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당류 첨가에 따른 당근박 함유 Leuconostoc citreum S5 발효물의 물성변화
Effects of Various Polysaccharid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extran Culture Containing Carrot Juice Residue Obtained from Submerged Culture Using Leuconostoc citreum S5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3, 2009년, pp.352 - 358  

손민정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이삼빈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uconostoc속의 균주와 당근 박을 이용하여 생산된 점 질성의 발효물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양한 다당류의 첨가 및 열처리 전후에 물성변화를 점도계와 조직감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당근 박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조도 값은 증가되었으며, 20%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때 점조도 지수는 대조군 18 $Pa{\cdot}s^n$에서 150 $Pa{\cdot}s^n$ 정도로 크게 증가 되었으며, 생균수는 $2.36{\times}10^9$ CFU/mL으로 나타났다. 점질성의 덱스트란 발효물에 다양한 다당류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의 점조도 값보다 증가되었으며, glucomannan을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점조도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gellan gum을 첨가하여 열처리한 경우에는 발효물의 견고성이 가장 크게 증가되고, 점조도 지수가 높았으며, 혼합발효물이 반고체 상태로 전환되면서 탄성 계수와 점성 계수가 가장 크게 증가 되었다. Carrageenan을 첨가하여 열처리한 경우에도 역시 높은 견고성 값, 점조도 지수 및 높은 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물성을 나타내었으며, xanthan gum과 glucomannan을 첨가한 시료는 비교적 낮은 점성과 탄성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Leuconostoc속의 균주와 당근 박을 이용하여 생산된 점질성 덱스트란 발효물에 첨가되는 수용성 다당류의 종류 및 열처리에 따라서 발효물의 물성 조절이 가능하여 점증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xtran culture fermented by Leuconostoc citreum S5 were evaluated by the addition of various polysaccharides and heat-treatment. The consistency of dextran cultu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arrot juice residue (CJR) in submerged culture, resulting in the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euconostoc속의 균주와 당근 박을 이용하여 생산된 점질성의 발효물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양한 다당류의 첨가 및 열처리 전후에 물성변화를 점도계와 조직감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당근 박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조도 값은 증가되었으며, 20%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때 점조도 지수는 대조군 18 Pa․sn에서 150 Pa․sn 정도로 크게 증가되었으며, 생균수는 2.
  • 김치 젖산균을 이용한 점질성 dextran 다당류함유 발효물의 생산시에 풍부한 식이섬유, 고유한 색소 및 풍미를 지니는 당근 박의 첨가에 따른 발효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당근 박 함유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한 혼합 발효물의 열처리 전후의 조직감은 texture analyser(Stable micro systems, TA-XT plus, Eng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TPA(texture profile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시료는 지름 25 mm, 높이 20 mm의 둥근 용기에 담아 원통형의 cylinder(20 mm diameter)로 일정 속도로 눌렀을 때 변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Table 1과 같다.
  • 당근 박을 10% 첨가하여 발효시킨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하여 열처리 전후의 물성 변화를 측정해 보았으며, 다당류는 100℃ 이하에서는 완전히 용해되는 것이 어려워 다당류를 첨가한 발효물의 열처리는 autoclave를 이용해 121℃에서 15분간 하였다. 사용된 다당류로는 xanthan gum, glucomannan, gellan gum 및 carrageenan으로 이를 각각 2%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발효물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hardness(견고성), adhesiveness(접착성), cohesiveness(응집성), gumminess(점착성) 및 chewiness(씹힘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Table 3).
  • 고점도 발효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위해 oscillatory shear deformation 방법을 적용하여 점성과 탄성의 성질을 알아보았다. 당근 박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덱스트란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하여 열처리(121℃, 15 min) 전후의 점탄성 특성을 측정하였다(Fig. 3~6). 점탄성 특성은 각속도(ω)에 따른 탄성률(elastic modulus G')과 점성률(viscous modulus G")의 변화로 나타내었다.
  • 덱스트란 발효물의 점조도 및 유동특성 측정은 Rheometer System(HAAKE RheoStress 1, Germany)에 cone plate device(Platte PP35 Ti, 3.5 cm diameter)를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
  • 따라서 당근 박을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당근 고유의 빛깔을 가지고, 높은 생균수와 높은 점성을 가지는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식품 다당류 첨가효과에 따른 물성평가를 위해서 비교적 높은 점조도 값과 관능적 기호성을 갖는 당근 박 10%(w/v) 수준으로 첨가하여 얻어진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은 HPLC를 이용한 덱스트란 정량 분석 결과, 수용성 덱스트란을 33.
  • 동적 점탄성(dynamic viscoelasticity) 측정은 정상유동특성과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수행하였다. 변형력과 변형률 사이에 선형관계가 나타나는 구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frequency sweep로부터 결정된 진동수(frequency, ω) 1.
  • 그러나 김치 젖산균이 생산하는 고분자 다당류로서 열안정성이 있는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에 다양한 고분자 다당류의 첨가에 따른 물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Leuconostoc속을 이용한 점질성의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당근 박의 첨가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다양한 고분자 다당류를 첨가 및 열처리에 따른 물성조절제로서 가능성을 보기 위해서 견고성, 점조성 및 점탄성 등을 포함한 물성을 측정하였다.
  • 변형력과 변형률 사이에 선형관계가 나타나는 구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frequency sweep로부터 결정된 진동수(frequency, ω) 1.0~31.6 rad/s 범위에서 탄성률(elastic modulus G')과 점성률(viscous modulus G")을 측정하였다.
