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습관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뇌졸중과 관련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처음 진단받은 입원 환자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 뇌졸중 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지역 사회 주민 150명(남자 75명, 여자 7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는 일반특성, 생활습관, 식행동 특성, 식품섭취빈도, 식품 기호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 면접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환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63.5세, 여자 69.9세였으며 일반 특성사항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은 BMI, 당뇨병 고혈압과 심장병의 유병율, 뇌졸중과 당뇨병 고혈압의 가족력과 시골 거주율이었고, 유의적으로 낮은 것은 교육수준이었다. 생활습관에서 전체적으로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흡연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녹차섭취와 규칙적 운동습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성별로는 남자는 흡연율과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서, 여자는 녹차섭취와 규칙적인 운동 유무에서 환자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행동 특성에서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불규칙한 식사, 과식, 육식의 비율이 높았고, 충분히 씹는 습관과 한식 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품섭취빈도는 전체적으로 환자군은 식용유, 참기름의 섭취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콩제품,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종실류, 생선 어패류, 올리브유, 두유, 녹차, 과일 주스의 섭취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식품 기호도에서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닭고기, 계란, 볶음, 짠맛, 단맛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국류, 찌개류, 김치류, 해조류, 생선류, 우유 및 유제품, 콩유, 채소류, 과일류, 무침조리법의 선호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높은 BMI, 당뇨병과 고혈압의 유병, 뇌졸중 가족력, 흡연, 과식과, 육식의 식습관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규칙적 운동습관과 녹차 섭취, 음식을 충분히 씹는 습관, 한식의 섭취, 콩 제품과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생선 어패류, 두유, 녹차의 잦은 섭취가 보호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생활습관이라 생각된다. 또한 녹차의 섭취와 금연, 규칙적인 운동은 남녀 모두에서 뇌졸중을 예방하는 좋은 생활습관이며 규칙적인 식사와 과식금지, 충분히 씹는 습관, 단 음식의 절제, 채식과 육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섭취하는 것, 조리법으로는 무침, 초무침을 선택하는 것이 뇌졸중을 예방하는 좋은 식습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life style and eating behavior of stroke patients and to fin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stroke incidenc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 The case subjects (n=100) were selected from newly diagnosed stroke patient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맵고 짠 자극적인 맛의 선호가 강한 식문화의 특색을 보이는 대구·경북 지역의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을 남녀별로 나누어 일반 생활습관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 평가하여 뇌졸중 관련 위험인자를 발견함으로서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식생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습관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뇌졸중과 관련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처음 진단받은 입원 환자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 뇌졸중 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지역 사회 주민 150명(남자 75명, 여자 7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 3%(95명)로 가장 많았고 ‘항상 불규칙한 경우’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 환자․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의 경우 그 차이가 더욱 뚜렷하였다. 이 결과는 불규칙한 식습관이 뇌졸중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식사량은 전체적으로 환자군에서는 ‘항상 배부르게 먹는다’는 응답이 5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혈성 뇌졸중은 어떻게 나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급성 신경학적 기능 이상으로 단시간 내에 뇌조직의 이상 징후가 나타나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전증, 뇌색전증, 열공성 뇌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으로, 출혈성 뇌졸중은 뇌 실질내출혈과 뇌 지주막하출혈로 나누어진다(1). 2007년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 명 당 59.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생활습관이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이유는? 식품 기호도에서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닭고기, 계란, 볶음, 짠맛, 단맛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국류, 찌개류, 김치류, 해조류, 생선류, 우유 및 유제품, 콩유, 채소류, 과일류, 무침조리법의 선호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높은 BMI, 당뇨병과 고혈압의 유병, 뇌졸중 가족력, 흡연, 과식과, 육식의 식습관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규칙적 운동습관과 녹차 섭취, 음식을 충분히 씹는 습관, 한식의 섭취, 콩 제품과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생선·어패류, 두유, 녹차의 잦은 섭취가 보호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생활습관이라 생각된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급성 신경학적 기능 이상으로 단시간 내에 뇌조직의 이상 징후가 나타나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전증, 뇌색전증, 열공성 뇌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으로, 출혈성 뇌졸중은 뇌 실질내출혈과 뇌 지주막하출혈로 나누어진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Roh JK. 1992. Treatment in stroke. J Korean Med Assoc 35: 998-1006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http://www.nso.go.kr 

