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한 토양유실 우선관리 지역 선정 자동화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Extraction Model of Soil Erosion Management Area using ArcGIS Model Builder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3 no.1, 2011년, pp.71 - 81  

금동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최재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익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공동수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류지철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강현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increased human activities and intensive rainfall events in a watershed,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have been hot issues in many areas of the world. To evaluate soil erosion problems spatially and temporarily, many computer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evaluated over the years. 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앞에 기술된 바와 같이 Model Builder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공간적으로 산정하고 소유역별로 토양 유실량/유사량을 평가하여 토양유실 우선관리 유역을 선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개발된 모형의 적용을 위해서 환경부에서 토양유실 우선관리 유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을 연구 유역으로 선정하였다(Fig.

가설 설정

  • P factor은 Park (1999) (Table 3)이 한 등고선 경작방식을 택한다는 가정 하의, 경사도에 따른 P factor를 이용하였다 (Fig.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해 이루어진 해외 연구는? 이를 통해 모형의 빠른 이해와 모형을 사용 목적에 맞게 연산절차를 수정하여 원하는 연구활동이나 실무에 바로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 해외에서는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하여 지하수 보호 모형의 개발과, 경관 개발계획의 적용, 직접 유출량 해석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Rhonda et al., 2004; Richard, 2006; Schaller et al.
토양유실 현상이 문제시되는 이유는? 집중호우의 빈도가 높아지면 빗물이 토양을 직접 타격하는 강도와 횟수가 늘어나 농경지 등에서 심한 토양유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토양유실이 문제시되는 것은 농경지등에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어진 화학비료와 농약성분이 토양입자에 흡착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물에 녹아들어 수체 부영양화를 일으켜 수생태계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Jung et al., 1998).
SATEEC 모형의 단점은? SATEEC 모형 (Park et al., 2010)의 경우 개발자에 의해 모형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연산시간이 길어지고, 연산과정 중 Input Data를 반복 입력해야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수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개발된 모듈 중간 단계 프로세서를 사용자가 임으로 변경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형 개발국의 지형정보조건에 맞춰 모형이 개발되어 지형과 환경 조건이 다른 제3국에 그대로 적용하여 이용하기에는 여러 제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의 연구자와 이용자들은 기존 모형을 자국의 지형과 환경 조건에 맞게 모형을 개선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J. H., 2005. Policy and research of advanced country for environmentally sound agriculture in highland, 24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 Arnold, J. G., and R. Srinivasan, 1994. Integration of a BASIN-SCALE Water Quality Model with GI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0(3): 453-462. 

  3. Boyce, R. C., 1975. Sediment Routing with Sediment- Delivery Ratios.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and Sources. ARS-S- 40, USDA, Washington, D. C. 

  4. ESRI, 2007. ArcGIS 9.3 Manual 

  5. Flanagan, D. C., and M. A. Nearing, 1995. WEPP User Summary. Report No. 11. USDA-ARS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West Lafayette, Indiana. 

  6. Heo, S. G., K. S. Kim, M. Sagong, J. H. Ahn, and K. J. Lim, 2005. Evaluation of SWAT Applicability to Simulate Soil Erosion at Highland Agricultural L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 (4): 67-75 (in Korean). 

  7. Jang, W. S., Y. S. Park, J. D. Choi, J. G. Kim, M. H. Shin, J. C. Ryu, H. W. Kang, and K. J. Lim, 2010.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Effect of Rice Straw Mat by the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3): 97-104 (in Korean). 

  8. Jung, Y. S., Y. K. Kwon, H. S. Lim, S. K. Ha, and J. E. Yang, 1999. R and K Factors for an Application of RUSLE on the Slope Soils in Kangwon-Do,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2(1): 31-38 (in Korean). 

  9. Jung, P. K., M. H. Ko, and K. T. Um, 1984. Discussion of Cropping Management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8(1): 7-13 (in Korean). 

  10. Jung, Y. S., J. E. Yang, C. S. Park, Y. G. Kwon, and Y. K. Joo, 1998. Changes of Stream Water Quality and Loads of N and P from the Agricultural Watershed of the Yulmunchon Tributary of the Buk -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1(2): 170-176 (in Korean). 

  11. Kang, H. W., Y. S. Park, N. W. Kim, Y. S. Ok, W. S. Jang, J. C. Ryu, K. S. Kim and K. J. Lim,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System with SATEEC, nLS and USPED for Gully Erosion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4): 637-647 (in Korean). 

