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 지역 분석
Analysis of Korea Soil Loss and Hazard Zone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3 = no.50, 2009년, pp.261 - 268  

김주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이효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토양유실분포도와 토양유실위험 등급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양유실분포도는 RUSLE를 이용하였고, 강우-유출 침식성인자(R)는 기상청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77년부터 2006년까지 (30년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빈도분석은 FARD를 이용하였고, 전국 R인자를 빈도별로 산정하였다. 전국 R인자 분석에서 낙동강 유역이 가장 작은 값을 한강유역이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유실량 분석결과 토지피복별로 초지, 나지 밭의 크기 순서로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전체적으로 약17.2ton/ha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위면적당 평균토양유실량은 나지와 초지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있다. 5년빈도 강우특성에서 전체 토양유실량은 15,000여 톤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별 면적비를 고려하면 논, 산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유실 위험 등급도 작성은 토양유실위험 등급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유실위험 2등급인 보통지역이 전체 토양유실량 위험지역의 7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분석지역 전체 중에서 약 1.1%인 $1,038km^2$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로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나지, 초지, 밭작물 재배지역의 순으로 각각 $93.5km^2$, $168.1km^2$, $327.4km^2$ 정도가 심각한 등급의 토양유실 위험지역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ccomplished to draw a soil erosion map and a grade map of soil loss hazard in Korea. RUSLE and Rainfall-runoff (R) factor, which was estimated by using the rainfall data observed in 59 meteorological stations from 1977 to 2006 (for 30 years). FARD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에서는 작성된 한국토양유실도에 대한 정확도 향상을 위해 현재 사용된 USGS DEM자료과 WAMIS의 토지피복도 자료를 대체하여 환경부 DEM 및 중분류토지피복도 자료를 이용하고 농업과학기술원의 정밀토양도와 산림청의 산림입지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K인자를 재산정할 계획이다. 또한 지면식생피복인자와 토양보존인자가 여러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값을 이용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용한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토양유실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Gupta(2001)가 제시한 토양유실 등급도를 작성하여 토지피복별에 따른 토양유실 위험지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용한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토양유실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양유실 등급도를 작성하여 토지피복별에 따른 토양유실 위험지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인자는 어떤 영향을 받게 되며, 무슨 자료를 이용하였나요? 이 인자는 경작지 형태와 더불어 경사에도 영향을 받게 되며, 토지피복형태별에 따른 P값을 Dawen 등(2003)이 제시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속화된 침식현상은 무엇인가요? 자연적인 침식현상과 달리, 농경지나 도시, 도로개발 등 인간의 활동은 자연적인 침식보다 훨씬 큰 침식을 유발하며, 이를 가속화된 침식현상이라 한다. 개발사업은 자연상태가 아니라도 논이나 밭 등 오랫동안 경작하여 안정된 지표면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급속히 변화시킨다.
토양유실도 작성을 위한 기본공간자료는 어떤 자료가 필요한가요? 토양유실도 작성을 위한 기본공간자료는 지형분석을 위한 DEM, 토양이 강우에 의한 침식에 저항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K 값을 산정하기 위한 토양도, 그리고 지표면의 피복상태를 나타내는 토지피복도자료가 필요하다. 이들 기본공간자료 중 지형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DEM 자료는 USGS의 Level-2 자료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상혁, 2008. 집중호우에 따른 부유토사 유출 특징 및 주민대응. 한국GIS학회지 16(1): 11-17. 

  2. 김주훈, 김경탁, 연규방, 2003. GIS를 이용한 유역의 침식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 22-32. 

  3. 박경훈, 2003. GIS 및 RUSLE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 24-36. 

  4. 박인환, 장갑수, 이근상, 서동조. 2006. 토양 및 지형조건에 따른 토양침식 잠재성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1): 1-12. 

  5. 신계종. 1999.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우효섭, 김창완, 1998.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제 6회 수공학워크샵 교재, 한국수자원학회, pp.I-10-I-19. 

  7. 조홍래, 정종철, 2005. RUSLE와 SEDD를 이용한 고랭지 경작지로부터의 토양유실 평가, 한국GIS학회지 13(1): 79-90. 

  8. Dawen Yang, Shinjiro Kanae, Taikan Oki, Toshio Koike and Katumi Musiake. 2006. Global potential soil erosion with reference to land use and climate changes, Hydrological Processes 17: 2913-2928. 

  9. Goldman, S.J., K. Jackson, and T.A. Bursztynsky. 1986.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Handbook, Mc-Graw Hill, pp.5.1-5.32. 

  10. Gupta, H. S. 2001. Terrain Evaluation for Eco-Restora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http://agile.lsegi.unl.pt/conference/Brno2001/RemoteSensing.pdf. pp.424-434. 

  11. Lvovich.M. I.,Karasik,G. Ya,Bratseva,N. L.,Medvedeva,G. P.&Meleschko,A. V. 1991. Contemporary intensity of the world and intracontinental erosion. Meshduvedomstv. Geophisich. Comitet pri Prisedeume Akad. Nauk SSSR, Moskva. 

  12. Morgan, R. P. C. 1995.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 Longman Group Ltd. ISBN 0-582-24492-7. pp.198. 

  13. Remortel, V. R., M. Hamilton and R. Hickey(2001). Estimating the LS factor for RUSLE through iterative slope length processing of DEM elevatin data. Cartography 30(1): 27-35. 

  14. USDA. 1996.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USLE, Agriculture Handbook #703. 

  15. Walling, D.E. 1983. The Sediment delivery problem. J.Hydro. 65, pp.209-237. 

  16. Wischmeier. W. H. and D.D. Smith. 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U.S. Dep. Agric.,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gricultural Handbook. No.5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