  3. Nagata K, Sasaki E, Goda K, Yamamoto N, Sugino M, Hanafusa T, Yamamoto K, Narabayashi I. 2003. Cerebr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out hypertension. Stroke 34: e232-e233 

  4. Jamrozik K, Broadhurst RJ, Anderson CS, Stewart-Wynne EG. 1994. The role of lifestyle factors in the etiology of stroke.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Perth, Western Australia. Stroke 25: 51-59 

  5. Rodriguez BL, D'Agostino R, Abbott RD, Kagan A, Burchfiel CM, Yano K, Ross GW, Silbershatz H, Higgins MW, Popper J, Wolf PA, Curb JD. 2002. Risk of hospitalized stroke in men enrolled in the Honolulu Heart Program and the Framingham Study. Stroke 33: 230-237 

  6. Abbott RD, Behrens GR, Sharp DS, Rodriguez BL, Burchfiel CM, Ross GM, Yano K, Curb JD. 1994. Body mass index and thromboembolic stroke. Stroke 25: 2370-2376 

  7. Walker SP, Rimm EB, Ascherio A, Kawachi I, Stampfer MJ, Willett WC. 1996. Body size and fat distribution as predictors of stroke among US men. Am J Epidemiol 144: 1143-1150 

  8. Shinton R, Beevers G. 1989. Meta-analysis of rel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stroke. Br Med J 298: 789-794 

  9. Folsom AR, Rasmussen ML, Chambless LE, Howard G, Cooper LS, Schmidt MI, Heiss G. 1999. Prospective associations of fasting insulin, body fat distribution, and diabetes with risk of ischaemic stroke. Diabetes Care 22: 1077-1083 

  10. Gorelick PB, Sacco RL, Smith DB, Alberts M, Rader D, Ross JL, Raps E. 1999. Prevention of a first stroke: a review of guidelines and multidisciplinary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National Stroke Association. J Am Med Assoc 281: 1112-1120 

  11. Gill JS, Zezulka AV, Shipley MJ, Gill SK, Beevers DG. 1986. Stroke and alcohol consumption. New Engl J Med 315: 1041-1046 

  12. Djousse L, Ellison RC, Beiser A, Scaramucci A, D'Agostino RB, Wolf PA. 2002.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ischemic stroke: the Framingham study. Stroke 33: 907-912 

  13. Acheson RM, Williams DRR. 1983. Does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s protect against stroke?. Lancet 1 (8335): 1191-1193 

  14. Sauvaget C, Nagano J, Allen N, Kodama K. 2003. Vegetable and fruit intake and stroke mortality in the Hiroshima/Nagasaki life span study. Stroke 34: 2355-2360 

  15. Kagan A, Popper JS, Rhoads GG, Yano K. 1985. Dietary and other risk factors for stroke in Hawaiian Japanese men. Stroke 16: 390-396 

  16. McGee D, Reed D, Stemmerman G, Rhoads G, Yano K, Feinleib M. 1985. The relationship of dietary fat and cholesterol to mortality in 10 years. Int J Epidemiol 14: 97-105 

  17. Gillum RF, Mussolino ME, Madans JH. 1996.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rch Intern Med 156: 537-542 

  18. Orencia AJ, Daviglus ML, Dyer AR, Shekelle RB, Stamler J. 1996. Fish consumption and stroke in men. Stroke 27: 204-209 

  19. Worrall BB, Johnston KC, Kongable G, Hung E, Richardson D. 2002. Stroke risk factor profiles in African American women. Stroke 33: 913-919 