  • 당근 박을 10% 첨가하여 발효시킨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하여 열처리 전후의 물성 변화를 측정해 보았으며, 다당류는 100℃ 이하에서는 완전히 용해되는 것이 어려워 다당류를 첨가한 발효물의 열처리는 autoclave를 이용해 121℃에서 15분간 하였다. 사용된 다당류로는 xanthan gum, glucomannan, gellan gum 및 carrageenan으로 이를 각각 2%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발효물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hardness(견고성), adhesiveness(접착성), cohesiveness(응집성), gumminess(점착성) 및 chewiness(씹힘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Table 3).
  • 색도는 색도계(CHROMA CR-4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원형 석영판(KONICA MINOLTA SENSING, Inc.
  • 설탕 용액 20%, 감자분말 용액 0.5%, 스킴 밀크 용액 2%및 당근 박을 0~20%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로 한 후, starter를 2% 접종하여 25℃, 150 rpm으로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덱스트란 발효물을 얻었다. 이 때, 감자분말 용액, 스킴 밀크 및 당근 박이 첨가되면 발효 중에 당근 박이 가라앉는 등의 침전물이 생기므로 진탕 배양을 하여 혼합액들이 잘 섞이도록 하여 발효하였다.
  • 5 cm diameter)를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2 mL를 취하여 plate에 올려 구간 당 10초 동안의 평균값이 측정되어 얻은 값을 shear rate(1/s)와 shear stress(Pa)로 나타내어 점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층밀림 변형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 20℃에서 전단속도(ŕ)는 1~100 s-1의 범위로 유동특성을 알아보았고, 점조도 지수 값은 Power law 및 Herschael-Burkley 모델식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20).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당근은 2008년 경북 선산에서 생산된 당근을 구입하여 김치냉장에서 보관(0℃)하면서 사용하였고, 주스 제조기(NJ-91010, (주)엔유씨전자, 한국)를 이용하여 착즙된 당근 즙으로부터 얻어진 미세하게 파쇄된 당근 박을 사용하였다. 다당류로는 xanthan gum, carrageenan (Carragheen Co., LTD, 한국), gellan gum 및 glucomannan (Carragheen Co., LTD, 한국)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백설탕((주)CJ백설, 한국), 감자분말(감자 100%, 감자분말, 정신물산, 한국), 스킴 밀크(서울탈지분유, 한국)를 사용하였다.
  • , LTD, 한국)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백설탕((주)CJ백설, 한국), 감자분말(감자 100%, 감자분말, 정신물산, 한국), 스킴 밀크(서울탈지분유, 한국)를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당근은 2008년 경북 선산에서 생산된 당근을 구입하여 김치냉장에서 보관(0℃)하면서 사용하였고, 주스 제조기(NJ-91010, (주)엔유씨전자, 한국)를 이용하여 착즙된 당근 즙으로부터 얻어진 미세하게 파쇄된 당근 박을 사용하였다. 다당류로는 xanthan gum, carrageenan (Carragheen Co.
  • 당근 박 함유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한 혼합 발효물의 열처리 전후의 조직감은 texture analyser(Stable micro systems, TA-XT plus, Eng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TPA(texture profile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시료는 지름 25 mm, 높이 20 mm의 둥근 용기에 담아 원통형의 cylinder(20 mm diameter)로 일정 속도로 눌렀을 때 변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Table 1과 같다.
  •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 동정한 Leuconostoc citreum S5를 사용하였으며(9), 설탕이 포함된 Difco™ Lactobacilli MRS(Becton, Dicknson and Company, Sparks, MD, USA) agar 배지를 이용하여 25℃에서 24시간 계대 배양하여 4℃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색도는 색도계(CHROMA CR-4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원형 석영판(KONICA MINOLTA SENSING, Inc., Japan)에 시료를 담아 색도계로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L, a, b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고점도 발효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위해 oscillatory shear deformation 방법을 적용하여 점성과 탄성의 성질을 알아보았다. 당근 박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덱스트란 발효물에 다당류를 첨가하여 열처리(121℃, 15 min) 전후의 점탄성 특성을 측정하였다(Fig.
  • 당근박이 첨가된 덱스트란 발효물에 다당류를 각각 2%첨가하여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고, 전단속도와 전단응력과의 관계를 Power law 모델과 Herschael-Burkley 모델식에 의해 유동성지수(n), 점조도 지수(K, Kh)로 나타내었다(Table 4). 이 발효물들은 넓은 전단속도 범위 내에서 높은 결정계수(R2=0.
  • 2 mL를 취하여 plate에 올려 구간 당 10초 동안의 평균값이 측정되어 얻은 값을 shear rate(1/s)와 shear stress(Pa)로 나타내어 점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층밀림 변형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 20℃에서 전단속도(ŕ)는 1~100 s-1의 범위로 유동특성을 알아보았고, 점조도 지수 값은 Power law 및 Herschael-Burkley 모델식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βcarotene의 효능은 무엇인가? 당근은 황색이나 등황색을 띄는 대표적인 근채류로서 βcarotene,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phytochemical이 풍부한 원료로 알려져 있다(1,2). 등황색 색소인 β-carotene은 vitamin A의 전구물질로 항산화 효과, 항암작용 및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3). 당근은 샐러드, 생식 및 당근 생즙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생즙 제조 시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당근 박은 당분, 비타민 등의 영양분을 함유하며, 85% 이상으로 높은 수분함량으로 쉽게 변질되어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당근이란 무엇인가? 당근은 황색이나 등황색을 띄는 대표적인 근채류로서 βcarotene,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phytochemical이 풍부한 원료로 알려져 있다(1,2). 등황색 색소인 β-carotene은 vitamin A의 전구물질로 항산화 효과, 항암작용 및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3).
당근은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당근은 황색이나 등황색을 띄는 대표적인 근채류로서 βcarotene,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phytochemical이 풍부한 원료로 알려져 있다(1,2). 등황색 색소인 β-carotene은 vitamin A의 전구물질로 항산화 효과, 항암작용 및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inchaipanit P, Kerr WL. 2007. Effect of reducing pulp-particl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ASEAN Food Journal 14: 205-214 

