxidative DNA damage and metabolism enzymes in rat liver. Food Chemical Toxicol 39: 533-540 

  7. Kim SL, Kim SK, Park CH. 2004. Introduction and nutritional of buckwheat sprouts as a new vegetable. Food Res Int 37: 319-327 

  8. Lee MH, Woo SJ,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 7: 274-283 

  9. Kwon TB. 1994. Changes in rutin and fatty acid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 7: 124-127 

  10. Kim YS, Kim JG, Kang IJ, Lee YS. 2005.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buckwheat seed and sprou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1-86 

  11. Pomeranz Y, Marshall HG, Robbins GS, Gilbertson JT. 1975.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maturing buckwheat. Cereal Chem 52: 479-485 

  12. Lee YA, Kim HY, Cho EJ. 2005. Compar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51-1156 

  13. Tangiguch I, Kobayashi-Hattori K, Tenmyo C, Uda Y, Sugita-Konishi Y, Oishi Y, Takita T. 2006. Effect of Japanese radish (Raphaus sativus) sprout (Kaiware-daikon)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hytotherapy Res 20: 274-278 

  14. Choi YS, Sur JH, Kim CH, Kim YM, Ham SS, Lee SY. 1994. Effects of dietary buckwheat vegetabl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12-218 

  15. Cho YS, Horigoma T. 1989. Effect of alfalfa saponin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 430-434 

  16. Seo JS, Bang BH, Yeo IB. 2001. Effect of improve obesity with sprout raw grains and vegetables. Kor J Food & Nutr 14: 150-160 

  17. Lee JJ, Lee YM, Shin HD, Jeong YS, Lee MY. 2007.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d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65-974 

  18. Kim MR, Kim JH, Wi DS, Na JH, Sok DE.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01-1207 

  19. Sok DE, Kim JH, Kim MR.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from solvent extract of brocco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15-319 

  20. Keli SO,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1996. Dietary flavonoids, antioxidant vitamins, and incidence of stroke: The Zutpen study. Arch Intern Med 154: 637-642 

  21. Hertog MGL, Kromhout D, Aravanis C, Blackburn H, Fidanza F, Giamoaoli S, Jansen A, Menotti A, Nedeljkovic S, Pekkarinen M, Simic BS, Toshima H, Feskens EJM, Hollman PCH, Katan MB. 1995. Flavonoids intake and long-term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in the countries study. Arch Intern Med 155: 381-386 

  22. Steinberg D, Parthasarathy S, Carew TE, Khoo JC, Witztum JL. 1989. Beyond cholesterol: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s that increase its atherogenecity. N Engl J Med 320: 915-924 

  23. Dinkova-Kostova AT, Jenkins SN, Fahey JW, Ye L, Wehage SL, Liby KT, Stephenson KK, Wade KL, Talalay P. 2006. Protection against UV-light-induced skin carcinogenesis in SKH-1 high-risk mice by sulforaphane-containing broccoli sprout extracts. Cancer Letters 240: 243-252 

  24. Hecht SS. 1999. Chemoprevention of cancer by isothiocyanates, modifiers of carcinogen metabolism. J Nutr 129: 768S-774S 

  25. Kahlon TS, Chapman MH, Smith GE. 2007. In vitro binding of bile acids by spinach, kale, brussels sprouts, broccoli, mustard greens, green bell pepper, cabbage and collards. Food Chem 100: 1531-1536 

  26. Kahlon TS, Chiu MC, Chapman MH. 2008. Steam cooking significantly improves in vitro bile acid binding of collard greens, mustard greens, broccoli, green bell pepper, and cabbage. Nutr Res 28: 351-357 

  27. Suido H, Takeuchi A, Makino T, Tanaka T. 2003. Serum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a broccoli and cabbage mixture in rats. Atherosclerosis Suppl 4: 238 

  28. Takai M, Suido H, Tanaka T, Kotani M, Fujita A, Takeuchi A, Makino T, Sumikawa K, Nakashima M. 2003. LDL-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a mixed green vegetable and fruit beverage containing broccoli and cabbage in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Atherosclerosis Suppl 4: 239 