  20. Roquer J, Campello AR, Gomis M. 2003. Sex differences in first-ever acute stroke. Stroke 34: 1581-1585 

  21. Park MH, Park YS, Park YS, Choi YS. 1991. Studies on family caregiving, clothing and nutrition of disabled elderly-(part 3) Food behavior and nutrition of elderly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J Korean Home Econ Assoc 29: 85-95 

  22. Shin GM, Lee DK, Yi SD, Suh CK, Park YC. 1988. A study on risk factors of strokes. Korean J Neurology 6: 218-227 

  23. Kwon JC. 1996. Factors affected with C.V.A. MS Thesis. Kyung San University, Daegu. p 22-29 

  24. Yang JI, Rah UW, Moon HW, Lee IY, Yim SY, Park SI. 1997. Studies of risk factors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Rehabil Med 21: 643-647 

  25. Won JI, Ohrr HC. 1999. The lifestyle factors in stroke etiology: smoking, alcohol consumption, obesity, perception of saltness. J Korean Acad Univ Trainde Phys Therapists 6: 82-93 

  26. Cheong BS, Lee SH, Yun HS, Cho SG, Lee JH, Seo JC, Choi DY, Park DS. 2001. The clinical study of risk and lifestyle factors in stroke-419 case control study-.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 18: 14-26 

  27. Kwon CS, Park KH, Yoon SH, Jang HS. 1999. The status of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in femal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Korean J Nutrition 32: 24-29 

  28. Kim JD, Choe M, Ju JS. 1995.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dietary Na, K intake pattern in the family members of normal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4: 24-29 

  29. Choe M, Kim JD, Kim SS. 1996. A study on drinking smoking and family disease histories in the family membe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50-1054 

  30. Chung HH, Park HS, Shin HD. 1987. Dietary habits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in Korean. Korean J Nutrition 20: 422-431 

  31. Herman B, Leyten ACM, Luijk JH. 1982. An evaluation of risk factors for stroke in a Dutch community. Stroke 13: 334-339 

  32. Youm PY, Kim SH. 1998. A case-control study on dietary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stomach cancer incidence. Korean J Nutrition 31: 62-71 

  33. Kim JH, Koo BK, Kim KJ, Baek JW, Lee YK, Lee SK, Lee HS. 1999.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4: 219-230 

  34. Choi MK, Kim YJ, Song JE, Sung CJ. 1996.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lood pressure and Na, K, Ca and Mg in cerebral apoplexy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1-10 

  35. Kim SM, Jung YM. 2002.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in relation to food habit and attitude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95-305 

  36. Suk SH, Sacco RL, Boden-Albala B, Cheun JF, Pittman JG, Elkind MS, Paik MC. 2003. Abdominal obesity and risk of ischemic stroke. Stroke 34: 1586-1592 

  37. Song IH, Oh DH, Kang HS, Choue CW, Kim KS, Kim MS, Song JS, Bae JH. 1992. Changing pattern of stroke during the recent 10 years in Korea. Korean J Internal Med 43: 637-644 

  38. Kwon DI, Ko CN, Cho KH, Kim YS, Lee KS. 1996. Clinical observation on the admitted patients of department of cardiac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hospital. J Kyung Hee Univ Med Cent 12: 200-213 

  39. Kang KH, Jun CY, Park CH. 1997. Clinical observation on the 290 cas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J Korean Oriental Med 18: 223-244 

  40. Lang T, Cambien F, Richard JL, Bingham A. 1987. Mortality in cerebrovascular disease and alcoholism in France. Presse Med 16: 1351-1354 

  41. Ueshima H, Choudhury SR, Okayama A, Hayakawa T, Kita Y, Kadowaki T, Okamura T, Minowa M, Limura O. 2004. Cigarette smoking as a risk factor for stroke death in Japan. Stroke 35: 1836-1841 

  42. Chon JS, Chun SI, Park SH, Baek SY, Kim DA. 1998. Recent epidemiologic trends of stroke. J Korean Acad Rehabil Med 22: 1159-1165 

