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인 모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양부모 한인가정 어머니의 자녀관, 부모역할신념 및 삶의 만족도와 양육태도간의 관계 비교
The Relations between Concepts of Children, Parent Role Beliefs,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i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6 = no.102, 2009년, pp.43 - 54  

박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하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송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안현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조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comparison to Korean families. Differences in parental beliefs, life-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s between these two groups were also examined.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녀의 학교 부적응문제나 발달상의 문제는 상당부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적응 문제를 이해하고 아동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이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다문화가정 일본어머니들의 양육태도에 초점을 둔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라온 문화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부모역할에 대한 신념이나 자녀관, 그리고 이들이 처한 한국에서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을 중심으로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일본인 모 다문화가정과 양부모 한인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관, 부모역할신념, 삶의 만족도 및 양육태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러한 변인들과 양육태도 간의 관계 및 각 변인들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출신 이주여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착안하여 일본여성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어머니들의 양육관련 변인들을 양부모 한인가정의 어머니들과 비교하고자 한다.
  •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관은 양육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아동발달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임정미․이명조, 2000; 홍숙기, 1999; Miller, 1998; Mills & Rubin, 1992; Sears, 1965). 양육신념에는 양육효능감, 아동 중심적 신념, 학습에 대한 신념 등 여러 가지 내용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양육태도와 직결되는 부모의 역할에 대한 신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부모역할신념은 부모가 지닌 과거의 경험 뿐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부모-자녀관계에의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양육태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경혜, 199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겪는 어려움은? 이렇듯 우리사회에서 국제결혼 가정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최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식적, 비공식적 자료들에 의하면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대부분 언어문제를 비롯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가족구성원과의 마찰,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여러가지 적응상 문제를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정의 학령기 자녀들도 약 63% 정도가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조선일보, 09.
다문화가정이란? 2008년 3월 22일 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르면 다문화가정이란 결혼이민자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로 이루어진 가정으로, 국내에 정착하여 사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국제결혼 가정을 의미한다(임진숙, 2008). 2008년 통계청 자료(통계청, 2008b)에 의하면 1991년에 1.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를 보상적 가치로 여기는 자녀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는? 자녀관은 부모가 자녀를 가짐으로써 기대하는 심리, 경제, 사회적 만족과 부담에 대한 인지적 측면을 뜻하며(윤미라, 2006), 보상적 자녀관과 비용적 자녀관으로 구분된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임신과 출산, 양육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자녀에 대한 애착이 강하며, 자녀의 출생은 한국생활을 하는데 심리적 거점이 되고 희망이 되기도 한다는 보고가 있다(김민정 등, 2006;김상임, 2004). 이로 보아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정서적 만족감을 토대로 자녀를 보상적 가치로 여기는 자녀관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곽금주(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 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6 

  2. 구효진.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3. 권구영.박근우(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2007년 제 2호, 197-219 

  4.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숙.공진희.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311-335 

  6. 김경혜(1993).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숙(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민정.유명기.이혜경.정기선(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9(1), 159-193 

  9.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17-48 

  10. 김석란(2008). 한일국제결혼을 통해 본 문화적 갈등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 37, 287-299 

  11. 김재련(2007).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여성의 지위.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노진아.이숙(2003).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및 직업특성에 따른 취업모의 양육행동. 한국가정과학회지, 6(1), 81-93 

  13. 민성혜.이민영.최혜영.전혜정(2009). 다문화 가정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1). 55-63 

  14.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서영.박성연.Cheah, C(2007). 어머니의 삶의 만족감 및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4(2). 29-51 

  16. 박성연.전춘애.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17. 박정숙(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순천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기남.문혁준(2008). 발달적으로 적합한 실제(DAP)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아동기 양육경험, 양육효능감 및 양육 행동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9(3), 23-40 

  19.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0. 송신영.박성연(2008).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5), 19-33 

  21.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오성배(2006).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23. 윤미라(2006). 고등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심리적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인진.임창규.정재영(2007). 자녀 양육방식에 관한 직업계층 및 국가별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8(3), 167-192 

  25. 이정규.최순자(2007).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145-158 

  26. 인봉숙(2002). 한일 국제결혼가정 2세의 한국생활적응 실태조사 연구: 천안시 거주 통일교인 가정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임정미.이명조(2000). 한국 및 일본 유치원 학부모의 자녀양육: 한국의 Y유치원, 일본의 K유치원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137-159 

  28. 임진숙(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전현진.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30. 조선일보(2009. 1. 15). www.chosun.com 에서 이주여성이 울고 있다. 2009년 1월 29일 인출 

  31. 조선일보(2009. 1. 28). www.chosun.com 에서 국내다문화가정실태. 2009년 1월 29일 인출 

  32. 조혜영.서덕희.권순희(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수행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2), 105-134 

  33. 최순자(2007). 한국과 일본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20-923 

  34. 최유진(2007).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통계청(2008a). 사회통계국 인구동향. 혼인종류/외국인 처의 국적별 혼인 2001~2007년 자료(www.nso.go.kr.) 

  36. 통계청(2008b).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 각년도(1991~2007) 

  37. 한국여성개발원(1991). 평등한 부부. 교육자료, 300-320 

  38. 홍숙기(1999). 한국부모의 자녀교육태도 및 방식. 서울: 한국심리학회, 15(3), 21-36 

  39. 황상심.정옥란(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40. 황윤주(2008). 결혼이민자 여성 농촌지역 유입과 '적응'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土居建郞(도이 다케오)(1991). 甘えの構造. 東京: 弘文堂 

  42.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hess 

  43. Baumrind, D.(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 4(1), 1-103 

  44.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45. Belsky, J., & Pensky, E.(1990). Developmental history,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s: toward an emergent family system. In R. A, Hinde & J.Steven-Hinde(Eds), Relationships Within Families(pp. 193-217). Oxford, England 

  46. Park, S., & Cheah, C.(2006). Korean mothers' proactive socialization beliefs regarding preschoolers' social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24-34 

  47. Costigan, C., & Su, T, F.(2008). Cultural predictors of the parenting cognitions of immigrant Chinese mothers and father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2(5), 432-442 

  48. Miller, S.(199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49. Mills, R., & Rubin, K.(1992). A longitudinal study of maternal beliefs about children's social behaviors. Merrill-Palmer Quarterly, 38(4), 494-512 

  50. Olsen, S., Yang, C., Robinson, C., Wu, P., Nelson, D., Nelson, & Jin.(2002).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outcomes in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In B. Barber(Ed.), Intrusive parenting: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pp.235-26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APA) Books 

  51. Ryff, C, D., & Keyes, C, L, M.(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52. Sears, R.(1965). The rearing theory of child development. N.Y. : Harper & Row Publisher 

  53. Sigel, I. E.(1985). A conceptual analysis of beliefs.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pp.345-371). Hillsdale, NJ : Erlbaum 

  54. Wu, P., Robinson, C., Yang, C., Hart, C., Olsen, S., Porter, C., Jin, S., Wo, J., & Wu, X.(2002).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of preschooler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6, 481-4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