  12. Kim, N. W., H. S. Kim, I. M. Jung, C. G. Kim, Y. S. Won, S. C. Shin, J. E. Lee, H. R. So, C. S. Yoo, D. H. Lee, S. H. Kim, H. S. Shin, W. S. Kim, and B. H. Seoh, 2007. Development of Analysing System for Surface Water Hydrological Components: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3. Lim, K. J., J. D. Choi, K. S. Kim, M. Sagong, and B. A. Engel, 2003. Development of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in small scale watershed.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5(5): 85-96 (in Korean). 

  14. Lim, K. J., M. Sagong, B. A. Engel, Z. Tang, J. D. Choi, and K. S. Kim, 2005. GIS-based sediment assessment tool. CATENA. 

  15. Lim, K. J., Y. S. Park, J. G. Kim, Y. C. Shin, N. W. Kim, S. J. Kim, J. H. Jeon, and B. A Engel, 2010. Development of Genetic Algorithm-based Optimization Module in WHAT System for Hydrograph Analysis and Model Application. Computers & Geosciences 36: 936-944. 

  16. Lim, K. J., S. G. Heo, Y. S. Park, J. G. Kim, J. H. Park, D. H. Choi, and H. W. Kang, 2007. Development of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IS Environmental Systems Laboratory, No.0708, http://www.EnvSys.co.kr/~swat. 

  17. Mangegold, J., 2003. Using the Model Builder of ArcGIS 9 for Landscape Modeling. In Trends in Landscape Modeling, ed. E. Buchmann, and S. Ervin, 240-245. Wichmann Verlag, Heidelberg. 

  18. McCool, D. K., L. C. Brown, G. R. Foster, C. K. Mutchler, and D. Meyer, 1987. Revised slope steepness factor for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ransactions of the ASAE 30: 1387-1396. 

  19. Moore, I., and G. Burch, 1986a. Physical Basis of the Length-Slope Factor in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0: 1294-12983. 

  20. Moore, I., and G. Burch, 1986b. Modeling Erosion and Deposition: Topographic Effects. Transactions of the ASAE 29(6): 1624-1640. 

  21. Nam, G. W., 2006. Development of GIS Construction Guide as Standards and Open Source Software Basis, 10-102.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22. Park, C. S., 1999. Monitoring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Different Land Use in the Yulmunchon Tributary Watershed, the So-yang River Basin. Master's degree, I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3. Park, Y. S., J. G. Kim, N. W. Kim, S. J. Kim, J. H. Jeon, B. A. Engel, W. S. Jang, and K. J. Lim, 2010. Development of New R, C and SDR Modules for the SATEEC GIS System. Computers and Geoscience 36 (2010): 726-734. 

  24. Rhonda, M., and J. Alan Glennon, 2004. Building a Groundwater Protection Model. ESRI ArcUser. 54-59. 

  25. Richard, E., 2006. Predicting Post-Wildfire Watershed Runoff Using ArcGIS ModelBuilder. Esri Federal User Conference Proceedings 2006. 

  26. Schaller, J., T. Gehrke, and N. Strout, 2009. ArcGIS processing models for regional environmental planning in Bavaria. In Planning Support System: Best Practice and new Methods, ed. S. Geetman, and J. Stillwell, 243-264. 

  27. Tarboton, D. G., R. L. Bras, and I. Rodriguez-Iturbe, 1991. On the Extraction of Channel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Data. Hydrologic Processes 5(1): 81-100. 

  28. USDA, 1972. Sediment Source, Yields, and Delivery Ratio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3 Sediment. 

  29. Vanoni, V. A., 1975. Sedimentation Engineering, Manual and Report No. 54.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USA. 

  30. Williams, J.R., 1975. Sediment routing for agricultural watersheds. Water Resources Bulletin 11(5): 965-974. 

  31. Williams, J. R., 1975. Sediment 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and Sources U.S Depatment of Agriculture, 244-252. 

  32.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The USDA Agricultural Handbook No. 537. 

  33.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The USDA Agricultural Handbook NO. 282. 

  34. Yin, Z., S. Walcott, B. Kaplan, J. Cao, W. Lin, M. Chen, D. Lin, and Y. Ning, 200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atterns of water quality and urban development in Shanghai, China,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9: 197-221. 

  35. Yang, J. E., 2008. The study for preparing countermeasure about reduction of muddy water in Han River Basin, GOVP1200944618. Han River Basin Commission. 

  36. Yoo. D. S., K. S. Kim, W. S. Jang, M. S. Jun, J. E. Yang, S. C. Kim, J. H. Ahn, and K. J. Lim, 2008. Evaluation of Sediment Yield using Area-weighted Measured Slope and Slope Length at HaeAn My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5): 569-58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