  43. Haapaniemi H, Hillbom M, Juvela S. 1997. Lifestyle-associated risk factors for acute brain infarction among persons of working age. Stroke 28: 26-30 

  44. Thompson SG, Greenberg G, Meade TW. 1989. Risk factors for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women in the United Kingdom as assessed in the general practice: A case-control study. Br Heart J 61: 403-409 

  45. Kim SE, Kim DH, Ko CN, Kim YS, Park DW, Lee KS. 2000. Clinical observation on current status of stroke patients admitted to oriental hospital. J Korean Oriental Med 21: 104-111 

  46. Manson JE, Rimm EB, Stampfer MJ, Colditz GA, Willett WC, Krolewski AS, Rosner B, Hennekens CH, Speizer FE. 1991. Physical activity and incidence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Lancet 338: 774-778 

  47. Lakka TA, Salonen JT. 1993. Moderate to high intensity conditioning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are associated with reduced plasma fibrinogen in eastern Finnish men. J Clin Epidemiol 46: 1119-1127 

  48. Fraser GE. 1994. Diet and coronary heart disease: beyond dietary fats and low-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 Am J Clin Nutr 59: 1117-1123 

  49. Gillman MW, Cupples LA, Gagnon D, Posner BM, Ellison RC, Castelli WP, Wolf PA. 1995. Protective effect of fruits and vegetables on development of stroke in men. JAMA 273: 1113-1117 

  50. Ascherio A, Rimm EB, Hernan MA, Giovannucci EL, Kawachi I, Stampfer MJ, Willett WC. 1998. Intake of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nd fiber and risk of stroke among US men. Stroke 98: 1198-1204 

  51. Suter PM. 1999. The effects of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nd fiber on risk of stroke. Nutr Rev 57: 84-88 

  52. Zhang F, Sasaki S, Amano K, Kesteloot H. 1999. Fish consumption and mortality from all causes,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n ecological study. Pre Med 28: 520-529 

  53. Iso H, Rexrode KM, Stampfer MJ, Mnson JE, Colditz GA, Speizer FE, Hennekens CH, Willett WC. 2001. Intake of fish and omega-3 fatty acids and risk of stroke in women. JAMA 285: 304-312 

  54. Keli SO,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1996. Dietary flavonoids, antioxidant vitamins, and incidence of stroke. Arch Intern Med 154: 637-642 

  55. Park KA, Kim HS, Kim JS, Kwon SU, Smi CK. 2001. Food intake, frequency, and compliance in stroke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542-552 

  56. Yim KS, Min YH, Lee YT, Kim YJ. 1998.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 for the elderly in Suw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10-422 

  57. Park KA, Kim JS, Choi S. 2003. Study on altered food preference and food frequency in stroke patients. Korean J Nutrition 36: 622-634 

  58. Snowdon DA, Phillips RL, Frased Ge. 1984. Meat consumption and fatal ischemic heart disease. Prev Med 13: 490-500 

  59. Snowdon DA. 1988. Animal product consumption and mortality because of all causes combined,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diabetes, and cancer in Seventh-day Adventists. Am J Clin Nutr 48: 739-748 

  60. Ascherio A, Willett WC, Rimm EB, Giovannucci EL, Stampfer MJ. 1994. Dietary iron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men. Circulation 89: 969-974 

  61. Abbott RD, Curb JD, Rodriguez BL, Sharp DS, Burchfiel CM, Yano K. 1996.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milk consumption on risk of thromboembolic stroke in older middle-aged men. Stroke 27: 813-818 

  62. Rimm EB, Ascherio A, Giovannucci E, Spiegelman D, Stampfer MJ, Willett WC. 1996. Vegetable, fruit and cereal fiber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men. JAMA 275: 447-451 

  63. Simon JA, Fong J, Bernert JT, Browner WS. 1995. Serum fatty acids and the risk of stroke. Stroke 26: 778-7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