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9세 아동의 단축감각력 발달적 기준에 관한 일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al Standard of Short Sensory Profile: Application to Korean Children Aged Seven to Nine Years Old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7 no.1, 2009년, pp.37 - 46  

김미선 (SISO 감각통합상담연구소) ,  지석연 (SISO 감각통합상담연구소) ,  금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 ,  김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감각조절장애는 감각처리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군이다. 이러한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Short Sensory Profile은 감각조절의 어려움을 선별하는 평가도구로 만 3세에서 10세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hort Sensory Profile을 번안한 단축감각력의 국내 표준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7~9세 정상발달아동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간의 차이와 미국의 표준점수와의 비교 및 단축감각력 문항의 점수별 응답 비율을 조사하여 검사도구 문항으로 적합한지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단축감각력을 사용하여 남학생81명, 여학생 74명을 조사하였다. 결과: 1.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기준의 정상범주와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4. 단축감각력 각 문항별 응답비율을 분석해 보았을 때 일반아동에게 50% 이상 나타나는 항목이 6문항이었다. 결론: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이 연령집단의 아동들에게 같은 분류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각 문항의 비율에서 일반아동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항목이 6개 있었다. 따라서 단축감각력에 대한 문항분석과 만 3~10세 전 연령을 포함한 국내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eory of Sensory Integration (SI) was initially developed with an effort to understand children's behavior by Jean Ayres and has been evolved with extensive research by occupational therapis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since in the latter of the 20 century. With extension of reco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는 지역이 각각 다른 초등 2학년 두 학급, 3학년 한 학급, 4학년 한학급과 한학교의 2학년부터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교사들에게 단축감각력을 설명하고 부모님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단축감각력에 대한 설명서와 단축감각력을 보내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중 담임선생님께 제출된 15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문항별 점수 비율을 통해서는 Short Sensory Profile을 번안한 단축감각력 문항이 정상발달아동들에게서 보편적이지 않은 행동으로, 감각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변별하는 도구의 문항으로서 적절한지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8문항에 대해 항상, 자주, 종종, 가끔, 전혀 에 응답한 비율을 연령별, 성별 구분 없이 백분율로 나타내어 제시하였다(표 5).
  • 본 연구는 단축감각력 표준화연구의 선행연구로서 학령기 7∼9세 아동의 결과를 통해 성별, 연령별 특징과 문항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았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단축감각력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로서, 7∼9세 아동의 단축감각력 결과를 얻어 성별, 연령별 비교를 알아보고 각문항의 점수별 응답비율을 조사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 중인 단축감각력의 분류기준을 마련하고자 우선 학령기 7∼9세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 문항의 점수별 응답비율 조사결과 6개의 문항이 일반아동에게서 50% 이상 나타나는 보편적인 문항이었다. 이에 문항에 대한 타당도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3세에서 10세 아동에게 사용되는 단축감각력의 표준화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학령기 7세에서 9세 아동의 자료를 얻어 성별, 연령별 차이와 Short Sensory Profile 미국의 분류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알아보고, 문항의 점수별 응답비율을 통해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통합장애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Ayres(1972)는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감각통합기능장애로 보고 기능장애를 6개의 증상으로 분류 정의하였고 이후 감각통합기능장애는 감각통합 검사도구 SIPT(Sensory Integration Praxis Tests) 데이터를 통해 더욱 정리되었다. 감각통합기능장애의 다양한 증상들은 감각조절, 각성조절, 활동수준, 기타행동의 범주에서 논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1990년이후 감각정보의 처리와 조직화에 어려움을 갖는 것을 감각통합장애로 정의하고 크게 조절장애와 실행장애로 분류하였다.
아동의 촉각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인터뷰 도구인 Touch Inventory for Preschoolers이 가지는 제한점은 무엇인가? Royeen(1987)은 아동의 촉각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인터뷰 도구 Touch Inventory for Preschoolers(TIP)를 개발하였다. 이 평가도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촉각 방어를 평가하는데 유용하지만 단지 촉각계만을 평가하는 제한점이 있다. Touch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TIE)은 학령기 아동의 촉각방어를 위해 설계된 인터뷰 검사로 촉각방어를 가진 학령기 아동을 변별하는데 유용하나 TIP와 마찬가지로 촉각계이외의 다른 감각계의 조절기능을 평가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Royeen과 Fortune, 1990).
감각통합장애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Ayres(1972)는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감각통합기능장애로 보고 기능장애를 6개의 증상으로 분류 정의하였고 이후 감각통합기능장애는 감각통합 검사도구 SIPT(Sensory Integration Praxis Tests) 데이터를 통해 더욱 정리되었다. 감각통합기능장애의 다양한 증상들은 감각조절, 각성조절, 활동수준, 기타행동의 범주에서 논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1990년이후 감각정보의 처리와 조직화에 어려움을 갖는 것을 감각통합장애로 정의하고 크게 조절장애와 실행장애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