  2. Shin JH, Ryu CH, Cho SH. 2002. Development of vinegar and vinegar-containing beverage from carrots. J Agric Life Sci 36: 39-46 

  3. Lee KS, Park KW, Lee SH, Choe EO, Lee HG. 2003.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35: 1086-1092 

  4. Kim YA. The effects of hot air dried carrot juice residue as a dietary fiber source on the quality and staling of cake. Food Sci Biotechnol 7: 295-299 

  5. Jo SJ, Oh SM, Jang EK, Hwang KI,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10-216 

  6. Morris ER, Curture AN, Ross-Murphy SB, Rees DA. 1981. Concentration and shear rate dependence of viscosity in random coil polysaccharide solutions. Carbohyd Polmers 1: 5-21 

  7. Santos M, Teixeira J, Rodrigues A. 2000. Production of dextransucrase, dextran and fructose from sucrose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412(f). Biochem Eng 4: 177-188 

  8. Kim D, Thomas S, Fogler H. 2000. Effects of pH and trace minerals on long-term starv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l Environ Microbiol 66: 976-981 

  9. Son MJ, Jang EK, Kwon OS, Seo JH, Kim IJ, Lee IS, Park SC, Lee SP. 2008. Characterization of dextran produced from Leuconostoc citreum S5 strain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vegetable. Eur Food Res Technol 226: 697-706 

  10. Paik JE, Joo NM, Sim YJ, Chun HJ. 1996. Studies on marking jelly and mold salad with grape extract. Kor J Soc Food Sci 12: 291-294 

  11. Lee JH, Park SJ, Son SH. 1993.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odified starch and carrageenan complex as stabilizer. Kor J Food Sci Technol 25: 672-676 

  12. Moon JD, Park GB, Kim YH, Kim YG, Kim SK, Jin SK, Kim YG, Shin TS, Song DJ. 1996. Effects of seed oils, water and carrageena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low-fat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J Inst Develop of Livestock Prod 23: 19-26 

  13. Yoo MH, Lee HG, Lim ST. 1997.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porphophallus konjac. Kor J Food Sci Technol 29: 255-260 

  14. Yoshomura M, Nishinari K. 1999. Dynamic viscoelastic study on the gelation of konjac glucomann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ood Hydrocolloids 13: 227-233 

  15. Lim BY, Yoo YJ. 1989. Mass transfer effects in xanthan gum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7: 277-283 

  16. Wang X, Xu P, Yuan Y, Liu C, Zhang D, Yang Z, Yang C, Ma C. 2006. Modeling for gellan gum production by Sphingomonas paucimobilis ATCC 31461 in a simplified medium. Appl Environ Microbiol 72: 3367-3374 

  17. Kwon HS, Koo SJ. 1988. Comparative studies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ellan gum and agar. Korean J Soc Food Sci 4: 17-26 

  18. Yaseen EI, Herald TJ, Aramouni FM, Alavi S. 2005. Rheological properties of selected gum solution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8: 111-110 

  19. Rodriguez-Hernandez AI, Tecante A. 1999. Dynamic viscoelastic behavior of gellan- $\iota$ -carrageenan and gellanxanthan gels. Food Hydrocolloids 13: 59-64 

  20. Turabi E, Sumnu G, Sahin S. 2008. Rheolog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rice cakes formulated with different gums and an emulsifier blend. Food Hydrocolloids 22: 305-312 

  21. Kim YC, Yoo BS.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6: 1313-1318 

  22. Padmanabhan PA, Kim DS, Sim SJ. 2003. Rheology and gelation of water-insoluble dextran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523. Carbohydr Polym 53: 459-4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