  29.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30. Reeves PG, Nielson FH,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31. Shaw MA, Rasmussen KM, Myers TR. 1996. Composition of high fat impairs reproductive performance in Sprague-Dawley rats. J Nutr 127: 64-69 

  32. Friedwald WT, Levy RL,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33.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34.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35. Zlatkis A, Zak B. 1969.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36. Biggs HG, Erikson TM, Moorehead WR. 1975.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437-441 

  37. Nilsson-Ehle P, Schotz MC. 1976. A stable radioactive substrate emulsion for assay of lipoprotein lipase. J Lipid Res 17: 536-541 

  38. Fried SK, Zechner R. 1989. Cachectin/tumor necrosis factor decreases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mRNA levels, synthesis and activity. J Lipid Res 30: 1917-1923 

  39. Iverius PH, Brunzell JD. 1985.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change with feeding and relation to postheparin plasma enzyme. Am J Physiol 249: E107-E114 

  40. Melanson KJ, Westerterp-Plantenga MS, Saris WHM, Canofied LA. 1999. Blood glucose patterns and appetite in time-blinded humans: carbohydrate versus fat. Regul Integr Comp Physiol 46: R337-345 

  41. Westerterp-Plantenga MS, Kovacs EMR, Melanson KJ. 2002. Habitual meal frequency and energy intake regulation in partially temporally isolated men. Int Obes Relat Disord 26: 102-110 

  42. Dodge JA. 1994. Dietary fat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Eur J Clin Nutr 48: S8-S16 

  43. Miller WC, Lindeman AK, Wallace J, Niederpruem M. 1990. Diet composition, energy intake, and exercise in relation to body fat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52: 426-430 

  44. Choi J, Lee KT, Kim WB, Park KK, Chung WY, Lee JH, Lim SC, Jung HJ, Park HJ. 2005.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Kor J Pharmacogn 36: 109-115 

  45. Park CH, Kim DI, Jung HK, Lee GD, Kim KS, Hong JH. 2008. Effect of Bulinesia sarmienti single and complex extracts on serum lipid and body fat in rats fed high-fed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9-454 

  46. Cho YS, Shon MY, Lee MK. 2007. Lipid-lower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extract of mulberry leaves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05-410 

  47. Bjorntorp P. 1988.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723: 121-134 

  48. Bjorntorp P. 1990.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therosclerosis 10: 493-496 

  49. Despres JP. 1993. Abdominal obesity as important component of insulin-resistant syndrome. Nutrition 19: 452-459 

  50. Plaa GL, Charb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Hayes AW, ed. Raven Press, New York. p 839-870 

  51. Kim KH. 1980.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test: A translation. Ko Moon Sa, Seoul. p 164-167 

  52. Kwon JY, Cheigh HS, Song YO. 2004.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14-1019 

  53. Kusunoki M, Tsutsumi K, Iwata K, Yin W, Nakamura T, Ogawa H, Nomura T, Mizutani K, Futenma A, Utsumi K, Miyata T. 2005. NO-1886 (ibrolipim), a lipoprotein lipase activator, increases the expression of uncoupling protein 3 in skeletal muscle and suppresses fat accumul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Metabolism 54: 1587-1592 

  54. Davignon J, Cohn JS. 1996. Triglyceride: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therosclerosis 124: S57-S64 

  55. Kay RM, Truswell AS. 1977. Effect of citrus pectin on blood lipids and fecal steroid excretion in man. Am J Clin Nutr 30: 171-177 

  56. Ghasi S, Nwobodo E, Ofili JO. 2000.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leaf of Moringa oleifera Lam in high-fat diet fed wistar rats. J Enthnopharmarcol 69: 21-25 

  57. Lee JJ, Chung CS, Kim JG, Choi BD. 2000. Effect of fasting 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58. Fried SK, Kral JG. 1987. Sex differences in regional distribution of fat cell size and lipoprotien lipase in morbidly obese patients. Int J Obes 11: 129-140 

  59. Bjorntorp P. 1992.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n Med 24: 465-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